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생명과학과 최준호 교수 연구팀은 Northwestern University의 Ravi Allada 교수 연구팀과 공동연구를 통하여 초파리의 일주기 리듬에 관여하는 새로운 유전자 clockwork orange (cwo)를 발견하였고, 그 결과를 6월 7일자 Current Biology 온라인판에 발표하였다. 초파리 일주기 리듬 관련 유전자의 전사에는 Clock/Cycle 이 일주기 리듬관련 유전자의 프로모터에 있는 E-box에 결합하여 전사를 촉진하는데 cwo 단백질은 Clock/Cycle 과 E-box에 경쟁적으로 결합하여 일주기 리듬유전자의 전사인자 억제자로 작용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사실은 일주기 리듬관련 유전자의 전사에 Clock/Cycle 이외에도 새로운 전사인자가 관여한다는 것을 밝혀낸 것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7 [오병하 교수님] 뉴스의인물/ KAIST 생명과학과 오병하 교수 생명과학과 2022.03.21 680
76 김대수 교수님_“뇌의 본능적 욕구 참고 기다리는 아이, 사회적으로 성공” 생명과학과 2021.09.06 674
75 전상용, 송지준 교수님_다양한 변이에도 면역 가능한 인플루엔자 백신 개발 생명과학과 2021.06.30 664
74 [김상규 교수님] 꽃향기, 이젠 눈으로 보세요!​ 생명과학과 2022.05.10 644
73 한진희 교수님_기억이 만들어지는 원리 최초로 규명했다 생명과학과 2021.07.14 637
72 서성배 교수님_Gut hormone triggers craving for more proteins 생명과학과 2021.05.18 602
71 김은준 교수님_시냅스 뇌질환 연구 김은준 IBS단장 “치료약 없는 자폐 연구 도전” 생명과학과 2021.08.23 593
70 서성배 교수님_동물 뇌 신경세포가 과식 억제한다 생명과학과 2021.06.16 589
69 2021 Agrwal Award 시상식이 9월 9일(목) 오후 4시_이준혁 학생(정원석 교수) file 생명과학과 2021.09.06 588
68 양한슬 교수님_ 서경배과학재단 2021년 신진과학자 선정 file 생명과학과 2021.08.31 587
67 [김대수 교수님] 제약바이오협회, ‘KPBMA-MIT 생명과학 컨퍼런스’ 개최 생명과학과 2022.03.28 585
66 손종우교수님 UTSW – UT Dallas 국제 공동 연구팀 연구성과_Scientists Identify Source of Weight Gain From Antipsychotics 생명과학과 2021.05.14 583
65 [김학성 교수님] 카이스트, 거대 단백질 구조체를 레고 블록 쌓듯 조립하는 기술 개발 생명과학과 2021.11.24 581
64 [정현정 교수님] 유전자 가위로 생체 내 정밀한 유전자 교정에 의한 면역 항암 치료​ 생명과학과 2022.01.18 566
63 [조병관 교수님] 한국연구재단, 노화 방지하고 회춘하는 방법 제시 생명과학과 2022.01.13 565
62 [김찬혁, 정원석 교수님] 심각한 염증 부작용 없앤 새로운 알츠하이머병 치료제 개발​ 생명과학과 2022.08.22 556
61 [김찬혁 교수님] 카이스트, 면역관문 신호 극복하는 차세대 CAR-T 세포 치료제 개발 생명과학과 2021.11.24 554
60 손종우 교수님_비정형 항정신병 약물에 의한 비만의 원인 규명​ 생명과학과 2021.05.17 540
59 [김찬혁 교수님] 서울대병원, '꿈의 항암제' CAR-T 임상1상 본격 돌입 생명과학과 2022.02.04 535
58 [이승재 교수님] 국내 연구팀, 예쁜꼬마선충을 이용 새로운 항노화 단백질 찾아 생명과학과 2021.12.13 535
Board Pagination Prev 1 ...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Next
/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