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국립생물자원관, 유전체 정보 학계·산업계 제공 예정

 
 
자생환경에서 확보한 온실가스 활용 미생물(환경부 제공) © 뉴스1


지속가능한 친환경 탄소 자원화를 위한 미생물이 우리 연구진에 의해 하천·저수지에서 발견됐다.

환경부 소속 국립생물자원관은 최근 온실가스인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대사물질로 아세트산을 만드는 '아세토젠'(acetogens) 혐기성 미생물 5종을 발견하고 이를 분리하는 데 성공했다고 16일 밝혔다.

 

아세트산은 이산화탄소나 일산화탄소와 같은 탄소원자(C1) 기반 기체를 우드-융달 대사회로를 통해 빙초산, 즉 아세트산으로 전환할 수 있는 미생물이다. 우드-융달 대사회로는 현재까지 자연계에 존재하는 이산화탄소 대사회로 중 가장 에너지효율이 높은 대사회로다.


국립생물자원관은 올해부터 조병관 카이스트 생명과학과 교수팀, 김종걸 원광대 생명과학부 교수팀과 함께 아세토젠 미생물 5종(가칭 AC1~5)을 찾아내 분석했다.  

연구진은 이들 미생물 5종이 이산화탄소를 이용해 아세트산을 얼마만큼 생산하는지 분석했다.

분석 결과 최초 발견 미생물 AC1은 대표적 아세토젠 미생물인 클로스트리디움 융달리와 유사한 아세트산 생산량을 갖춘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이번에 확보한 아세토젠 미생물 5종에 대한 유전체를 분석해 게놈지도를 완성하고 유전체 정보를 국내 산업계 및 학계에 제공할 예정이다.

환경부는 세계적으로 유전체가 해독된 아세토젠 미생물이 16종에 불과하여 이번에 발견한 미생물 5종의 유전체 정보가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 연구진은 이번 연구가 미생물을 활용한 온실가스 저감 청정에너지 개발 등 녹색산업 발전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아세토젠 미생물들을 이용하면 이들 미생물에서 나온 아세트산을 응용해 화학연료를 생산할 수 있어 산업적 잠재력이 매우 높다는 게 국립생물자원관 설명이다.

이병희 국립생물자원관 유용자원분석과장은 "우리나라 자생환경에서 온실가스를 흡수해 유용한 대사물질을 만드는 미생물을 지속적으로 찾아내 지적재산권을 확보하겠다"며 "신규 아세토젠 미생물 5종의 유전체 분석 및 균주개량을 통해 온실가스 저감을 위한 원천기술을 확보함으로써 탄소중립 시대에 우리나라의 기술 자생력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서울=뉴스1) 황덕현 기자
ace@news1.kr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56 [송지준 교수님] 호르몬 조절 원리와 구조 밝혀냈다 생명과학과 2022.05.06 2192
355 [양한슬 교수님] 해양 속 82%까지 생분해되는 종이 포장재 개발 생명과학과 2024.05.20 1277
354 [연합뉴스]신종 박테리아 5개중 1개꼴 한국과학자 발견...이성택교수 과사무실 2007.04.04 16024
353 [오병하 교수님] 뉴스의인물/ KAIST 생명과학과 오병하 교수 생명과학과 2022.03.21 2083
352 [오병하 교수님] 오미크론에도 듣는 범용 항체, 국내에서 개발 생명과학과 2022.02.04 1677
351 [유슬기(양한슬 교수님 연구실)] 제4회 'POSTECH SF 어워드', KAIST 유슬기 씨 당선 생명과학과 2024.02.27 1330
350 [유지환(허원도 교수님 연구실)] Merck-KAIST 대학원 국제 장학생 선정 file 생명과학과 2024.11.26 795
349 [이광록 교수님] 코로나바이러스 전염 메커니즘 규명​ 생명과학과 2025.02.17 360
348 [이승재 교수님 연구실] 과기정통부, ‘2022년도 건강한 연구실’ 10개 선정 생명과학과 2022.12.12 1656
347 [이승재 교수님] 건강한 장수를 유도하는 돌연변이 유전자 발굴 생명과학과 2021.11.24 1506
346 [이승재 교수님] 국내 연구팀, 예쁜꼬마선충을 이용 새로운 항노화 단백질 찾아 생명과학과 2021.12.13 1774
345 [이승재 교수님] 면역력이 더 높은 성별과 그 이유를 밝혀내다​ 생명과학과 2024.07.19 1296
344 [이승재 교수님] 생체 노화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새로운 RNA 지표 발견​ 생명과학과 2022.12.08 2017
343 [이승재 교수님] 생체 에너지 발전소 부산물로 병원균 감염 제어​ 생명과학과 2023.07.11 1398
342 [이승희 교수님] 신경전달물질 소마토스타틴의 알츠하이머 독성 개선효과 발견​ 생명과학과 2022.07.25 1766
341 [이주형 학부생] 포스텍SF 어워드에서 생명과학과 학부생 이주형, 단편 부문 가작 선정 생명과학과 2022.02.10 1668
340 [이흥규 교수님] 난치성 뇌종양 치료의 새로운 가능성 열다​ 생명과학과 2024.11.06 693
339 [임대식 교수님] 3·1문화상(자연과학 부문) 수상 생명과학과 2025.01.13 493
338 [임대식 교수님] 지방세포 이용해 체중 감소 가능하다​ 생명과학과 2024.07.01 1109
337 [임정훈 동문교수님] “초파리로 루게릭병 잡는다” 임정훈 분자생물학자 생명과학과 2022.04.04 2224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3 Next
/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