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한국과학자들, 지난해 107종 발견..2년 연속 세계 1위

지난해 전세계적으로 발표된 새 박테리아 가운데 5개 중 1개는 한국과학자들이 발견한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기술부는 지난해 영국의 세계적 미생물학술지 IJSEM(국제 미생물계통분류학회지)에 등록된 박테리아 신종 547건중에서 한국과학자들의 발표건수가 107종(논문 99편)으로, 전체의 19.6%를 차지해 2005년에 이어 2년 연속 세계 1위를 차지했다고 21일 밝혔다.

이로써 우리나라는 신규 박테리아 100종 이상을 발표한 최초의 국가라는 신기록도 수립, 미생물 다양성 분야에서 기술강국으로 떠올랐다.

우리나라 과학자들이 발견한 미생물은 '동해', '갯벌'등 우리 고유명사로 명명되고 있으며 특히 2005년 독도에서 발견된 미생물은 '독도'로 이름지어져 국제사회에서 통용되고 있다.

미생물은 고부가가치 의약용 단백질이나 생리활성 물질, 효소 등을 생산하는 균주로 활용되고, 전통적 발효산업에 사용되는 등 산업적 가치가 매우 높지만 아직까지 미생물의 99%가 발견되지 않은 채 자연계에 존재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특히 박테리아는 생명공학 분야에서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는 미생물로, 자연계에 많게는 수백만 종이 존재할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나 현재까지 발견된 종은 8천여 종에 불과한 실정이다.

우리나라는 2002년 전까지는 박테리아 신종 발표 건수에서 세계 10위권 밖이었으나 2003년 세계 4위에 이어 2004년 세계 2위로 올라섰으며 2005년에는 68종(전체의 13.8%)을 발표, 근소한 차이로 일본을 제치고 세계 1위로 부상했다.

우리나라는 지난해 일본(61종, 논문 43편)과는 약 2배의 격차를 벌렸으며 미국(56종, 논문 37편), 독일(55종, 논문 37편), 중국(45종, 논문 33편) 등을 크게 앞섰다.

특히 과기부 미생물유전체활용기술개발사업단은 지난해 우리나라가 발표한 신종 박테리아 107건 중의 9.5%인 52종을 발표, 신종 박테리아 발견분야에서 우리나라가 세계 1위에 올라서는 데 결정적으로 기여했다.

연구기관별로는 한국생명공학연구원(원장 이상기)이 32종을 발표, 3년 연속 세계 1위를 차지했으며 한국농업미생물자원센터(18종), 한국과학기술원(16종), 서울대(14종)가 각각 세계 3∼5위에 랭크돼 세계 5위권에 한국기관이 4개나 포함됐다. 제주대(11종)도 공동 8위에 올랐다.

개별 연구자 순위에서는 윤정훈 박사(한국생명공학연구원)가 21종을 발표해 3년 연속 세계 1위를 차지했고 한국농업미생물자원센터 권순우 박사가 17종을 발표해 세계 2위로 뒤를 이었다.

이외에도 제주대 이순동 교수(세계 6위, 11종), 한국과학기술원 이성택 교수(세계 공동 7위, 10종),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김창진 박사(세계 10위, 9종)가 10위권에 이름을 올리는 등 한국 과학자들이 우수한 실적을 올렸다.

미생물유전체활용기술개발사업단 오태광 단장은 "최근 미생물 다양성 확보 분야에서 우리나라의 위상이 높아짐에 따라 외국에서 공동연구 제안이나 미생물 제공 요청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면서 "확보된 다양한 미생물 소재를 이용해 정밀화학 소재(효소, 기능성 미생물 등) 및 의약소재(항생물질, 재조합 의약품) 등을 발굴한다면 국내 미생물 산업을 선진국 수준으로 끌어 올릴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정내 기자 jnlee@yna.co.kr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54 [양한슬 교수님] 해양 속 82%까지 생분해되는 종이 포장재 개발 생명과학과 2024.05.20 1177
» [연합뉴스]신종 박테리아 5개중 1개꼴 한국과학자 발견...이성택교수 과사무실 2007.04.04 15935
352 [오병하 교수님] 뉴스의인물/ KAIST 생명과학과 오병하 교수 생명과학과 2022.03.21 1991
351 [오병하 교수님] 오미크론에도 듣는 범용 항체, 국내에서 개발 생명과학과 2022.02.04 1587
350 [유슬기(양한슬 교수님 연구실)] 제4회 'POSTECH SF 어워드', KAIST 유슬기 씨 당선 생명과학과 2024.02.27 1242
349 [유지환(허원도 교수님 연구실)] Merck-KAIST 대학원 국제 장학생 선정 file 생명과학과 2024.11.26 712
348 [이광록 교수님] 코로나바이러스 전염 메커니즘 규명​ 생명과학과 2025.02.17 213
347 [이승재 교수님 연구실] 과기정통부, ‘2022년도 건강한 연구실’ 10개 선정 생명과학과 2022.12.12 1596
346 [이승재 교수님] 건강한 장수를 유도하는 돌연변이 유전자 발굴 생명과학과 2021.11.24 1435
345 [이승재 교수님] 국내 연구팀, 예쁜꼬마선충을 이용 새로운 항노화 단백질 찾아 생명과학과 2021.12.13 1669
344 [이승재 교수님] 면역력이 더 높은 성별과 그 이유를 밝혀내다​ 생명과학과 2024.07.19 1192
343 [이승재 교수님] 생체 노화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새로운 RNA 지표 발견​ 생명과학과 2022.12.08 1945
342 [이승재 교수님] 생체 에너지 발전소 부산물로 병원균 감염 제어​ 생명과학과 2023.07.11 1299
341 [이승희 교수님] 신경전달물질 소마토스타틴의 알츠하이머 독성 개선효과 발견​ 생명과학과 2022.07.25 1675
340 [이주형 학부생] 포스텍SF 어워드에서 생명과학과 학부생 이주형, 단편 부문 가작 선정 생명과학과 2022.02.10 1580
339 [이흥규 교수님] 난치성 뇌종양 치료의 새로운 가능성 열다​ 생명과학과 2024.11.06 634
338 [임대식 교수님] 3·1문화상(자연과학 부문) 수상 생명과학과 2025.01.13 412
337 [임대식 교수님] 지방세포 이용해 체중 감소 가능하다​ 생명과학과 2024.07.01 1027
336 [임정훈 동문교수님] “초파리로 루게릭병 잡는다” 임정훈 분자생물학자 생명과학과 2022.04.04 2137
335 [전상용 교수님] 비알콜성 지방간염은 이제 MRI로 진단하세요 생명과학과 2024.04.02 891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3 Next
/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