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온실가스를 바이오 물질로 전환"…미생물 활용한 '인공광합성' 성공
KAIST 조병관 교수
                                                               

KAIST는 조병관 생명과학과 교수(사진) 연구팀이 기후 변화 요인인 C1 가스(이산화탄소 일산화탄소 메탄 등 탄소 1개로 된 가스)를 부가가치가 높은 바이오 화학물질로 전환하는 인공광합성 기술을 개발했다고 9일 발표했다.


C1 가스는 화석연료와 바이오매스, 폐기물의 가스화 과정에서 나온다. 온실효과, 환경오염 등을 일으키는 물질이다. 세계 각국이 C1 가스 리파이너리 기술 개발에 공을 들이는 이유다.

연구팀은 인공광합성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해 C1 가스를 아세트산으로 전환하는 아세토젠 미생물을 활용했다. 이 미생물은 바이오 촉매로서 잠재가치가 높은 것으로 평가돼왔다. 하지만 환원에너지를 값비싼 수소가스나 당에서 얻기 때문에 배양과정이 복잡하고 가격 경쟁력이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비교적 값이 싼 전기에너지로 당이나 수소를 대체하는 시스템이 고안돼 왔다. 전극 표면에 아세토젠 미생물을 부착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 역시 제한된 면적의 전극 표면에 부착할 수 있는 미생물 세포 수에 한계가 있고, 세포 수가 늘어나면 전기에너지 전달 효율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었다.

연구팀은 빛을 받아 전자를 내놓는 나노 크기의 광전극인 광나노 입자에 주목했다. 광나노 입자를 미생물에 합성하면 세포 수가 늘어나도 전기에너지 효율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고효율 광나노 입자를 화학적 방법으로 합성했다. 이를 아세토젠 미생물의 표면에 부착해 인공광합성 시스템을 구현했다.


조 교수는 “이번 연구로 기존 인공광합성 시스템의 한계를 극복했다”며 “광나노 입자로부터 생성된 전자를 효율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인공미생물 개발 연구에 실마리를 제공했다는 의의가 있다”고 설명했다.


https://www.etnews.com/20210309000100

https://www.hankyung.com/it/article/202103097058i

http://dongascience.donga.com/news/view/44600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6 [전상용 교수님] 항암치료용 인공탄수화물 기반 나노의약 개발​ 생명과학과 2022.07.12 1677
75 [조병관 교수님] 대량의 고농도 일산화탄소를 고부가가치 바이오케미칼로 전환하는 기술 개발 생명과학과 2022.07.15 1624
74 [김대수 교수님] “뇌는 무언가 실패하는 순간 발달...‘메타인지’로 창의성 키워야” [이노베이트코리아 2022] 생명과학과 2022.07.18 1916
73 [김은준 교수님] 대규모 한국인 자폐증 가족 유전체 연구를 통한 새로운 자폐 유전변이 최초 발견​ 생명과학과 2022.07.19 1503
72 [이승희 교수님] 신경전달물질 소마토스타틴의 알츠하이머 독성 개선효과 발견​ 생명과학과 2022.07.25 1821
71 [정원석 교수님] 카이스트, 노화된 뇌에서 생겨난 비정상적 별아교세포 ‘아프다(APDA)’발견 생명과학과 2022.08.08 2003
70 [김대수 교수님] 액트노바, 카카오벤처스로부터 5억 규모 시드 투자 유치 "육안으로 진행되던 임상·비임상 분야 행동 실험 과정, 인공지능 영상처리 기술로 자동화" 생명과학과 2022.08.10 1561
69 [김세윤, 정원석, 손종우 교수님] 인공지능 기반 약물 가상 스크리닝 기술로 신규 항암 치료제 발굴 성공 생명과학과 2022.08.12 1547
68 [김찬혁, 정원석 교수님] 심각한 염증 부작용 없앤 새로운 알츠하이머병 치료제 개발​ 생명과학과 2022.08.22 1830
67 [송지준 교수님] 헌팅턴병 발병원인 제거를 위한 치료제 개발 방법 제시​ 생명과학과 2022.09.02 1798
66 [김상규 교수님] 구글도 올라 탄 神으로 가는 길[과학을읽다] 생명과학과 2022.09.07 1932
65 [김은준 교수님] 자폐 진단․ 치료 골든타임, 동물실험으로 확인 생명과학과 2022.09.27 1435
64 [정인경 교수님] 기저 질환이 없는 코로나19 환자의 중증 신규 유전적 위험 인자 규명 생명과학과 2022.09.29 1483
63 [김세윤, 양한슬 교수님] 장 조직의 항상성과 염증성 장염 회복의 핵심 효소 발견​ 생명과학과 2022.10.07 1494
62 [서연수 교수님] ㈜엔지노믹스, 생명과학과에 발전기금 24억 기부​ 생명과학과 2022.10.14 1595
61 [김보람 박사님(서성배 교수님 연구실)] 2022년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 선정 file 생명과학과 2022.11.09 1534
60 [김보람 박사님(서성배 교수님 연구실)] 한국뇌연구원 제2회 다한우수논문상 선정 생명과학과 2022.12.07 1688
59 [이승재 교수님] 생체 노화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새로운 RNA 지표 발견​ 생명과학과 2022.12.08 2080
58 [이승재 교수님 연구실] 과기정통부, ‘2022년도 건강한 연구실’ 10개 선정 생명과학과 2022.12.12 1708
57 [조병관 교수님 연구실] 2022년 안전관리 우수연구실 선정 file 생명과학과 2023.01.27 1320
Board Pagination Prev 1 ...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Next
/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