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생명과학과 박태관 교수팀은 차세대 핵산계열 약물인 소간섭 알엔에이(small interfering RNA, siRNA)의 세포내 전달을 극대화시키는 획기적인 나노약물전달시스템을 개발하여 세계적인 저널인 ‘네이처 머티리얼 (Nature Materials)’ 지에 온라인 속보판으로 1월 24일 게재 됐다.

siRNA는 짧은 이중 가닥의 RNA 유전물질로 세포 내 특정 유전자를 분해하여 단백질로 발현되는 것을 강력하게 저해하는 작용을 한다. 매우 최근에 그 작용기전이 밝혀진 siRNA는 기존 저분자량 약물이나 단백질약물로 치료하기 어려운 난치성 질병의 강력한 치료제로 최근 각광을 받고 있어 꿈의 신약이라 불린다. 불과 지난 10년 사이에 발견된 siRNA는 신개념의 핵산 의약품으로, 향후 엄청난 규모의 시장을 형성하리라 기대가 되고 있다. 그러나 siRNA를 치료제로 개발하기 위하여는 효과적 약물전달시스템의 개발이 관건으로, 로슈(Roche)와 같은 다국적 제약 회사들이 이미 몇가지 siRNA 전달기술 확보에 이미 수조원대의 비용을 지불한 바 있다. 박교수팀은 화학적 결합 방법을 이용해 siRNA 단량체를 여러 개로 이어서 분자량이 증가되고 유연성이 있는 전혀 새로운 개념의 다중 접합체를 제조하였다. 이를 독성이 적은 양이온성 고분자와 안정된 나노복합체를 만들어, 단백질 발현 저해 효율이 매우 월등하고, 면역반응이 적은 혁신적 나노약물전달시스템을 개발했다.

박교수와 목혜정 박사(KAIST 생명과학과)팀에 의해 개발된 이 기술은 교육과학기술부 바이오신약장기사업단 지원으로 수행됐다. 박교수는 “이번 연구는 siRNA가 실제로 임상에서 유전자 치료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는 입증하는 연구성과다”며 “이 원천기술에 대해 국내외 지적재산권을 확보하고 해외 다국적제약 기업에 기술이전을 추진 중이다”고 말했다.


(대전=뉴스와이어) 2010년 01월 25일

H. Mok, S. H. Lee, J. W. Park, T. G. Park, (2010) Multimeric Small Interfering Ribonucleic Acid for Highly Efficient Sequence-specific Gene Silencing, Nature Materials, 9(3), 272-278.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45 김선창 교수 실험실(양경석 박사과정) ACS Catalysis 논문게재 (2015.07) / Kyung Seok Yang (prof. Sun Chang KIm's Lab) published a paper in ACS Catalysis 과사무실 2015.08.20 15743
244 김선창 교수, 글로벌프런티어 단장에 선정! 과사무실 2011.08.03 11793
243 김세원 박사과정(강창원 교수 lab), Santorini Best Poster Award 수상! 과사무실 2011.06.17 13183
242 김세윤 교수, '공포기억 소거'조절 효소 발견 file 생명과학과 2019.02.08 7115
241 김세윤 교수, 김은하 박사과정 학생 Science Advances 논문 게재(2017.04) / Prof. Seyun Kim and Eunha Kim, a Ph.D. candidate published a paper in Science Advances (2017.04) new new 생명과학과 2017.05.01 15564
240 김세윤교수님_보톡스처럼 신경 활성 억제하는 뇌 속 생체물질 찾았다 file 생명과학과 2020.03.26 3947
239 김은준 교수 연구팀, 자폐증 치료 가능성 열어 과사무실 2012.06.15 14196
238 김은준 교수 창의과제 신규 선정 과사무실 2003.09.08 14606
237 김은준 교수 포스코청암상 수상 과사무실 2013.02.05 11639
236 김은준 교수, '아산의학상' 기초의학 부문 수상자로 선정 file 생명과학과 2018.01.16 11319
235 김은준 교수, KAIST 지정 석좌교수로 임명 과사무실 2011.05.20 11410
234 김은준 교수, 기초과학연구원(IBS) 연구단장 10명에 선정! 과사무실 2012.05.09 15088
233 김은준 교수, 뇌 속 시냅스 생성 단백질 발견 과사무실 2009.04.06 11303
232 김은준 교수, 올해의 KAIST인상 수상 file 과사무실 2015.01.06 15927
231 김은준 교수, 제 26회 인촌상 수상! 과사무실 2012.08.30 11730
230 김은준 교수님_시냅스 뇌질환 연구 김은준 IBS단장 “치료약 없는 자폐 연구 도전” 생명과학과 2021.08.23 519
229 김은준 교수팀, 시냅스 가소성 조절 단백질 발견 과사무실 2009.09.14 11313
228 김은준 서연수 교수 우수교원 포상 과사무실 2004.02.13 13095
227 김은준교수 실험실, Nature Neuroscience 에 논문 게재(2015.01) / Professor Eun Joon Kim’s Lab Publishes in Nature Neuroscience 과사무실 2015.01.27 18970
226 김재섭 교수 논문 Nature Genetics 게재 과사무실 2005.01.31 13386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 21 Next
/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