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자연에 없는 고감도 단백질 센서 제작 플랫폼 개발​


(왼쪽부터) 생명과학과 오병하 교수, 이한솔 박사

< (왼쪽부터) 생명과학과 오병하 교수, 이한솔 박사 >


우리 대학 생명과학과 오병하 교수가 미국 워싱턴주립대학 (University of Washington)과 국제 공동연구를 수행해 고감도의 단백질 센서 플랫폼을 개발했다고 5일 밝혔다. 


단백질 센서들은 질병의 진단, 치료 경과의 추적, 병원 미생물의 감지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용되고 있는 단백질 센서들은 자연계에 존재하는 단백질이거나 이를 약간 변형한 형태이며 개발에는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공동연구팀은 자연에 존재하는 단백질에 의존하지 않고 계산적 단백질 디자인 방법으로 인공적인 골격 단백질을 창출했으며 이를 두 부분으로 나누고 심해 새우가 만드는 발광 단백질과 재조합해 단백질을 감지하는 기능을 부여했다. 이렇게 만들어진 두 요소(two-component) 단백질 시스템은 그 자체로는 발광하지 않다가 감지하려는 표적 단백질이 존재하면 이와 결합하고 결과적으로 발광하도록 디자인돼있다. 


그리고 그 발광 정도는 표적 단백질의 농도에 비례해 빛을 발생하기 때문에 발광의 세기를 측정함으로써 표적 단백질의 존재와 그 농도를 감지할 수 있다. 발생하는 빛은 시료의 전처리 없이도 감지할 수 있고, 발광 반응은 즉각적이며 1시간 안에 종료되기 때문에 기존 발색 반응의 측정보다 쉽다는 장점이 있다. 


연구진이 창출한 단백질 시스템은 마치 레고 블록처럼 사용돼 여러 다양한 단백질 센서를 용이하게 제작하는데 쓸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한다. 실제로 발표된 논문에는 B형 간염 바이러스 단백질 센서, 코로나바이러스 단백질 센서 등 8개의 고감도 단백질 센서를 실제로 제작해 이 단백질 센서 플랫폼의 높은 응용성을 보여준다. 


한편 이 단백질 센서의 작동 방식은 자연계에서는 그 예를 찾을 수 없어 자연의 모방을 넘어 자연에 존재하지 않는 단백질과 기능을 창출할 수 있다는 예를 보여준다.

개발된 단백질 센서 시스템의 작동 기작 모식도. 표적 단백질 (target)이 디자인된 결합 부위에 붙게 되면 빛을 발생한다. 결합 부위만 바꾸면 다른 표적 단백질을 감지할 수 있다.

< 개발된 단백질 센서 시스템의 작동 기작 모식도. 표적 단백질 (target)이 디자인된 결합 부위에 붙게 되면 빛을 발생한다. 결합 부위만 바꾸면 다른 표적 단백질을 감지할 수 있다. >


이번 연구는 LG연암문화재단의 지원으로 오병하 교수가 미국 워싱턴 주립대학 데이비드 베이커(David Baker) 교수 실험실에 1년간 방문한 공동연구로 진행됐으며, 생명과학과 이한솔 박사와 강원대학교 홍효정 교수가 참여했다. 수행된 이번 연구 결과는 연구의 우수성을 인정받아 종합 과학 분야의 국제학술지 `네이처(Nature)' 127게재됐다. (논문명 : De novo design of modular and tunable protein biosensors)


https://www.etnews.com/20210205000110

https://science.ytn.co.kr/program/program_view.php?s_mcd=0082&s_hcd=&key=202102051610498764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89 [허원도 교수님] RNA 유전자 가위 기술로 코로나바이러스 싹둑 생명과학과 2023.05.04 124
288 [허원도 교수님] 빛으로 뇌 기능, 행동, 감정을 자유롭게 조절한다​ 생명과학과 2021.12.03 391
287 [허원도, 윤기준 교수님] 제51주년 개교기념식 개교기념 우수교원 포상 및 특별포상에서 학술상, 우수강의상 수상 생명과학과 2022.02.16 416
286 ‘올해의 KAIST 교수상’ - 김재섭 교수 과사무실 2005.12.30 13424
285 故 박태관 교수가 남기고 간 '흔적'…세계적 학술지 '주목' 과사무실 2011.05.12 15317
284 故 박태관 교수님의 명복을 빕니다. 과사무실 2011.04.11 13094
283 靑 과기보좌관에 '여성과학인' 이공주 교수 임명 file 생명과학과 2019.02.22 5225
282 강은채 학생 창의활동상 수상 과사무실 2004.02.20 12810
281 강창원 교수 교무처장 인사발령 과사무실 2004.08.03 12320
280 강창원 교수, "디아이 학술상" 수상! 과사무실 2012.05.22 10709
279 강창원 교수, (통합)생화학분자생물학회 2010년도 회장 선임 과사무실 2009.11.05 12363
278 강창원 교수, 2010년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에 선정 과사무실 2010.12.13 11343
277 강창원 교수, 2010년 기초연구 우수성과 선정! 과사무실 2010.11.08 11663
276 강창원 교수, 2016년 제2회 바이오유공자 장관표창 수상 생명과학과 2016.11.10 11995
275 강창원 교수, KT 석좌교수 임용 과사무실 2014.02.26 12049
274 강창원 교수, 한빛대상 수상! 과사무실 2011.09.28 13060
273 강창원 교수님 생물학 교과서 다시 쓴다… RNA 합성 재생단계 국내 학계서 최초 규명 file 생명과학과 2020.01.29 4875
272 강창원, 김은준 교수팀, ADHD 유전자 찾았다 과사무실 2011.04.18 14497
271 개교 35주년 기념 우수교원 포상 - 김태국 교수(학술상), 김학성 교수(국제협력상) 과사무실 2006.02.15 11877
270 개교 36주년 기념 우수교원 포상 과사무실 2007.02.15 9892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 21 Next
/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