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myPhoto-3.jpg




- 학회 : 제 18차 KHUPO 프로테오믹스 국제학술대회 


- 수상 : Sartorius Young Scientist Award (Oral presentation)


- 연구 내용 :

 Histone H2BK120 ubiquitylation의 E3 ubiquitin ligase로 알려진 RNF20/40 complex의 새로운 substrate를 찾아, 기존에 알려진 RNF20/40의 생물체 내에서의 다양한 기능에 대한 메커니즘을 분자수준에서 규명하고자 합니다. 표준과학연구원 이진환 박사님과의 공동 연구를 통해 IP-MS 분석 기법을 이용하여 RNF20/40의 candidate substrate를 스크리닝하였습니다. 그리고 heat shock-responsive transcription factor로 알려진 eEF1BδL이 RNF20/40에 의해 381번째 lysine에 ubiquitylation 되는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RNF20/40에 의한 eEF1BδL의 ubiquitylation이 heat shock-responsive transcription을 촉진하는 것을 luciferase assay, ChIP assay, qPCR 등을 통해 확인하였습니다. Heat shock-responsive transcription은 세포가 stress를 받았을 때 이를 완화하기 위해 작동하는 가장 기본적인 transcriptional mechanism이므로, 저희의 연구는 기존에 알려진 RNF20/40의 cell viability, cancer 등에서의 역할을 설명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됩니다. 


그림1.jpg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56 오병하 교수님_자연에 없는 고감도 단백질 센서 제작 플랫폼 개발 생명과학과 2021.02.08 1896
355 [김상규 교수님] 꽃향기, 이젠 눈으로 보세요!​ 생명과학과 2022.05.10 1948
354 [정원석 교수님] 카이스트, 노화된 뇌에서 생겨난 비정상적 별아교세포 ‘아프다(APDA)’발견 생명과학과 2022.08.08 1957
353 손종우 교수님_비정형 항정신병 약물에 의한 비만의 원인 규명​ 생명과학과 2021.05.17 1964
352 서성배 교수님_동물 뇌 신경세포가 과식 억제한다 생명과학과 2021.06.16 1966
351 [김세윤, 이대엽 교수님] "후성유전 조절하는 핵심 분자기전 찾았다" 생명과학과 2022.06.02 1990
350 김대수 교수님_“뇌의 본능적 욕구 참고 기다리는 아이, 사회적으로 성공” 생명과학과 2021.09.06 2021
349 김진우 교수님, 천주교 서울대교구 생명위원회 제 15회 '생명의 신비상' 수상 생명과학과 2021.02.18 2033
348 [이승재 교수님] 생체 노화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새로운 RNA 지표 발견​ 생명과학과 2022.12.08 2035
347 한진희 교수님_기억이 만들어지는 원리 최초로 규명했다 생명과학과 2021.07.14 2044
346 [김윤기 교수님] 새로운 단백질 번역기전 규명 file 생명과학과 2023.10.12 2044
345 [오병하 교수님] 뉴스의인물/ KAIST 생명과학과 오병하 교수 생명과학과 2022.03.21 2103
344 [정원석 교수님] 제28회 삼성휴먼테크 논문대상에서 생명과학과 변유경 학생 은상 수상​ 생명과학과 2022.03.02 2116
343 허원도 교수님(유다슬이 박사)_제10회 에쓰-오일 우수학위논문상'의 생명과학 분야 대상 수상 생명과학과 2021.02.22 2133
342 [정현정 교수님] 유전자 가위와 약물로 동시에 암을 잡는 신약 개발 생명과학과 2023.08.03 2145
341 [김상규 교수님] 식물 유전자 비밀 푸는 김상규 카이스트 교수 생명과학과 2021.11.24 2146
340 조병관교수님_온실가스를 바이오 물질로 전환…미생물 활용한 '인공광합성' 성공 생명과학과 2021.03.10 2174
339 [조병관 교수님] 카이스트 조병관 교수팀, 합성생물학 기반 차세대 미생물 대사 조절 밸브 개발 생명과학과 2022.04.15 2182
338 [송지준 교수님] 호르몬 조절 원리와 구조 밝혀냈다 생명과학과 2022.05.06 2203
337 [임정훈 동문교수님] “초파리로 루게릭병 잡는다” 임정훈 분자생물학자 생명과학과 2022.04.04 2245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3 Next
/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