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오미크론 변이 코로나 바이러스(노란색)의 전자현미경 사진./호주 멜버른대 도허티 연구소
 
오미크론 변이 코로나 바이러스(노란색)의 전자현미경 사진./호주 멜버른대 도허티 연구소

오미크론을 포함해 모든 변이 코로나 바이러스에 듣는 항체가 국내에서 개발됐다. 앞으로 새로운 변이에 대항할 범용 항체로 개발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오병하 한국과학기술원(KAIST·카이스트) 생명과학과 교수 연구진은 “오미크론을 포함해 현재 유행 중인 모든 코로나19 변종 바이러스에 뛰어난 효과를 나타내는 중화(中和)항체를 개발했다”고 4일 밝혔다. 연구 결과는 항체 전문 학술지인 ‘단클론항체(mAbs)’에 실렸다.

코로나 바이러스는 표면의 스파이크 단백질을 인간 세포막에 붙어있는 ACE2 수용체에 결합시켜 세포 안으로 침입한다. 면역단백질인 중화항체는 스파이크의 수용체 결합 부위에 붙어 세포 침입을 막는다. 하지만 변이 코로나 바이러스는 수용체 결합부위에 돌연변이가 나타나 항체들이 결합하지 못하고 중화 효과가 없거나 떨어졌다.

연구진은 코로나 바이러스에서 돌연변이가 생기지 않는 부분에 강력하게 결합하는 항체를 컴퓨터로 설계했다. 이 설계도대로 햄스터 난소세포에서 항체를 생산했다. 이렇게 개발한 항체는 원숭이 신장세포로 진행한 실험에서 오미크론을 포함해 모든 변이 바이러스뿐만 아니라 이전에 사스(SARS·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를 유발한 코로나 바이러스(SARS-CoV-1)와 천산갑에 감염되는 코로나 바이러스에도 효과를 보였다.

연구진은 이번 항체가 장차 새로운 코로나 바이러스에도 대응할 수 있는 범용 항체 치료제 후보가 될 수 있다고 기대했다. 오병하 교수는 “이번에 개발한 항체는 (단백질 성분인)아미노산 서열이 거의 바뀌지 않는 표면에 결합하기 때문에 향후 출현할 수 있는 신·변종 코로나바이러스에 즉각 대응할 수 있는 치료 물질이 될 수 있다는데 큰 의의가 있다ˮ라고 밝혔다.

이번 논문의 제1저자는 카이스트 생명과학과의 정보성 박사과정 연구원이며, 연세대 조현수 교수와 한국화학연구소 김균도 박사 연구팀도 연구에 참여했다.

https://www.chosun.com/economy/science/2022/02/04/26OM56NEPJG5HNNJE7QC2RJGZE/?utm_source=naver&utm_medium=referral&utm_campaign=naver-news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29 [송지준 교수님] 헌팅턴병 발병원인 제거를 위한 치료제 개발 방법 제시​ 생명과학과 2022.09.02 285
328 [송지준 교수님] 호르몬 조절 원리와 구조 밝혀냈다 생명과학과 2022.05.06 609
327 [연합뉴스]신종 박테리아 5개중 1개꼴 한국과학자 발견...이성택교수 과사무실 2007.04.04 14921
326 [오병하 교수님] 뉴스의인물/ KAIST 생명과학과 오병하 교수 생명과학과 2022.03.21 521
» [오병하 교수님] 오미크론에도 듣는 범용 항체, 국내에서 개발 생명과학과 2022.02.04 333
324 [이승재 교수님 연구실] 과기정통부, ‘2022년도 건강한 연구실’ 10개 선정 생명과학과 2022.12.12 383
323 [이승재 교수님] 건강한 장수를 유도하는 돌연변이 유전자 발굴 생명과학과 2021.11.24 315
322 [이승재 교수님] 국내 연구팀, 예쁜꼬마선충을 이용 새로운 항노화 단백질 찾아 생명과학과 2021.12.13 445
321 [이승재 교수님] 생체 노화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새로운 RNA 지표 발견​ 생명과학과 2022.12.08 285
320 [이승희 교수님] 신경전달물질 소마토스타틴의 알츠하이머 독성 개선효과 발견​ 생명과학과 2022.07.25 294
319 [이주형 학부생] 포스텍SF 어워드에서 생명과학과 학부생 이주형, 단편 부문 가작 선정 생명과학과 2022.02.10 374
318 [임정훈 동문교수님] “초파리로 루게릭병 잡는다” 임정훈 분자생물학자 생명과학과 2022.04.04 527
317 [전상용 교수님] 항암치료용 인공탄수화물 기반 나노의약 개발​ 생명과학과 2022.07.12 320
316 [정원석 교수님] 제28회 삼성휴먼테크 논문대상에서 생명과학과 변유경 학생 은상 수상​ 생명과학과 2022.03.02 439
315 [정원석 교수님] 카이스트, 노화된 뇌에서 생겨난 비정상적 별아교세포 ‘아프다(APDA)’발견 생명과학과 2022.08.08 417
314 [정인경 교수님] 기저 질환이 없는 코로나19 환자의 중증 신규 유전적 위험 인자 규명 생명과학과 2022.09.29 215
313 [정인경 교수님] 암, 노화 등에 미치는 게놈 3차 구조의 신규 원리 발견​ 생명과학과 2023.04.10 142
312 [정인경 교수님] 파킨슨병 발병 3차원 게놈 지도 최초 제시​ 생명과학과 2023.05.08 114
311 [정현정 교수님] 유전자 가위로 생체 내 정밀한 유전자 교정에 의한 면역 항암 치료​ 생명과학과 2022.01.18 483
310 [조병관 교수님 연구실] 2022년 안전관리 우수연구실 선정 file 생명과학과 2023.01.27 157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1 Next
/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