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왼쪽부터) 생명과학과 김진우 교수, 민광욱 박사

< (왼쪽부터) 생명과학과 김진우 교수, 민광욱 박사 >

 

인간을 비롯한 대부분 동물의 신체 기관들은 대칭적 구조를 가지고 있다이를 통해 몸의 좌우 균형을 맞추고움직이고반응을 할 수 있게 된다동물의 시각이 시작되는 안구 역시 머리의 양쪽에 하나씩 위치하며 한쪽 눈으로 볼 때 보다 더 넓은 영역의 물체를 인식할 수 있게 된다사람이나 고양이 같은 경우는 양쪽 눈이 정면을 향하고 있고개나 쥐 같은 동물은 눈이 사람보다 측면부를 향해 있고많은 물고기의 경우는 두 눈이 완전히 반대쪽을 향하고 있다이로 인해 좌우측 눈이 받아들이는 이미지 역시 차이를 보이게 된다인간의 경우 좌측과 우측 눈이 인식하는 이미지의 50%에 가까운 영역이 겹치는 반면생쥐의 경우는 5% 이하의 영역이 중복이 되며물고기는 중복된 영역이 거의 없다이들 겹치는 시각 영역 이미지의 위상차를 뇌가 인식해 동물은 물체의 입체감을 느낄 수 있다물체가 움직이는 경우에는 좌측 눈과 우측 눈에 감지된 물체의 이미지의 시간차 정보가 뇌에서 처리되어 물체의 이동 경로를 감지하고 예측할 수 있게 된다결국중복된 시각 영역이 넓을수록 외부 물체의 입체감과 이동을 더 잘 감지할 수 있게 되어대부분 포식 동물들이 넓은 중복 영역을 확보하기 위해 안구를 정면에 위치하는 경우가 많다. 

이렇게 좌우 안구에서 인식된 이미지를 뇌의 특정 영역에 전달하기 위해 눈에서 나온 시신경은 뇌의 좌우 반구에 모두 연결이 되어 있다흥미롭게 좌우 반구로 연결되는 시신경 비율은 좌우 안구 이미지의 중복 비율에 역비례해서인간의 경우 50% 시신경이 반대쪽 뇌로 연결되고생쥐의 경우 95% 내외물고기는 100% 반대쪽으로 연결된다시신경이 좌측 또는 우측 중 어느 쪽 뇌로 뻗어 나갈 것인지를 결정하는 과정은 시신경이 눈에서 출발해 시상하부 영역에 도달할 때 시상하부 중간선에 존재하는 경로 결정자(pathway selection cue)에 의해 일어난다고 알려져 있다오랜 동안 이러한 동물의 양안 시각계 (binocular visual system)의 핵심인 시상하부 중간선에서 경로 결정에 관련된 메커니즘을 이해하려는 시도가 있어 왔고 일부 경로 결정 인자들이 밝혀진 바도 있다하지만핵심인자의 부재로 이 과정에 대한 명확한 이해는 부족한 상황이었다. 

생명과학과 김진우 교수 연구실에서는 시신경 및 시상하부 중간선에 많이 발현되는 VAX1 유전자에 대한 연구를 수행해 오고 있다이 유전자가 결핍된 생쥐와 사람은 시신경이 제대로 성장하지 못하고 시신경이 시상하부에서 교차하지 못하는 발달 이상을 보였다. VAX1이 호메오도메인을 가지는 전사인자의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당연히 시상하부에서 경로 결정자의 유전자 발현을 조절해 시신경 교차(optic chiasm)를 생성할 것이라고 추정하였으나김교수 연구팀에서는 VAX1이 시상하부 세포에서 전사인자로 기능하기 보다는 눈의 망막신경절세포에서 뻗어 나온 시신경 축삭(axon)에서 mRNA 번역인자로 작용하여 시신경의 성장을 유도한다는 놀라운 사실을 발견하여 2014년 발표한 바 있다하지만, VAX1이 전혀 없는 동물은 두개골 기형 때문에 생존하기 어려워 이러한 VAX1 이상으로 인해 시신경 교차가 없는 동물의 시각 반응 및 행동에 대한 이해는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었다. 

김 교수 연구실에서 VAX1의 전사인자 기능은 유지한 채 시신경 축삭에 작용하지 못하는 VAX1(AA) 생쥐를 제작하였고이 생쥐는 외형적 이상이 전혀 없이 정상적으로 태어나 성장하였다다만, VAX1(AA) 생쥐는 모든 시신경이 안구와 같은 쪽 뇌에만 연결되는 시신경 교차 결핍증(agenesis of optic chiasm, AOC)을 나타냈다이 생쥐의 시각을 다양한 방법을 통해 검증한 결과눈 속의 신경 조직인 망막이 빛을 감지하는 기능은 정상이나 입체 시각이 전혀 없었고시력 역시 저하되어 있었다. 

그림 1 설명. 생쥐의 왼쪽 눈에 붉은색 형광물질(CTB-Alexa594)를 오른쪽 눈에는 녹색형광물질(CTB-Alexa488)을 주입하고 이틀 뒤 생쥐 뇌를 적출하여 중뇌상구(superior colliculus, SC)에 연결된 각 눈의 시신경에서 나온 형광 신호를 검출하여 좌우측 시신경을 감별하였다. 정상 생쥐(Vax1+/+)의 경우 시상하부 중간선에 좌측과 우측 시신경이 합쳐진 다음 교차하는 시신경 교차(optic chiasm, OC)가 존재하는 반면 , Vax1AA/AA 생쥐 경우는 시신경이 중간선에 도달하지 않고 그대로 같은 쪽 뇌로 진행한다. 따라서, 정상 생쥐는 좌측 눈에서 나온 붉은색 형광물질이 우측 뇌에 집중적으로 검출이 되지만 Vax1AA/AA 생쥐는 이 신호가 왼쪽 뇌에만 보이는 반전된 연결 양상을 나타낸다.

< 그림 1 설명. 생쥐의 왼쪽 눈에 붉은색 형광물질(CTB-Alexa594)를 오른쪽 눈에는 녹색형광물질(CTB-Alexa488)을 주입하고 이틀 뒤 생쥐 뇌를 적출하여 중뇌상구(superior colliculus, SC)에 연결된 각 눈의 시신경에서 나온 형광 신호를 검출하여 좌우측 시신경을 감별하였다. 정상 생쥐(Vax1+/+)의 경우 시상하부 중간선에 좌측과 우측 시신경이 합쳐진 다음 교차하는 시신경 교차(optic chiasm, OC)가 존재하는 반면 , Vax1AA/AA 생쥐 경우는 시신경이 중간선에 도달하지 않고 그대로 같은 쪽 뇌로 진행한다. 따라서, 정상 생쥐는 좌측 눈에서 나온 붉은색 형광물질이 우측 뇌에 집중적으로 검출이 되지만 Vax1AA/AA 생쥐는 이 신호가 왼쪽 뇌에만 보이는 반전된 연결 양상을 나타낸다. >

 

 

흥미로운 점은 VAX1(AA) 생쥐의 눈이 아무런 자극이 없는 상태에서도 지속적으로 상하궤도 운동을 하는 시소안구진탕증(Seesaw Nystagmus)를 보인다는 것이었다이러한 시소안구진탕증은 시신경 교차에 이상이 있는 사람과 벨지안쉽도그(Belgian sheepdog)에서도 관찰이 된 바 있어서 시신경 교차 결여가 VAX1(AA) 생쥐의 안구 운동 이상의 원인임을 알 수 있었다. 

더욱 흥미로운 점은 VAX1(AA) 생쥐의 시각 운동 반응이 반전되어 있다는 점이었다왼쪽 눈에 빛을 주면 오른쪽 동공이 먼저 축소되고물체 이동을 감지한 후에는 움직이던 눈이 오히려 정면을 응시하는 등시각 정보와 반대되는 안구의 움직임을 보였다. VAX1(AA) 생쥐는 시신경 교차에만 이상이 있고 시각을 처리하는 뇌 부위는 정상적으로 형성이 되어 있기 때문에이 결과는 우측 눈에서 오는 신호를 처리해 우측 눈으로 운동 정보를 보내야 할 좌측뇌가 정작 좌측 눈에서 오는 신호를 받아 우측 눈을 자극하는 입력-출력 반전(input-output inversion) 현상 때문으로 해석되었다하지만아직 VAX1(AA) 생쥐의 좌측 눈에서 들어 온 시각 신호가 어떤 뇌 부위를 안구로 다시 전달되는지에 대한 정보가 거의 전무하기 때문에 이러한 반전된 시각-운동 신경망에 대한 이해는 부족한 상황이다이를 해결하기 위해 김교수팀은 시각 자극을 받은 VAX1(AA) 생쥐의 뇌를 자기 공명 영상 분석하는 공동 연구를 시작하였다이 연구를 통해 동물의 시각 정보가 어떤 경로로 뇌에서 처리되어 운동 신경을 활성화 할 수 있는지에 대한 이해를 심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그림 2 설명. 생쥐의 전면부에 수직 막대 모양의 이미지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시키면 정상 생쥐(Vax1+/+)는 이에 따라 눈을 움직이는 반응을 나타낸다. 반면, Vax1AA/AA 생쥐는 시각 운동 자극이 없을 때 눈을 계속 움직이고 있다가 수직 막대 이미지를 회전시키면 오히려 눈의 움직임을 멈추고 응시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이는 Vax1AA/AA 생쥐의 시각-운동 신경망이 정상과 반대로 작동할 것이라는 해석을 제공한다.

< 그림 2 설명. 생쥐의 전면부에 수직 막대 모양의 이미지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시키면 정상 생쥐(Vax1+/+)는 이에 따라 눈을 움직이는 반응을 나타낸다. 반면, Vax1AA/AA 생쥐는 시각 운동 자극이 없을 때 눈을 계속 움직이고 있다가 수직 막대 이미지를 회전시키면 오히려 눈의 움직임을 멈추고 응시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이는 Vax1AA/AA 생쥐의 시각-운동 신경망이 정상과 반대로 작동할 것이라는 해석을 제공한다. >

 

 

 

이번 연구는 국제학술지인 Experimental & Molecular Medicine (https://doi.org/10.1038/s12276-023-00930-4) 23일자로 발표됐다. KAIST 생명과학과 김진우 교수 연구팀 민광욱 박사가 제1저자로 연구를 주도하였고생명과학과 이승희 교수 연구팀바이오및뇌공학과 박영균 교수 연구팀연세대학교 이한웅 교수 연구팀한국뇌연구원 김남석 박사기초과학연구원 이창준 박사 연구팀이 함께 참여하였다본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중견연구자연구지원사업과 선도연구센터사업그리고 KAIST 국제공동연구지원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https://news.kaist.ac.kr/news/html/news/?mode=V&mng_no=27310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90 전상용 교수, 암 치료를 위한 새로운 펩타이드-항체 복합체(하이브리드) 기술 개발 file 생명과학과 2019.02.21 6076
89 전상용 교수, 차세대 면역항암제 플랫폼 개발 위한 공동연구협약 체결 / Professor Sangyong Jon, make a research-cooperation contract for developing next-genreation anti-cancer drug platform 관리자 2016.01.08 16106
88 전상용 교수님_ 면역항암제 효율 높인 나노입자 백신 개발 file 생명과학과 2020.06.17 3201
87 전상용 교수님_Researchers review future directions of nanomedicine development 생명과학과 2020.12.28 984
86 전상용, 송지준 교수님_다양한 변이에도 면역 가능한 인플루엔자 백신 개발 생명과학과 2021.06.30 708
85 전상용,이대엽 임성갑 교수, 암 줄기세포 제작 원천기술 개발 file 생명과학과 2018.11.30 6708
84 전상용교수님_항암제 표적 단백질을 약물 전달체로 쓴다?​ file 생명과학과 2020.08.26 2869
83 정원석 교수_ 삼성전자, ‘세계 알츠하이머의 날’ 맞아 연구원 노력 담은 영상 공개 생명과학과 2020.09.21 2585
82 정원석 교수님_Astrocytes eat connections to maintain plasticity in adult brains 생명과학과 2020.12.28 1763
81 정원석 교수님_KAIST, 신경세포의 흥분성 증가로 인한 뇌 질환 기제 규명 생명과학과 2021.06.03 1342
80 정원석 교수님_국내 연구진, 우리 뇌가 계속 일할 수 있는 이유 밝혀 생명과학과 2021.02.26 1611
79 정유진 석사과정 학생, 조병관 교수 Nature Communications 논문 게재(2016.06) / Yujin Jeong, a Master's degree student and Prof. Byung-Kwan Cho published a paper in Nature Communications (2016.06) 생명과학과 2016.06.07 14194
78 정인경 교수, 인체 조직읜 3차원 게놈지도 해독 file 생명과학과 2019.09.25 4566
77 정인경 교수님_KAIST, 전 세계 최대 규모의 3차원 암 게놈 지도 구축 생명과학과 2020.12.29 1243
76 정인경 교수님_유전자 온-오프 스위치 비밀 밝히는 정인경 카이스트 교수 생명과학과 2021.07.26 1052
75 정종경 교수 이달의 과학기술자상 12월 수상자로 선정 과사무실 2006.12.11 12329
74 정현정 교수, 한국 로레알-유네스코 여성과학자상 펠로우십 수상 file 생명과학과 2019.07.04 5594
73 정현정 교수님_도파민의 성질로 박테리아 생장의 실시간 탐지 기술 개발​ 생명과학과 2020.12.09 1309
72 정현정교수_ 커피링 효과로 감염병 신속진단 기술 개발 생명과학과 2020.09.17 2322
71 정형록 박사과정 학생, 최광욱 교수 Development Cell 게재(2016.02) / Hyung-Lok Chung, a Ph.D candidate and Prof. Kwang-Wook Choi published a paper in Dev. Cell (2016.02) 생명과학과 2016.03.11 12049
Board Pagination Prev 1 ...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Next
/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