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http://www.hellodd.com/kr/news/news_view.asp?t=e_valy&mark=7602http://www.hellodd.com/kr/news/news_view.asp?t=e_valy&mark=7602
KAIST 임대식 교수팀...암 조기진단 및 신약개발에 기여

암을 발생시키거나 증식을 억제하는 유전자가 국내 연구진에 의해 세계 최초로 규명됐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 생명과학과 임대식(38) 교수 연구팀은 2년여의 연구끝에 항암 유전자인 '라스에프원에이'(RASSF1A)의 세포내 역할을 규명하는데 성공했다고 5일 밝혔다.

'라스에프원에이' 유전자는 그동안 기능과 역할에 대해 전혀 알려진 것이 없어 암을 연구하는 과학자들의 주요 관심 유전자였다.

하지만 임 교수팀은 암 발생 초기에 활동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진 '라스에프원에이' 유전자가 세포분열 과정에서 핵심 역할을 하는 사이클린 단백질의 안정성을 조절함으로써 정확한 세포분열 진행시간을 제어, 암 발생을 억제한다는 생명원리를 밝혀냈다.

임 교수팀은 실험과정에서 '라스에프원에이' 단백질은 세포분열시 방추사와 중심체에 위치해 'Cdc20'라는 단백질 기능을 억제하고 사이클린을 포함한 여러 단백질을 안정화시킨다는 사실을 규명했다. 

또, 정상세포에서 '라스에프원에이' 유전자 발현이 없을 경우 비정상세포의 분열을 유발하고 세포분열 진행시간을 촉진시켜 정상세포가 암세포와 같은 형질을 보인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이러한 실험결과를 근거해 임 교수팀은 '라스에프원에이' 유전자가 암 발생 초기에 발현되지 않으면 염색체 이상을 야기하고 또 다른 항암 유전자의 돌연변이를 촉진시켜 결국 악성 종양으로 발전시킬 수 있다는 새로운 가설을 제안했다. 

특히 이 연구결과는 암 발생 진행과정과 세포분열기 이전의 기초적인 생명현상을 이해하는 데 획기적인 기여를 할 것으로 여겨져 세계적인 학술지인 '네이처 세포생물학誌(Nature Cell Biology)' 2월호 표지로 발표됐다.

임 교수는 "현재 '라스에프원에이' 유전자가 없는 생쥐모델을 만들어 암 발생기전을 연구중에 있다"면서 "앞으로 암환자 시료를 분석해 '라스에프원에이' 발현 여부에 따른 암 진단과 예후판정 연구를 확대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과기부 관계자는 "이번 연구결과는 여러 암 조기진단 뿐만 아니라 예후판정과 신약개발을 위한 중요한 정보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한편 임 교수는 과학기술부 21세기 프론티어연구사업인 '인간유전체기능연구사업단'의 암관련 후보유전자 기능연구 과제 연구책임자로 참여하고 있다.
042-869-2635

<대덕넷 김요셉기자> joesmy@hellodd.com

▶ 관련기사 : 과학기술부 (MOST) 보도자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90 이승희 교수님_시각 정보 인식해 행동 결정하는 대뇌 신경회로 과정 밝혀 생명과학과 2021.08.30 480
89 양한슬 교수님_ 서경배과학재단 2021년 신진과학자 선정 file 생명과학과 2021.08.31 649
88 김대수 교수님_“뇌의 본능적 욕구 참고 기다리는 아이, 사회적으로 성공” 생명과학과 2021.09.06 733
87 2021 Agrwal Award 시상식이 9월 9일(목) 오후 4시_이준혁 학생(정원석 교수) file 생명과학과 2021.09.06 616
86 2021 대성해강미생물포럼_좌장 조병관 교수, 연사 김대수 교수_21.09.28(화) 13:00~ file 생명과학과 2021.09.13 562
85 서성배 교수님(김보람 연수연구원)_제20회 한국 로레알-유네스코 여성과학자상 수상 file 생명과학과 2021.09.27 1194
84 [이승재 교수님] 건강한 장수를 유도하는 돌연변이 유전자 발굴 생명과학과 2021.11.24 444
83 [김상규 교수님] 식물 유전자 비밀 푸는 김상규 카이스트 교수 생명과학과 2021.11.24 601
82 [김찬혁 교수님] 카이스트, 면역관문 신호 극복하는 차세대 CAR-T 세포 치료제 개발 생명과학과 2021.11.24 630
81 [한진희 교수님] 카이스트, 뉴런(신경 세포) 교체에 의한 기억저장 규명 생명과학과 2021.11.24 468
80 [김학성 교수님] 카이스트, 거대 단백질 구조체를 레고 블록 쌓듯 조립하는 기술 개발 생명과학과 2021.11.24 682
79 [허원도 교수님] 빛으로 뇌 기능, 행동, 감정을 자유롭게 조절한다​ 생명과학과 2021.12.03 507
78 [이승재 교수님] 국내 연구팀, 예쁜꼬마선충을 이용 새로운 항노화 단백질 찾아 생명과학과 2021.12.13 581
77 [진에딧 이근우 대표] 한국인이 세운 ‘유전자 가위’ 스타트업… 실리콘밸리가 침흘리는 이유 생명과학과 2021.12.20 896
76 [조원기 교수님] 세포 기능 결정에 핵심 역할 유전자 발현 단백질 찾았다 생명과학과 2021.12.24 585
75 [조병관 교수님] 한국연구재단, 노화 방지하고 회춘하는 방법 제시 생명과학과 2022.01.13 644
74 [정현정 교수님] 유전자 가위로 생체 내 정밀한 유전자 교정에 의한 면역 항암 치료​ 생명과학과 2022.01.18 617
73 [오병하 교수님] 오미크론에도 듣는 범용 항체, 국내에서 개발 생명과학과 2022.02.04 439
72 [김찬혁 교수님] 서울대병원, '꿈의 항암제' CAR-T 임상1상 본격 돌입 생명과학과 2022.02.04 600
71 [이주형 학부생] 포스텍SF 어워드에서 생명과학과 학부생 이주형, 단편 부문 가작 선정 생명과학과 2022.02.10 497
Board Pagination Prev 1 ...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Next
/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