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강창원.png 강창원 교수님

생물학 교과서 다시 쓴다… RNA 합성 재생단계 국내 학계서 최초 규명

한국 연구자들이 생물학 교과서를 다시 썼다. 생명체가 유전정보(DNA)를 발현하는 과정에서 RNA를 합성하는 복합체를 재사용하는 과정이 처음으로 밝혀졌다.  
 
한국연구재단은 강창원 KAIST 생명과학과 명예교수와 홍성철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교수 공동 연구팀이 DNA를 토대로 단백질을 합성하는 유전자 발현과정의 세부단계 하나를 새로 규명했다고 23일 밝혔다. 기존에는 RNA가 완성되면 합성 복합체가 곧장 완전히 해체되었다가 다시 조립되는 것으로 추정해 왔다.
 
 
유전정보가 담긴 원본(DNA)으로부터 복사본(RNA)을 만드는 전사과정은‘개시-연장-종결’세 단계였으나, 이번 연구를 통해 네 번째 단계, ‘재생’이 새로 추가됐다. 전사과정을 주도하는 RNA 중합효소의 역할이 알려진 지 60여 년 만에 RNA 합성이 끝나고 어떻게 다시 시작되는 지 구체적으로 알려진 것이다.
전사과정의 네 단계. 지금까지는 전사과정을 개시, 연장, 종결의 세 단계로 나누었으나, 이번 연구에서 종결 이후 4번째 단계가 발견되어 재생단계라고 명명되었다. 자료=강창원 교수

전사과정의 네 단계. 지금까지는 전사과정을 개시, 연장, 종결의 세 단계로 나누었으나, 이번 연구에서 종결 이후 4번째 단계가 발견되어 재생단계라고 명명되었다. 자료=강창원 교수

 
연구팀은 거푸집 역할을 하는 DNA로부터 RNA가 본떠진 이후에도 중합효소가 DNA로부터 떨어지지 않고 DNA상에서 이동하는 것을 알아냈다. 나아가 이렇게 잔류한 중합효소가 DNA상에서 자리를 옮겨 전사를 다시 시작하는 것을 알아내고 ‘재개시’(再開始ㆍreinitiation)라고 이름지었다.  
 
중합효소는 마치 선로 위를 달리는 기차처럼 DNA 위를 이동하면서 RNA를 합성하다가 완성된 RNA를 방출한다. 기존에는 RNA 방출과 동시에 중합효소가 DNA로부터 떨어져 나온 후 다시 전사 복합체가 만들어져 전사과정을 되풀이하는 것으로 추정해왔다. 하지만 이번 연구결과, 대부분의 경우 중합효소가 DNA에서 떨어지지 않고 계속 붙은 채로 이동하다가 새로 전사과정을 시작하는 것을 알아냈다.  
 
 
연구팀은 우리 생명체가 복잡한 전사복합체를 해체하고 다시 조립하는 것보다 경제성을 택한 것으로 해석했다. 실제 한 유전자에서 전사를 연속해서 수행하거나 인접한 여러 유전자를 한꺼번에 전사할 때 매우 효율적일 것으로 보인다. 전사반응은 모든 세포에서 일어나는 매우 기본적인 과정으로, 고등학교 생물학 교과서에서부터 나오는데 연구팀은 이번 발견으로 전사의 ‘재생’과 ‘재개시’단계가 추가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연구논문의 공동 교신저자를 맡은 강창원(69) KAIST 생명과학과 명예교수는 “이 연구를 8-9년 전에 시작해 3년 전 은퇴하기 전에 주요 결과를 이미 얻었지만 추가로 보강 실험을 수행하느라 발표가 늦어졌다”며 “분자생물학의 근간인 유전자발현의 기본적인 기작 하나를 규명하게 돼 크게 보람을 느낀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의 성과는 23일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에 게재됐다. 서울대 강우영 연구원과 KAIST 하국선 박사가 공동 제1저자로 이름을 올렸다.
[출처: 중앙일보]
https://news.joins.com/article/23689477    
     
최준호 과학ㆍ미래 전문기자 joonho@joongang.co.kr 

[출처: 중앙일보] 생물학 교과서 다시 쓴다… RNA 합성 재생단계 국내 학계서 최초 규명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60 김상규 KAIST 교수, 제12회 여천생태학상 받아 file 생명과학과 2019.08.12 6675
159 이승재 교수, 올리브유의 노화 방지 및 장수 효과 입증 file 생명과학과 2019.08.22 5926
158 윤기준 교수, '2019 서경배과학재단 신진 과학자' 선정 file 생명과학과 2019.09.23 6252
157 정인경 교수, 인체 조직읜 3차원 게놈지도 해독 file 생명과학과 2019.09.25 4922
156 허원도 교수, 항체를 빛으로 활성화 시키는 항체광유전학 기술 개발 file 생명과학과 2019.10.28 5617
155 허원도 교수, Nature Methods지 11월호 This Month로 소개됨 file 생명과학과 2019.10.28 8067
154 서성배 교수, 당뇨에 큰 영향 미치는 뇌 혈당조절 신경세포 발견 file 생명과학과 2019.10.30 5077
153 KAIST 김승중 교수 (생명과학과 겸임교수) 대한민국바이오의약품대상 수상 file 생명과학과 2019.11.04 5744
152 허원도 교수, 광유전학 신경세포 수용체 활성조절로 신경세포분화 운명 제어 성공(Cell Chemical Biology 표지논문 발표) file 생명과학과 2019.12.24 4925
151 임대식 교수, 천주교 서울대교구 생명위원회 제 14회 '생명의 신비상' 수상 file 생명과학과 2019.12.26 5198
150 송지준교수, 조수민 연구교수, 장주원 박사과정학생 nature communications 논문 게재 file 생명과학과 2020.01.02 57527
149 허원도 교수님_머리에 빛 비춰 공간기억 및 공감능력 높이는 광유전학 기술개발 file 생명과학과 2020.01.21 5715
» 강창원 교수님 생물학 교과서 다시 쓴다… RNA 합성 재생단계 국내 학계서 최초 규명 file 생명과학과 2020.01.29 5382
147 손종우 교수님_ 소금 섭취 제어할 수 있는 신체 메커니즘 규명 file 생명과학과 2020.02.12 5265
146 허원도 교수님_빛으로 RNA 이동과 단백질 합성 조절한다 file 생명과학과 2020.02.20 4512
145 김세윤교수님_보톡스처럼 신경 활성 억제하는 뇌 속 생체물질 찾았다 file 생명과학과 2020.03.26 4431
144 조병관 교수님_ 미생물 이용한 탄소 가스 활용기술 개발 file 생명과학과 2020.03.27 3806
143 제5회 연구노트 경진대회(Lab Note Contest) 시상식 file 생명과학과 2020.04.03 4782
142 2020년 우수논문상 file 생명과학과 2020.04.03 4219
141 이승희 교수님_KAIST, 뇌 인지기능 높이는 물질 발견… 치매 치료 효과 기대 file 생명과학과 2020.04.26 5300
Board Pagination Prev 1 ...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 22 Next
/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