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06111202771<ype=1&nid=004&sid=010404&page=1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06111202771<ype=1&nid=004&sid=010404&page=1고규영(KAIST 생명과학):혈관생성촉진제 이용 만성신장질환 치료물질 개발(미국신장학회지 06년 9월호)

○ 김성훈(서울대 약대):혈당 조절하는 당뇨병 예방 단백질 발견(미국국립학술회원보 06년 9월호)

○ 김양균(중앙대 의대):Z형 DNA 접합 부위를 세계 최초 규명(네이처 05년 10월20일자 표지논문)

○ 백성희(서울대 생명과학):암 전이 관여 단백질 발견(네이처 셀바이올로지 06년 5월14일)

○ 오병하(포스텍 생명과학):암세포 억제 단백질 발견(네이처 셀바이올로지 06년 6월25일)

○ 이원재(이화여대 분자생명과학):장내 미생물 증식 조절 메커니즘 최초 규명(사이언스 05년 11월4일)

정종경(KAIST 생명과학):파킨슨씨병 원인 규명(네이처 06년 6월29일)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4 [김학성 교수님] 카이스트, 거대 단백질 구조체를 레고 블록 쌓듯 조립하는 기술 개발 생명과학과 2021.11.24 1723
73 [김학성 교수님] 알츠하이머 조기 진단하는 센서단백질 디자인하다​ 생명과학과 2023.12.08 1314
72 [김학성 교수님, 김홍식 박사님] 암세포에만 약물 전달 가능한 클라트린 조립체 개발​ 생명과학과 2023.03.15 1374
71 [김찬혁, 정원석 교수님] 심각한 염증 부작용 없앤 새로운 알츠하이머병 치료제 개발​ 생명과학과 2022.08.22 1676
70 [김찬혁 교수님] 카이스트, 면역관문 신호 극복하는 차세대 CAR-T 세포 치료제 개발 생명과학과 2021.11.24 1768
69 [김찬혁 교수님] 서울대병원, '꿈의 항암제' CAR-T 임상1상 본격 돌입 생명과학과 2022.02.04 1731
68 [김찬혁 교수님] 말기 고형암 표적 2세대 면역치료제 개발​ 생명과학과 2023.04.20 1709
67 [김찬혁 교수님] 6월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수상 생명과학과 2023.06.08 1282
66 [김진우 교수님] 새로운 세포핵 단백질의 이동 루트 발견​ 생명과학과 2023.02.28 1545
65 [김진우 교수님, 민광욱 박사님] 왼쪽 눈이 본 것을 오른쪽 뇌가 알게 하라​ 생명과학과 2023.03.02 2212
64 [김재경 교수님] 포스코 사이언스 펠로십 선정​ 생명과학과 2023.10.18 1694
63 [김은준 교수님] 자폐 진단․ 치료 골든타임, 동물실험으로 확인 생명과학과 2022.09.27 1291
62 [김은준 교수님] 대규모 한국인 자폐증 가족 유전체 연구를 통한 새로운 자폐 유전변이 최초 발견​ 생명과학과 2022.07.19 1381
61 [김윤기, 조원기 교수님] 비정상 단백질 처리에 관여하는 새로운 인자 발견 생명과학과 2023.10.12 1284
60 [김윤기 교수님] 저용량 고효율 RNA백신 개발 가능해지다​ 생명과학과 2023.10.24 1446
59 [김윤기 교수님] 원형 RNA로 특정 유전자 표적 치료한다​ 생명과학과 2024.12.18 552
58 [김윤기 교수님] 새로운 단백질 번역기전 규명 file 생명과학과 2023.10.12 1938
57 [김세윤, 정원석, 손종우 교수님] 인공지능 기반 약물 가상 스크리닝 기술로 신규 항암 치료제 발굴 성공 생명과학과 2022.08.12 1402
56 [김세윤, 이대엽 교수님] "후성유전 조절하는 핵심 분자기전 찾았다" 생명과학과 2022.06.02 1885
55 [김세윤, 이광록, 조원기 교수님] 암 발생 현상 등 유전자 발현 조절 원리 규명​ 생명과학과 2025.02.03 338
Board Pagination Prev 1 ...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Next
/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