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조회 수 16285 댓글 0

카이스트 총동창회에서는 해마다 카이스트 동문으로서 모교의 위상 제고 및 총동창회의 발전을 위하여 노력한 자를 선정하고 있습니다.

본과의 졸업생이신 경상대학교 이상열 교수님께서 올해(2004)의 학술부분 수상자로 선정되었습니다.

이상열 교수님은 변시명 교수님의 지도 아래 1985년 본과에서 이학박사 학위를 취득하였으며 아래의 약력과 같이 카이스트 동문으로서 KAIST 위상을 높이는데 기여를 하였습니다.

시상식은 아래의 신년 하례회 행사 중에 가질 예정입니다.

1. 일시 : 2005년 1월 8일(토) 오후 5: 30~
2. 장소 : 서울 Marriott Hotel 5층 그랜드 볼룸


※ 약력
이상열 교수님은 1985년 KAIST 생물공학과에서 “Red Pigments of Celosia Cristata L." 의 연구로 이학박사 학위 (지도교수: 변시명 교수)를 취득하였습니다. 박사학위 후 1985년부터 현재까지 경상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화학과에 재직하면서 ‘생물체의 생체방어 신호전달 기작규명’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면서 1984년부터 현재까지 74편의 국외 SCI 학술논문을 포함하여 국내학술지 24편, 8건의 특허 및 국내외 학술 대회 proceeding 등 210여 편의 연구논문을 발표하였습니다. 그 중에서 impact factor 3.0 이상의 우수한 학술지에 발표한 논문으로는 생명과학분야 최고수준의 학술지인 ‘Cell' (117: 625-635, 2004)지를 포함하여 다수의 연구논문을 발표하였습니다.

이상열 교수님은 이상과 같은 탁월한 연구 성과로 2004년에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에서 수여하는 생명과학상을 수상하였고 12월에는 과학기술부에서 수상하는 이달의 과학자상을 수상하기로 되어 있습니다.

특히 2003년 12월에는 과학기술부에서 주관하여 전국에서 2개를 선정하는 국가핵심연구센터 사업에 지원하여 서울대와 함께 경상대학교에 환경생명과학 국가핵심연구센터를 유치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함으로서 2004년 10월 경상대학교에서 특별공로상을 수상하였습니다. 또한 2004년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정회원으로 선출됨으로서 KAIST 동문의 위상을 크게 높이는데 기여하였습니다.

※ 경상대학교 이상열 교수님 랩 홈페이지 : http://nrl.gsnu.ac.kr/lsy.htm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4 [김학성 교수님] 카이스트, 거대 단백질 구조체를 레고 블록 쌓듯 조립하는 기술 개발 생명과학과 2021.11.24 1725
73 [김학성 교수님] 알츠하이머 조기 진단하는 센서단백질 디자인하다​ 생명과학과 2023.12.08 1317
72 [김학성 교수님, 김홍식 박사님] 암세포에만 약물 전달 가능한 클라트린 조립체 개발​ 생명과학과 2023.03.15 1376
71 [김찬혁, 정원석 교수님] 심각한 염증 부작용 없앤 새로운 알츠하이머병 치료제 개발​ 생명과학과 2022.08.22 1681
70 [김찬혁 교수님] 카이스트, 면역관문 신호 극복하는 차세대 CAR-T 세포 치료제 개발 생명과학과 2021.11.24 1769
69 [김찬혁 교수님] 서울대병원, '꿈의 항암제' CAR-T 임상1상 본격 돌입 생명과학과 2022.02.04 1734
68 [김찬혁 교수님] 말기 고형암 표적 2세대 면역치료제 개발​ 생명과학과 2023.04.20 1715
67 [김찬혁 교수님] 6월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수상 생명과학과 2023.06.08 1284
66 [김진우 교수님] 새로운 세포핵 단백질의 이동 루트 발견​ 생명과학과 2023.02.28 1550
65 [김진우 교수님, 민광욱 박사님] 왼쪽 눈이 본 것을 오른쪽 뇌가 알게 하라​ 생명과학과 2023.03.02 2224
64 [김재경 교수님] 포스코 사이언스 펠로십 선정​ 생명과학과 2023.10.18 1697
63 [김은준 교수님] 자폐 진단․ 치료 골든타임, 동물실험으로 확인 생명과학과 2022.09.27 1296
62 [김은준 교수님] 대규모 한국인 자폐증 가족 유전체 연구를 통한 새로운 자폐 유전변이 최초 발견​ 생명과학과 2022.07.19 1387
61 [김윤기, 조원기 교수님] 비정상 단백질 처리에 관여하는 새로운 인자 발견 생명과학과 2023.10.12 1285
60 [김윤기 교수님] 저용량 고효율 RNA백신 개발 가능해지다​ 생명과학과 2023.10.24 1450
59 [김윤기 교수님] 원형 RNA로 특정 유전자 표적 치료한다​ 생명과학과 2024.12.18 553
58 [김윤기 교수님] 새로운 단백질 번역기전 규명 file 생명과학과 2023.10.12 1943
57 [김세윤, 정원석, 손종우 교수님] 인공지능 기반 약물 가상 스크리닝 기술로 신규 항암 치료제 발굴 성공 생명과학과 2022.08.12 1406
56 [김세윤, 이대엽 교수님] "후성유전 조절하는 핵심 분자기전 찾았다" 생명과학과 2022.06.02 1886
55 [김세윤, 이광록, 조원기 교수님] 암 발생 현상 등 유전자 발현 조절 원리 규명​ 생명과학과 2025.02.03 342
Board Pagination Prev 1 ...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Next
/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