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14일 충북도 도청 소회의실에서 WHO 글로벌 바이오 인력양성 캠퍼스 유치를 위한 업무협약식이 진행되고 있다./사진제공=충북도
14일 충북도 도청 소회의실에서 WHO 글로벌 바이오 인력양성 캠퍼스 유치를 위한 업무협약식이 진행되고 있다./사진제공=충북도

 

 

 
충북도가 14일 도청 소회의실에서 KAIST(한국과학기술원)를 주축으로 오송첨단의료 산업진흥재단과 청주시로 구성된 컨소시엄 구축 협약을 체결하고 글로벌 바이오 캠퍼스 유치에 힘을 모으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날 협약은 지난달 23일 WHO(세계보건기구)가 대한민국을 글로벌 바이오 인력 양성 허브로 단독 선정함에 따라 보건복지부(복지부)에서 준비하는 '글로벌 바이오 캠퍼스 건립 전국 공모 사업'에 대응하기 위한 것이다.

현재 복지부는 글로벌 바이오 캠퍼스 건립을 위한 타당성 연구 용역을 발주한 상태다. 오는 9월 용역을 마무리한 후 전국 공모를 통해 사업 대상지를 선정할 계획이다.

이에 충북도는 복지부 동향을 면밀히 파악·분석하는 한편, 글로벌 역량을 갖춘 KAIST와 여러 차례 사전협의를 거쳐 마침내 KAIST 주축 컨소시엄을 구성하며 사업 유치에 사활을 걸고 재빠른 대응에 나섰다.

충북도는 사업 대상 부지로 첨단의료복합단지 내 유휴 부지 1만평 이상을 제시하면서 보건의료 6대 국책기관, 6대 국가메디컬시설, 오송바이오캠퍼스,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과 최단 거리에서 연계한다는 방침이다.

또한 충북도는 지난해 중기부 주관 K-바이오 랩허브 사업 공모에서 인천 송도에 밀려 탈락한 경험을 교훈 삼아 글로벌 역량을 갖춘 KAIST를 참여시키고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충북산학융합본부 등 지역 역량을 최대한 끌어올려 사업 입지 타당성 및 당위성, 충북의 강점을 부각시키는 등 한발 앞선 논리 개발과 촘촘한 사업 계획 수립으로 공모 사업에 선정되도록 총력을 기울일 예정이다.

이시종 충북도지사는 "충북 컨소시엄에 흔쾌히 응해주신 이광형 KAIST 총장님, 차상훈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이사장님께 감사의 말씀을 드린다"며 "WHO 글로벌 바이오 캠퍼스 유치를 위해 최선을 다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이어 "수도권과 지방의 공모사업 유치 경쟁에서 복지부는 대한민국 균형발전, 지방분권 강화 측면을 반드시 배려해 주실 것을 부탁드린다"고 강조했다.

이광형 KAIST 총장은 "코로나19 팬데믹의 장기화로 바이오산업 주권 확립이 더욱 중요해진 상황에서 글로벌 바이오 캠퍼스 건립은 국내 바이오산업의 역량을 높이고 해외 개도국 바이오 인력양성에 협력함으로써 동반성장의 기회가 될 것"이라며 "KAIST는 충북도의 글로벌 바이오 캠퍼스 유치를 위해 세계 최고 수준의 교육·연구 및 글로벌 역량을 아낌없이 지원할 계획이다"라고 말했다.

WHO 인력양성 허브 선정은 한국이 중·저소득국 백신 생산 인력에게 교육 훈련을 제공하는 글로벌 백신·바이오 인력양성의 중심 국가가 된 것을 의미한다.

장기적으로는 한국이 바이오산업 선도국으로 진입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한 것으로 국내 바이오 기업 인재를 강사로 활용하고 해외 개발 도상국 교육생에게 국내 바이오 의약품 생산 현장을 견학하도록 하면서 한국 바이오 기업 인지도를 높일 수 있다. 국내 기업의 해외 진출에도 큰 도움이 예상된다.

오송은 대한민국에서 유일하게 국가생명과학단지가 있는 곳으로 식품의약품안전처 등 보건의료 6대 국책기관, 공공백신개발지원센터 등 6대 국가 메디컬시설,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국가첨단임상시험센터 등 중요한 국가기관과 공공기관이 입주해 있다.

또한 충북산학융합본부, 충북대 의대·약대, 청주대, 충북도립대로 구성된 오송바이오캠퍼스, 충북바이오헬스산업혁신센터, 프레스티지바이오로직스, 녹십자, 유한양행, 대웅제약, LG화학, 셀트리온제약, 큐라켐, 엔지켐생명과학, 키프라임리서치 등이 입주해 있어 산학연의 집적효과가 그 어느 곳보다도 뛰어난 곳이다.

KTX 오송역에서 5분, 청주국제공항 20분, 인천국제공항과는 향후 1시간 30분 이내로 접근성도 뛰어나 국제학생 유치에 최적의 장소다. 인천, 안동, 화순, 대전 등과의 접근성 또한 전국에서 최고 수준이다.
 
이창섭기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0 [동아일보] 위암 당뇨 ‘맞춤 치료’ 길 열린다…SNP 지도 첫 완성 과사무실 2006.12.14 13612
79 [동아일보] 뇌 신호전달 작동물질 첫 발견-김은준교수팀 과사무실 2006.04.20 12354
78 [동아일보] 노화억제 신약후보물질 개발…김태국 교수팀 과사무실 2006.06.12 11652
77 [동아일보] 김은준 교수 젊은 과학자상 수상 과사무실 2004.12.27 12257
76 [대덕넷] 제넥셀, 日 신약개발업체서 외자유치 과사무실 2005.03.31 11179
75 [대덕넷] 임대식 교수"癌 억제하는 유전자 기능 밝혀졌다" 과사무실 2004.02.06 13780
74 [대덕넷] 임대식 교수 이달의 과기인상 수상 과사무실 2004.08.30 13323
73 [대덕넷] 생명과학과 정종경교수... 과기부 2분기 우수과학자 10인 선정 과사무실 2007.09.04 13987
72 [대덕넷] 노화억제 비밀 밝혀낸 김태국 교수...연구성과 집대성 '풀베팅' 과사무실 2006.06.12 14457
71 [김학성 명예교수님] 2023 효소공학상(Enzyme Engineering Award) 수상​ 생명과학과 2023.08.24 571
70 [김학성 교수님] 카이스트, 거대 단백질 구조체를 레고 블록 쌓듯 조립하는 기술 개발 생명과학과 2021.11.24 1042
69 [김학성 교수님] 알츠하이머 조기 진단하는 센서단백질 디자인하다​ 생명과학과 2023.12.08 616
68 [김학성 교수님, 김홍식 박사님] 암세포에만 약물 전달 가능한 클라트린 조립체 개발​ 생명과학과 2023.03.15 693
67 [김찬혁, 정원석 교수님] 심각한 염증 부작용 없앤 새로운 알츠하이머병 치료제 개발​ 생명과학과 2022.08.22 965
66 [김찬혁 교수님] 카이스트, 면역관문 신호 극복하는 차세대 CAR-T 세포 치료제 개발 생명과학과 2021.11.24 1004
65 [김찬혁 교수님] 서울대병원, '꿈의 항암제' CAR-T 임상1상 본격 돌입 생명과학과 2022.02.04 998
64 [김찬혁 교수님] 말기 고형암 표적 2세대 면역치료제 개발​ 생명과학과 2023.04.20 739
63 [김찬혁 교수님] 6월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수상 생명과학과 2023.06.08 602
62 [김진우 교수님] 새로운 세포핵 단백질의 이동 루트 발견​ 생명과학과 2023.02.28 690
61 [김진우 교수님, 민광욱 박사님] 왼쪽 눈이 본 것을 오른쪽 뇌가 알게 하라​ 생명과학과 2023.03.02 858
Board Pagination Prev 1 ...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Next
/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