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http://www.asiatoday.co.kr/news/view.asp?seq=243424http://www.asiatoday.co.kr/news/view.asp?seq=243424
"암 진단에서 치료ㆍ촬영까지 한꺼번에"
KAIST·연세대 연구진, 암 진단·치료·촬영 나노입자 개발



국내 연구진이 암을 진단하고 치료하면서 그 과정을 자기공명영상(MRI)과 형광물질을 이용한 광학 영상을 통해 관찰하는 4가지 기능을 가진 나노입자를 최초로 개발했다.

KAIST 생명과학부 박태관 교수와 연세대 화학과 천진우 교수팀은 11일 자성을 띤 산화철 입자에 암세포 추적을 위한 펩티드와 암 치료용 RNA 조각, 형광물질을 결합시켜 암 진단에서 치료, 촬영까지 4가지 기능을 한꺼번에 할 수 있는 나노입자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이 연구결과는 독일화학회가 발간하는 국제학술지 '앙게반테 캐미(Angewante Chemie)' 최신호에 게재됐다.

박 교수는 "이 연구결과는 암세포의 정확한 진단과 치료에 필요한 4가지 기능을 하나의 나노입자에 결집시켜 종양의 진단과 치료가 동시에 가능하다는 점에서 진단 또는 치료만 가능한 기존 기술들과 차별된다"고 말했다.

연구진은 15㎚(㎚=10억분의1m) 크기의 자성 산화철 나노입자에 형광물질과 암세포만 선택적으로 인지하는 표적인자 기능을 하는 펩티드(RGD), 암세포에 침투해 유전물질을 공격해 암세포를 억제하는 '소 간섭 RNA(siRNA)' 를 결합시켰다.

자성 산화철은 MRI 조영제로, 형광물질은 광학 영상용 물질로 작용해 암을 정확히 진단할 수 있게 하고 표적인자인 펩티드와 siRNA는 암세포만 찾아내 파괴하는 역할을 한다.

RGD 펩티드는 암세포에 많이 발현되는 막 단백질의 하나인 특정 결합단백질(integrin)에 선택적으로 결합함으로써 나노입자가 암세포만 표적화해 공격할 수 있게 해준다.

siRNA는 20여개의 염기로 이루어진 이중나선 RNA 조각으로 암세포에 침투한 다음 암세포의 성장과 증식에 필요한 단백질이 생성되지 못하게 하는 항암 유전자 작용으로 암세포를 억제한다.

연구진은 이 나노입자를 유방암 세포와 폐암 세포에 적용한 결과 고감도 암 진단이 가능하고 입자에 부착된 siRNA가 암 치료 기능을 성공적으로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특히 "siRNA로 불리는 항암 유전자는 암을 비롯한 난치성 질병 치료에 큰 가능성을 가진 것으로 평가돼 최근 많은 다국적 제약회사의 이목이 쏠리는 바이오신약"이라며 "이 연구결과는 siRNA를 이용한 치료법 개발 면에서도 괄목할만한 성과로 평가된다"고 밝혔다.

박 교수는 "현재 이 나노입자를 생체에 적용하기 위해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다"며 "이 나노입자의 효능이 동물실험을 거쳐 임상시험에까지 입증된다면 암 치료에 새로운 전기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글로벌 종합일간지' 아시아투데이]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05 [한국경제] 고규영 교수 유력 바이오논문 6편 최다 발표 과사무실 2005.09.02 13713
304 [한국경제] 한국인 생명과학자가 최근 발표한 주요 연구 과사무실 2006.11.13 19136
303 [한국의 AI 추격자들] 서범석·백승욱 루닛 창업자 file 생명과학과 2020.10.30 5273
302 [한용만, 허원도 교수님] 광유전학적으로 인슐린 분비 조절성공…인간 전분화능 줄기세포 유래 췌도 오가노이드 개발 생명과학과 2023.03.24 2673
301 [한진희 교수님] 심리적 공포기억 조절 뇌 회로 최초 규명-트라우마 치료 새 전기​ 생명과학과 2025.05.15 487
300 [한진희 교수님] 카이스트, 뉴런(신경 세포) 교체에 의한 기억저장 규명 생명과학과 2021.11.24 2501
299 [허원도 교수님] 2025 KAIST 리서치데이에서 KAIST 대표연구성과 10선 선정 생명과학과 2025.05.23 399
298 [허원도 교수님] RNA 유전자 가위 기술로 코로나바이러스 싹둑 생명과학과 2023.05.04 2477
297 [허원도 교수님] RNA 유전자 가위 정밀제어기술로 유전자 치료 성큼​ 생명과학과 2024.02.14 2682
296 [허원도 교수님] 경암교육문화재단, ‘제20회 경암상’ 수상자 발표 생명과학과 2024.09.30 1523
295 [허원도 교수님] 기억하고 인지하는 과정을 실시간 관찰하다 생명과학과 2024.01.10 1985
294 [허원도 교수님] 머릿속 별세포를 비춰라! 새로운 뇌졸중 치료 전략 제시 생명과학과 2025.02.14 887
293 [허원도 교수님] 빛으로 기억 조절해 정신질환 치료 가능성 열어 생명과학과 2024.07.15 1628
292 [허원도 교수님] 빛으로 뇌 기능, 행동, 감정을 자유롭게 조절한다​ 생명과학과 2021.12.03 2479
291 [허원도 교수님] 세계 최초 유전자 가위로 원하는 RNA ‘콕’ 집어 아세틸화 성공 생명과학과 2025.06.10 405
290 [허원도 교수님] 한국과학기술한림원 2024년도 정회원 선출 생명과학과 2023.12.04 1697
289 [허원도, 김재훈, 손종우 교수님] 제54주년 개교기념식 우수교원 포상 생명과학과 2025.02.14 810
288 [허원도, 윤기준 교수님] 제51주년 개교기념식 개교기념 우수교원 포상 및 특별포상에서 학술상, 우수강의상 수상 생명과학과 2022.02.16 2395
287 ‘올해의 KAIST 교수상’ - 김재섭 교수 과사무실 2005.12.30 15381
286 故 박태관 교수가 남기고 간 '흔적'…세계적 학술지 '주목' 과사무실 2011.05.12 17046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 24 Next
/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