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주)엔지노믹스 발전기금 약정식 사진

< (왼쪽부터) 이광형 KAIST 총장과 서연수 (주)엔지노믹스 대표 >

 

 

㈜엔지노믹스(대표 서연수)가 24억 원의 발전기금을 우리 대학에 약정했다. 

㈜엔지노믹스는 연구용 효소 개발 및 생산하는 바이오기업으로 2007년 설립됐다. 서연수 KAIST 생명과학과 교수가 최고기술경영자(CTO)를 역임한 뒤 지난해부터 대표를 맡고 있다. 

발전재단 관계자는 "㈜엔지노믹스는 2015년부터 올해까지 우수한 박사학위논문을 발표한 학생들을 위한 장학금을 매년 기부해 온 기업"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이번에는 ㈜엔지노믹스가 생명과학과와 향후 신약 개발을 위한 연구 협력을 추진하고 학과의 부족한 연구 공간을 증축하는 데 보탬이 되기 위해 거액의 발전기금을 쾌척했다"라고 전했다.

이번 기부금은 생명과학과 건물 증축(가칭 바이오신약센터)기금으로 전액 사용된다. 2026년 상반기 준공 목표인 바이오신약센터는 교원 연구공간 및 학생 교육 공간 확보, 첨단 연구 장비 및 신약 연구시설 집적화, 행정·기술지원 시설 보강 등을 위해 건립을 추진 중이다. 

14일 오전 KAIST 대전 본원 총장실에서 열린 발전기금 약정식에는 서연수 대표, 신용걸 연구소장, 김민정 이사 등 ㈜엔지노믹스 관계자들과 이광형 총장, 이균민 생명과학기술대학장, 이대엽 생명과학과 학과장 등 KAIST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이광형 총장은 "바이오신약센터는 신약 및 치료제 개발 연구로 우리 세대의 생존을 위협하는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고 다음 세대에 인류의 난제 해결이라는 더 거대한 꿈을 심어줄 수 있는 교육과 연구의 공간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 총장은 “차세대 생명과학을 실현하려는 움직임에 ㈜엔지노믹스의 발전기금을 값지고 귀하게 사용할 것"이라며 감사 인사를 전했다. 

서연수 ㈜엔지노믹스 대표는 "㈜엔지노믹스는 새로운 신약 및 치료제를 개발해 미래 바이오 및 의료분야 난제를 극복하고 바이오메디컬 시대를 주도하겠다는 비전을 가지고 있다"라고 말했다. 이어, "이런 비전을 KAIST와 함께 이뤄가는 과정에서 생명과학과의 보다 큰 도약을 위한 작은 보탬이 되고자 교수로서의 정년을 앞두고 기부를 결정하게 되었다"라고 기부 소감을 밝혔다. 

한편, ㈜엔지노믹스는 국내 최초로 유전자 가위 절단에 필요한 핵심 제한효소를 개발해 생산·판매하는 국내 유일의 기업이다. 지속 가능한 글로벌 단백질 바이오 기업으로 성장하여 최종적으로 치료용 효소 및 단백질 신약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57 [김학성 명예교수님] 2023 효소공학상(Enzyme Engineering Award) 수상​ 생명과학과 2023.08.24 108
356 [대덕넷] 노화억제 비밀 밝혀낸 김태국 교수...연구성과 집대성 '풀베팅' 과사무실 2006.06.12 14158
355 [대덕넷] 생명과학과 정종경교수... 과기부 2분기 우수과학자 10인 선정 과사무실 2007.09.04 13640
354 [대덕넷] 임대식 교수 이달의 과기인상 수상 과사무실 2004.08.30 12983
353 [대덕넷] 임대식 교수"癌 억제하는 유전자 기능 밝혀졌다" 과사무실 2004.02.06 13513
352 [대덕넷] 제넥셀, 日 신약개발업체서 외자유치 과사무실 2005.03.31 10903
351 [동아일보] 김은준 교수 젊은 과학자상 수상 과사무실 2004.12.27 11908
350 [동아일보] 노화억제 신약후보물질 개발…김태국 교수팀 과사무실 2006.06.12 11299
349 [동아일보] 뇌 신호전달 작동물질 첫 발견-김은준교수팀 과사무실 2006.04.20 12009
348 [동아일보] 위암 당뇨 ‘맞춤 치료’ 길 열린다…SNP 지도 첫 완성 과사무실 2006.12.14 13339
347 [동아일보] 한국 과학에 세계가 또 놀라다 -정종경교수팀 과사무실 2006.05.04 14526
346 [동아일보] 혈관형성 촉진제 이용 만성 신장질환 고쳐요-고규영교수 과사무실 2006.08.03 11554
345 [루닛 서범석 대표] 바이오업계 유니콘 기대 루닛, 서범석 '치료 예측 AI' 고도화 박차 생명과학과 2022.04.27 395
344 [매일경제] 고규영 교수 "혈관생성물질 세계 첫 개발" 과사무실 2004.04.14 13471
343 [매일경제] 관절염 맞춤치료 길 열린다 - 강창원 교수·한양대 의대 배상철교수 공동연구팀 과사무실 2005.03.30 11879
342 [매일경제] 김은준 교수"퍼즐놀이하듯 신경세포 연구" 과사무실 2003.09.23 14276
341 [매일경제] 김학성 오은규 연구팀 나노입자 특성 이용해 단백질 상호작용 분석 과사무실 2005.03.21 10884
340 [메디포럼 정재언 대표] 메디포럼, 정재언 연구소장 신임 대표이사 선임…“임상 R&D 중심 경영 집중” 생명과학과 2022.03.14 348
339 [서성배 교수님] 육감 센서 찾는 서성배 카이스트 생명과학부 교수 생명과학과 2022.03.03 1011
» [서연수 교수님] ㈜엔지노믹스, 생명과학과에 발전기금 24억 기부​ 생명과학과 2022.10.14 472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1 Next
/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