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국내 연구팀이 우리 몸이 시간을 기억하는 데 필수적인 유전자를 세계 최초로 밝혀냈다. 이번 연구 성과로 수면 장애나 생체리듬 장애로 인한 각종 생리질환의 새로운 치료법이 개발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김재섭(42) 한국과학기술원 생명과학과 교수는 19일 “동물실험을 통해 생체시계에 작용하는 여러 유전자들에 신호를 전달해주는 특정 유전자를 찾아냈다”며 “한국이라는 뜻으로 ‘한’(Han)이라는 이름을 붙였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논문은 신경학계의 세계적 권위지인 <뉴런> 20일치에 실렸다.

우리 몸은 하루 24시간의 시각 주기를 기억해 아침·저녁 또는 낮·밤을 가릴 수 있다. 외국여행 때 시차 적응을 못하는 것이 이 때문이다. 과학자들은 대뇌 아래 시상하부에 존재하는 신경세포들이 이런 ‘생체시계’ 구실을 한다는 것을 밝혀냈다. 그러나 이들 세포에 동시에 시간 정보가 어떻게 전달되는지는 밝혀내지 못해왔다.

김 교수팀은 형질전환 초파리를 이용해 생체시계에 관계되는 신경세포들이 모두 ‘한’ 유전자를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또 마스터 생체시계 세포가 만들어내는 ‘피디에프’(PDF)라는 단백질이 ‘전령사’ 구실을 하고, 각 신경세포들은 ‘한’ 유전자가 만든 단백질을 수용체로 삼아 이 전령사가 전달하는 신호를 받아들여 마스터 세포의 ‘시계’에 시각을 맞추는 메커니즘도 규명했다.

연구팀은 또 색소 단백질로만 알려져 있던 ‘피디에프’는 아침에는 많이 분비되다 저녁때는 거의 분비가 되지 않음으로써 우리 몸이 시간을 알 수 있게 해주는 기능도 지녔다는 것도 밝혀냈다.

이근영 기자 kylee@hani.co.kr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85 허원도 교수, 항체를 빛으로 활성화 시키는 항체광유전학 기술 개발 file 생명과학과 2019.10.28 5236
284 정인경 교수, 인체 조직읜 3차원 게놈지도 해독 file 생명과학과 2019.09.25 4548
283 윤기준 교수, '2019 서경배과학재단 신진 과학자' 선정 file 생명과학과 2019.09.23 5875
282 이승재 교수, 올리브유의 노화 방지 및 장수 효과 입증 file 생명과학과 2019.08.22 5586
281 김상규 KAIST 교수, 제12회 여천생태학상 받아 file 생명과학과 2019.08.12 6243
280 김진우 교수, 발달과정 세포 간 정보전달 원리 규명 file 생명과학과 2019.07.23 6176
279 정현정 교수, 한국 로레알-유네스코 여성과학자상 펠로우십 수상 file 생명과학과 2019.07.04 5572
278 이승재 교수, 한성과학상 수상 file 생명과학과 2019.07.01 6198
277 서성배 교수, 스트레스 세포(CRF 세포) 변화 초 단위 관찰 성공 file 생명과학과 2019.04.18 7238
276 [HOT100 2019-2020] 카이스트 생명과학과, 질병극복 선도 최고의 과학인재 양성 생명과학과 2019.04.01 6933
275 메디톡스, '4기 펠로우십 장학금' 생명과학대학 대학원생 5명에게 전달 file 생명과학과 2019.03.29 6510
274 靑 과기보좌관에 '여성과학인' 이공주 교수 임명 file 생명과학과 2019.02.22 5313
273 전상용 교수, 암 치료를 위한 새로운 펩타이드-항체 복합체(하이브리드) 기술 개발 file 생명과학과 2019.02.21 6035
272 김세윤 교수, '공포기억 소거'조절 효소 발견 file 생명과학과 2019.02.08 7326
271 생명과학과 이문수 박사(이노테라피 CEO) 지혈제로 240억 '주식 갑부' file 생명과학과 2019.02.07 6604
270 김학성 교수, 세포 내 단백질 전달 효율 높이는 DNA 기반 나노구조체 개발 file 생명과학과 2019.01.21 5750
269 허원도 교수, 빛만 비춰도 유전자 발현 조절하는 효소 개발 file 생명과학과 2019.01.21 5603
268 허원도 교수, 변화무쌍 스위치 단백질 관찰하는 바이오센서 개발 file 생명과학과 2019.01.16 6960
267 전상용,이대엽 임성갑 교수, 암 줄기세포 제작 원천기술 개발 file 생명과학과 2018.11.30 6683
266 김학성 교수, 빛에 의해 스위치처럼 작동하는 단백질 개발 file 생명과학과 2018.08.28 8339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 22 Next
/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