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http://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09062502011557650002http://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09062502011557650002교육과학기술부(장관 안병만)는 국내 연구자들과 세계적인 연구그룹간의 국제협력 연구를 지원하는 `글로벌연구실 사업'의 신규 지원과제 5개를 선정했다.

이번 선정에 따라 BT분야에서 △KAIST 김진우 교수-프랑스 국립고등사범대학원팀 △충북대 장수익 교수-영국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대팀, NT분야에서 △포스텍 김동언 교수-독일 막스플랑크 양자광학연구소 △연세대 이용재 교수-미국 사우스캐롤라이나대ㆍ브룩해븐 연구소 ET분야에서 △KIST 남석우 박사-이탈리아 국립신기술자원환경공사 등 총 5개 글로벌 협력팀이 구성돼 공동연구에 나서게 된다.

각 연구팀은 매년 약 5억원의 연구비를 최대 9년간 지원받는다. 이 프로젝트는 노벨상 수상자 등 해외 석학들이 공동연구에 참여하고 사업이 시작된 2006년부터 올해까지 평균 경쟁률이 17대 1에 달하는 등 국내 연구자들이 높은 관심을 갖고 경쟁하는 사업으로, 그에 따른 연구성과도 기대를 모으고 있다. 교과부는 환경과 녹색성장의 중요성이 국제적으로 대두됨에 따라 글로벌연구실 중 녹색분야를 2개 선정 지원하고 앞으로도 녹색 글로벌 연구실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가기로 했다고 밝혔다.

KAIST 김진우 교수팀은 세포간 전사인자의 이동을 통한 신경세포의 선택적 분화 유도법을 개발하고, 새로운 새포간 신호전달 방법인 호메오박스(homeobox) 전사인자의 메커니즘을 규명하는 연구를 수행한다. 충북대 장수익 교수팀은 다양한 생물학적 시스템과 연구에 활동되는 신개념 스마트 액적 바이오칩에 대해 연구를 수행할 예정이다.

포스텍 김동언 교수팀은 최근 주목받는 아토초(100경분의 1초, 1나노초의 10억분의 1) 과학분야에 대한 연구를 위해 아토초 과학기술센터를 설립하고 첨단 아토초 빔라인을 구축해 관련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다. 연세대 이용재 교수팀은 광물질 제올라이트나 합성 나노포어 물질이 고압인 상태에서 관찰되는 독특한 물리화학적 변화현상을 이용해 새로운 나노기술 개발에 나선다. KIST 남석우 박사팀은 바이오 연료를 사용하는 용융탄산염 연료전지의 전극 내구성과 경제성을 높이는 연구를 수행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54 [진에딧 이근우 대표] 한국인이 세운 ‘유전자 가위’ 스타트업… 실리콘밸리가 침흘리는 이유 생명과학과 2021.12.20 2298
353 [이승재 교수님] 국내 연구팀, 예쁜꼬마선충을 이용 새로운 항노화 단백질 찾아 생명과학과 2021.12.13 1648
352 [허원도 교수님] 빛으로 뇌 기능, 행동, 감정을 자유롭게 조절한다​ 생명과학과 2021.12.03 1503
351 [김학성 교수님] 카이스트, 거대 단백질 구조체를 레고 블록 쌓듯 조립하는 기술 개발 생명과학과 2021.11.24 1703
350 [한진희 교수님] 카이스트, 뉴런(신경 세포) 교체에 의한 기억저장 규명 생명과학과 2021.11.24 1579
349 [김찬혁 교수님] 카이스트, 면역관문 신호 극복하는 차세대 CAR-T 세포 치료제 개발 생명과학과 2021.11.24 1753
348 [김상규 교수님] 식물 유전자 비밀 푸는 김상규 카이스트 교수 생명과학과 2021.11.24 1978
347 [이승재 교수님] 건강한 장수를 유도하는 돌연변이 유전자 발굴 생명과학과 2021.11.24 1412
346 서성배 교수님(김보람 연수연구원)_제20회 한국 로레알-유네스코 여성과학자상 수상 file 생명과학과 2021.09.27 2299
345 2021 대성해강미생물포럼_좌장 조병관 교수, 연사 김대수 교수_21.09.28(화) 13:00~ file 생명과학과 2021.09.13 1646
344 2021 Agrwal Award 시상식이 9월 9일(목) 오후 4시_이준혁 학생(정원석 교수) file 생명과학과 2021.09.06 1655
343 김대수 교수님_“뇌의 본능적 욕구 참고 기다리는 아이, 사회적으로 성공” 생명과학과 2021.09.06 1867
342 양한슬 교수님_ 서경배과학재단 2021년 신진과학자 선정 file 생명과학과 2021.08.31 1656
341 이승희 교수님_시각 정보 인식해 행동 결정하는 대뇌 신경회로 과정 밝혀 생명과학과 2021.08.30 1607
340 김은준 교수님_시냅스 뇌질환 연구 김은준 IBS단장 “치료약 없는 자폐 연구 도전” 생명과학과 2021.08.23 1748
339 한진희 교수님_ 치매 치료에 열 올리는 KAIST·연구기관 생명과학과 2021.08.18 1624
338 정인경 교수님_유전자 온-오프 스위치 비밀 밝히는 정인경 카이스트 교수 생명과학과 2021.07.26 2247
337 한진희 교수님_기억이 만들어지는 원리 최초로 규명했다 생명과학과 2021.07.14 1913
336 전상용, 송지준 교수님_다양한 변이에도 면역 가능한 인플루엔자 백신 개발 생명과학과 2021.06.30 1771
335 서성배 교수님_동물 뇌 신경세포가 과식 억제한다 생명과학과 2021.06.16 1822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3 Next
/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