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김대수 KAIST 교수 특별강연
구체적 목표가 뇌 전체 활성화
다른체계 경계에서 새지식 창조
예측불허 시대 최적 활용은 필수
한국인 이타적 뇌, 초격차에 유리
올해로 6회째를 맞는 대규모 ICT·과학기술 행사인 ‘이노베이트코리아 2022’가 ‘기술패권 전쟁, 초격차가 답이다’를 주제로 13일 세종시 고려대 세종캠퍼스에서 열린 가운데 김대수 한국과학기술원(KAIST) 교수가 특별강연을 하고 있다. 세종=임세준 기자

“뇌는 본능적으로 세상에 존재하지 않는 것을 발견해 나와 이웃, 자녀의 생존을 지키려고 합니다. 아직 개척되지 않은 미존(未存)공간을 아름다운 공간으로 만드는 것. 그게 초격차 시대 뇌의 임무입니다.”

김대수 한국과학기술원(KAIST) 교수(사진)는 13일 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에서 열린 헤럴드경제 IT과학기술포럼 ‘이노베이트코리아 2022’에서 급변하는 초격차 시대를 이끄는 뇌의 역할에 대해 이와 같이 강조했다.

김 교수는 ‘창의성과 초격차의 뇌과학’을 주제로 한 특별강연에서 “역사상 겪어 보지 못한 빠른 변화에 직면한 지금, 우리는 뇌 과학을 더욱 이해해야 한다”며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낼 수 있는 뇌 기능을 통해 4차산업시대에 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인공지능(AI), 메타버스 등으로 하루가 다르게 변하는 예측불허의 시대에서 우리 뇌 기능을 최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필수적이란 의미다.

▶“내 뇌에 맞게 세상을 바꾸려는 욕구가 원동력”=김 교수는 뇌가 인식하는 세상과 실제 팩트와의 간극이 문명의 발전을 이끈다고 강조했다. ‘인지부조화’가 일어날 때 ‘나의 생각’에 맞는 증거를 찾고 팩트를 바꾸려 하는 욕구가 기술 발전으로 이어진다는 의미다.

과학 기술 초격차를 위해서는 구체적 목표를 설정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김 교수는 “다보스 포럼에서 어젠다만 설정해도, 모두가 새로운 산업에 대비해 기술 발전에 매진한다”며 “뇌의 위대한 기능을 전부 활용하기 위해서는 높은 차원의 목표를 정확히 보여줘야 한다”고 말했다. 구체적 목표 제시는 뇌가 창의성을 발휘하도록 하고, 이는 뇌 전체를 활성화시킨다는 의미다. 또한 실패에 좌절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김 교수는 “창의적 뇌는 무언가에 실패하는 순간 발달한다”며 “일종의 ‘외상후 성장’으로, 실패의 순간은 다른 의미로 뇌를 발전시킬 수 있는 순간”이라고 말했다.

이어 새로운 지식은 서로 다른 지식 체계의 경계에서 창조된다고 설명했다. 일례로 하늘과 우주의 경계는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지만, ‘스페이스X’ 같은 우주산업은 하늘과 우주의 경계를 관광을 위한 새로운 공간으로 재탄생시켰다. 미존공간이 새로운 공간으로 탄생하는 순간이다.

▶“뇌의 ‘메타인지’, 초격차의 핵심”=김 교수는 한국인의 뇌가 초격차 시대에 매우 적합하다고 언급, 청중의 흥미를 불러일으켰다. 그는 “우리는 배려를 기반으로 한 이타적인 뇌를 갖고 있다”며 “사회가 빠르게 변하면서 발생하는 사회적 갈등은 이런 배려심으로 해결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는 뇌의 ‘메타인지’ 능력으로 연결된다. 메타인지란, ‘초월적’이란 의미의 ‘메타’와 대상을 아는 능력 ‘인지’의 합성어다. 뇌가 스스로를 알고 판단하는 능력을 뜻한다. 그는 “소크라테스가 ‘너 자신을 알라’고 한 것은 뇌 과학적으로 보면 ‘너 자신의 뇌를 알라’는 뜻과 같다”며 “나의 편견과 이기심을 내려놓을 때 비로소 보다 가치 있는 지식을 추구할 수 있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렇다면 본래 이기적인 뇌를 어떻게 이타적으로 만들 수 있을까. 김 교수는 ‘나(self)’를 확장하는 개념을 활용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김 교수는 “신경의 연결로써 존재하는 나는, 동시에 신경의 연결을 통해 확장될 수 있다”며 가짜 팔 실험을 예로 들었다. 그는 “고무장갑도 마치 나의 일부처럼 생각할 수 있듯, 남을 내 몸과 같이 생각할 때 이타적인 아이디어와 실천을 할 수 있다”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김 교수는 뇌 과학을 통한 초격차 시대 경쟁력 강화를 강조했다. 그는 “수천년간 인류의 뇌는 크게 변하지 않았지만, 뇌 과학 지식을 활용하면 창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며 “‘높은 차원의 앎’을 추구하는 능력이 초격차 시대에서 필수”라고 끝맺었다. 세종=김민지 기자

jakmeen@heraldcorp.com

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22071400045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81 생명과학과 박태관 교수, 새로운 항암유전자 전달시스템 개발 과사무실 2008.07.08 15505
380 [연합뉴스]신종 박테리아 5개중 1개꼴 한국과학자 발견...이성택교수 과사무실 2007.04.04 15438
379 한진희 교수, 원혜정 학생(김은준 교수 Lab) 2009' 청암 과학펠로 선정! 과사무실 2009.11.27 15389
378 홍철암 박사과정(김학성 교수 Lab), ICMAT 2011에서 The Best Poster Award 수상! 과사무실 2011.07.06 15311
377 최광욱 교수, 홍성태 박사 Nature Communications 논문 게재(2016.09) / Prof. Kwang-Wook Choi and Dr. Sung-Tae Hong published a paper in Nature Communications 생명과학과 2016.10.06 15270
376 최길주 교수, PNAS(P Natl Acad Sci USA) 4월호에 논문 게재 과사무실 2009.04.23 15257
375 김진우 교수 경력개발상 수상 과사무실 2007.04.10 15165
374 김은준 교수 창의과제 신규 선정 과사무실 2003.09.08 15110
373 강창원, 김은준 교수팀, ADHD 유전자 찾았다 과사무실 2011.04.18 15089
372 임대식 교수, 김민철 박사 Cell Reports 에 논문 게재(2015.03) / Professor Dae-Sik Lim and Min Cheol Kim, Ph.D Publish in Cell Reports (2015.03) 과사무실 2015.04.06 14981
371 임대식 최길주 교수 승진 인사발령 과사무실 2004.09.01 14955
370 [동아일보] 한국 과학에 세계가 또 놀라다 -정종경교수팀 과사무실 2006.05.04 14938
369 송지준 교수, PNAS 게재 (2012.8) 과사무실 2012.12.10 14931
368 김대수 교수 생명과학과 부임 과사무실 2004.09.01 14861
367 송지준 교수, 김은지 박사 Molecular Cell에 논문 게재(2015) / Prof. Ji-Joon Song and PhD. Eun-Ji Kim published a paper at Molecular Cell (2015) 과사무실 2015.07.29 14859
366 정유진 석사과정 학생, 조병관 교수 Nature Communications 논문 게재(2016.06) / Yujin Jeong, a Master's degree student and Prof. Byung-Kwan Cho published a paper in Nature Communications (2016.06) 생명과학과 2016.06.07 14820
365 허원도 교수, Nature Communications지 논문 게재 (2014. 6) 과사무실 2014.06.05 14811
364 김은준 교수 연구팀, 자폐증 치료 가능성 열어 과사무실 2012.06.15 14765
363 [매일경제] 김은준 교수"퍼즐놀이하듯 신경세포 연구" 과사무실 2003.09.23 14715
362 서연수 교수 생명과학상 수상 과사무실 2003.09.08 14713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3 Next
/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