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KAIST 연구팀, 줄기세포 분화 조절 등의 응용 가능성 제시 

IPMK 효소와 SWI/SNF 후성인자 결합해 유전자 발현 제어

 

 

(왼쪽부터) 한국과학기술원(KAIST) 생명과학과 김세윤, 이대엽 교수 [사진=한국연구재단 제공]
(왼쪽부터) 한국과학기술원(KAIST) 생명과학과 김세윤, 이대엽 교수 [사진=한국연구재단 제공]

[헬스코리아뉴스 / 박민주] 국내 연구진이 세포 분화 등에 중요한 후성유전을 정교하게 조절하는 신규 분자생물학적 기전을 발굴해 주목된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 생명과학과 김세윤, 이대엽 교수 연구팀은 동물세포에 존재하는 이노시톨 폴리인산 인산화(IPMK) 효소에 의해 후성유전학적 조절이 가능함을 규명했다고 2일 밝혔다. IPMK 효소는 이노시톨 인산을 생합성하는 핵심 효소로, 세포의 대사 및 성장 등을 조절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후성유전은 세대 간 유전정보를 전달함에 있어 DNA 염기서열의 변화 없이 세포 및 개체 간 차이에 따라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연구 분야다. 세포 분화와 같은 다양한 생명현상이 후성유전에 의하여 조절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후성유전학적 조절은 암 질환을 비롯한 대부분의 질병 발생에 있어 주요한 원인이 되기도 한다.

후성유전과 관련한 이노시톨 대사는 동물세포를 포함한 진핵세포의 활성조절에 있어 반드시 필요한 시스템이다. 특히 SWI/SNF 복합체는 진핵세포의 크로마틴 리모델링을 통한 후성유전 조절의 핵심적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이를 정교하게 조절하는 인자들의 발굴 연구가 최근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상황이다.

[용어설명]

이노시톨 대사 : 생체 내에서 합성, 분해되는 이노시톨 대사체들을 통하여 다양한 진핵세포의 기능과 활성을 조절함

SWI/SNF : 크로마틴의 구조적 변형을 유도하여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대표적인 후성유전 조절성 단백질 복합체

진핵세포 : 핵을 가지고 있는 세포

크로마틴 : 진핵세포 내 존재하는 히스톤과 DNA의 결합체

연구팀은 이노시톨 대사를 관장하는 IPMK 효소와 SWI/SNF 후성인자가 서로 결합해 유전자 발현과 세포 정체성을 제어한다는 메커니즘을 규명했다.

IPMK 효소 단백질은 이노시톨의 다양한 대사에 관여하는 신호전달 인자로, 세포 내 기능에 대해서는 많이 알려진 바가 없었다. 

연구팀은 IPMK 단백질이 직접 SWI/SNF 후성인자와 결합할 뿐 아니라, 특정 크로마틴을 인식하는 과정에서 핵심적인 조절작용을 해 SWI/SNF 후성인자에 기반한 정교한 유전자 발현조절에 기여한다는 것을 밝혀냈다. 

IPMK와 SWI/SNF 간의 조절을 통해 줄기세포의 내배엽 분화가 조절된다는 점도 발굴, 줄기세포의 정체성을 결정하는 데 있어 핵심적인 과정임을 규명했다.

연구팀은 "IPMK 기반 SWI/SNF 조절기전을 규명함에 있어 생화학, 유전체학, 후성유전학 분석과 함께 김재훈 교수(한국과학기술원), 이현우 교수(서울대학교), 서정곤 교수(울산과학기술원)등과의 융합연구로 통합적 단백질 결합 네트워크를 분석할 것"이라며 "세포 정체성 및 유전자 발현 조절을 시스템적으로 이해하는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의 성과는 국제학술지 '이라이프(eLife)'에 지난 달12일 게재됐으며,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추진하는 선도연구센터 및 중견연구사업 등의 지원으로 수행됐다.  

 IPMK 효소에 의한 SWI/SNF 단백질 복합체의 기능조절
(위) 야생형 줄기세포에서는 IPMK-SWI/SNF 결합에 의하여 유전체의 특정 크로마틴에 적절하게 작용가능함 (아래) IPMK 제거 줄기세포에서는 SWI/SNF 단백질 복합체가 크로마틴 접근성에 장애가 발생하여 정상적인 후성유전 조절이 실패함.  사진 및 사진설명 제공 : 한국과학기술원 김세윤, 이대엽 교수

IPMK 효소에 의한 SWI/SNF 단백질 복합체의 기능조절

(위) 야생형 줄기세포에서는 IPMK-SWI/SNF 결합에 의해 유전체의 특정 크로마틴에 적절하게 작용가능하다.
(아래) IPMK 제거 줄기세포에서는 SWI/SNF 단백질 복합체가 크로마틴 접근성에 장애가 발생하여 정상적인 후성유전 조절이 실패했다.
[사진 제공 및 설명=한국과학기술원 김세윤, 이대엽 교수]

 

 

 

https://www.hkn24.com/news/articleView.html?idxno=326977

  • 박민주
  •  admin@hkn24.com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 [김세윤, 이대엽 교수님] "후성유전 조절하는 핵심 분자기전 찾았다" 생명과학과 2022.06.02 1364
342 허원도 교수님(유다슬이 박사)_제10회 에쓰-오일 우수학위논문상'의 생명과학 분야 대상 수상 생명과학과 2021.02.22 1379
341 [조병관 교수님] 카이스트 조병관 교수팀, 합성생물학 기반 차세대 미생물 대사 조절 밸브 개발 생명과학과 2022.04.15 1389
340 조병관 교수님_Antibiotic tolerance study paves way for new treatments 생명과학과 2021.03.03 1429
339 조병관교수님_온실가스를 바이오 물질로 전환…미생물 활용한 '인공광합성' 성공 생명과학과 2021.03.10 1433
338 [오병하 교수님] 뉴스의인물/ KAIST 생명과학과 오병하 교수 생명과학과 2022.03.21 1447
337 서성배 교수님_Gut hormone triggers craving for more proteins 생명과학과 2021.05.18 1458
336 [송지준 교수님] 호르몬 조절 원리와 구조 밝혀냈다 생명과학과 2022.05.06 1472
335 [정현정 교수님] 유전자 가위와 약물로 동시에 암을 잡는 신약 개발 생명과학과 2023.08.03 1509
334 서성배 교수님(양대욱 박사)_세종과학펠로우십 선정 생명과학과 2021.03.18 1517
333 전상용 교수님_Researchers review future directions of nanomedicine development 생명과학과 2020.12.28 1543
332 [임정훈 동문교수님] “초파리로 루게릭병 잡는다” 임정훈 분자생물학자 생명과학과 2022.04.04 1569
331 KAIST-원진 세포치료센터 기부 및 투자 약정 업무협약식 생명과학과 2021.02.22 1634
330 [진에딧 이근우 대표] 한국인이 세운 ‘유전자 가위’ 스타트업… 실리콘밸리가 침흘리는 이유 생명과학과 2021.12.20 1680
329 정인경 교수님_유전자 온-오프 스위치 비밀 밝히는 정인경 카이스트 교수 생명과학과 2021.07.26 1685
328 서성배 교수님(김보람 연수연구원)_제20회 한국 로레알-유네스코 여성과학자상 수상 file 생명과학과 2021.09.27 1728
327 김찬혁 교수님_인공지능 이용 면역항암 세포 3차원 분석기술 개발 생명과학과 2021.02.08 1743
326 [김대수 교수님] '유퀴즈' 뇌과학자 김대수, 깻잎 논쟁 "절대로 해선 안 되는 행동" 생명과학과 2022.02.17 1759
325 정인경 교수님_KAIST, 전 세계 최대 규모의 3차원 암 게놈 지도 구축 생명과학과 2020.12.29 1814
324 정원석 교수님_KAIST, 신경세포의 흥분성 증가로 인한 뇌 질환 기제 규명 생명과학과 2021.06.03 1903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3 Next
/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