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http://www.hellodd.com/kr/news/news_view.asp?t=e_valy&mark=7602http://www.hellodd.com/kr/news/news_view.asp?t=e_valy&mark=7602
KAIST 임대식 교수팀...암 조기진단 및 신약개발에 기여

암을 발생시키거나 증식을 억제하는 유전자가 국내 연구진에 의해 세계 최초로 규명됐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 생명과학과 임대식(38) 교수 연구팀은 2년여의 연구끝에 항암 유전자인 '라스에프원에이'(RASSF1A)의 세포내 역할을 규명하는데 성공했다고 5일 밝혔다.

'라스에프원에이' 유전자는 그동안 기능과 역할에 대해 전혀 알려진 것이 없어 암을 연구하는 과학자들의 주요 관심 유전자였다.

하지만 임 교수팀은 암 발생 초기에 활동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진 '라스에프원에이' 유전자가 세포분열 과정에서 핵심 역할을 하는 사이클린 단백질의 안정성을 조절함으로써 정확한 세포분열 진행시간을 제어, 암 발생을 억제한다는 생명원리를 밝혀냈다.

임 교수팀은 실험과정에서 '라스에프원에이' 단백질은 세포분열시 방추사와 중심체에 위치해 'Cdc20'라는 단백질 기능을 억제하고 사이클린을 포함한 여러 단백질을 안정화시킨다는 사실을 규명했다. 

또, 정상세포에서 '라스에프원에이' 유전자 발현이 없을 경우 비정상세포의 분열을 유발하고 세포분열 진행시간을 촉진시켜 정상세포가 암세포와 같은 형질을 보인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이러한 실험결과를 근거해 임 교수팀은 '라스에프원에이' 유전자가 암 발생 초기에 발현되지 않으면 염색체 이상을 야기하고 또 다른 항암 유전자의 돌연변이를 촉진시켜 결국 악성 종양으로 발전시킬 수 있다는 새로운 가설을 제안했다. 

특히 이 연구결과는 암 발생 진행과정과 세포분열기 이전의 기초적인 생명현상을 이해하는 데 획기적인 기여를 할 것으로 여겨져 세계적인 학술지인 '네이처 세포생물학誌(Nature Cell Biology)' 2월호 표지로 발표됐다.

임 교수는 "현재 '라스에프원에이' 유전자가 없는 생쥐모델을 만들어 암 발생기전을 연구중에 있다"면서 "앞으로 암환자 시료를 분석해 '라스에프원에이' 발현 여부에 따른 암 진단과 예후판정 연구를 확대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과기부 관계자는 "이번 연구결과는 여러 암 조기진단 뿐만 아니라 예후판정과 신약개발을 위한 중요한 정보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한편 임 교수는 과학기술부 21세기 프론티어연구사업인 '인간유전체기능연구사업단'의 암관련 후보유전자 기능연구 과제 연구책임자로 참여하고 있다.
042-869-2635

<대덕넷 김요셉기자> joesmy@hellodd.com

▶ 관련기사 : 과학기술부 (MOST) 보도자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88 [이승희 교수님] 신경전달물질 소마토스타틴의 알츠하이머 독성 개선효과 발견​ 생명과학과 2022.07.25 1234
387 이승희 교수님_시각 정보 인식해 행동 결정하는 대뇌 신경회로 과정 밝혀 생명과학과 2021.08.30 1238
386 [전상용, 조병관 교수님] 나노입자로 염증부터 면역치료까지 가능 생명과학과 2023.06.21 1252
385 [김찬혁 교수님] 말기 고형암 표적 2세대 면역치료제 개발​ 생명과학과 2023.04.20 1256
384 [이승재 교수님 연구실] 과기정통부, ‘2022년도 건강한 연구실’ 10개 선정 생명과학과 2022.12.12 1258
383 [김상규 교수님] 단일세포 RNA 시퀀싱을 통한 꽃향기 합성 유전자 발굴​ 생명과학과 2022.02.15 1266
382 [이주형 학부생] 포스텍SF 어워드에서 생명과학과 학부생 이주형, 단편 부문 가작 선정 생명과학과 2022.02.10 1268
381 [김재경 교수님] 포스코 사이언스 펠로십 선정​ 생명과학과 2023.10.18 1270
380 [정현정 교수님] 암세포만 골라 유전자 교정 치료하는 신약 개발​ 생명과학과 2024.04.08 1271
379 [최길주, 김상규 교수님] 카오스재단 2022 봄 카오스강연 ‘식물행성 (Plant Planet)’ 에서 강연(4/6) 생명과학과 2022.02.22 1279
378 서성배 교수님_동물의 식습관을 조절하는 원리 규명해 네이처 게재​ 생명과학과 2021.05.11 1285
377 한진희 교수님_ 치매 치료에 열 올리는 KAIST·연구기관 생명과학과 2021.08.18 1294
376 [한진희 교수님] 카이스트, 뉴런(신경 세포) 교체에 의한 기억저장 규명 생명과학과 2021.11.24 1297
375 [한용만, 허원도 교수님] 광유전학적으로 인슐린 분비 조절성공…인간 전분화능 줄기세포 유래 췌도 오가노이드 개발 생명과학과 2023.03.24 1298
374 2021 대성해강미생물포럼_좌장 조병관 교수, 연사 김대수 교수_21.09.28(화) 13:00~ file 생명과학과 2021.09.13 1300
373 [강석조 교수님] 이행 호염구, 알레르기 매개 세포에 대한 새로운 이해 생명과학과 2023.11.08 1307
372 [정인경 교수님] 파킨슨병 발병 3차원 게놈 지도 최초 제시​ 생명과학과 2023.05.08 1314
371 양한슬 교수님_ 서경배과학재단 2021년 신진과학자 선정 file 생명과학과 2021.08.31 1315
370 2021 Agrwal Award 시상식이 9월 9일(목) 오후 4시_이준혁 학생(정원석 교수) file 생명과학과 2021.09.06 1323
369 [허원도, 윤기준 교수님] 제51주년 개교기념식 개교기념 우수교원 포상 및 특별포상에서 학술상, 우수강의상 수상 생명과학과 2022.02.16 1324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3 Next
/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