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왼쪽부터) 우리 대학 생명과학과 강석조 교수, 박지연 박사, 조유리 박사

< (왼쪽부터) 우리 대학 생명과학과 강석조 교수, 박지연 박사, 조유리 박사 >

 

우리 대학 생명과학과 강석조 교수 연구팀이 알레르기를 매개하는 중요한 면역세포인 호염구의 새로운 전구세포를 발견하고호염구 말단 분화단계에서 그 고유 기능을 획득하는 데 중요한 전사인자를 규명했다고 7일 밝혔다.

호염구(basophil)는 체내에 극소수로 존재하는 백혈구지만알레르기와 같이 제2형 면역 반응으로 매개되는 질환의 주된 작용 세포다호염구의 혈액 내 증감을 통해서 알레르기 반응 정도를 판별할 수 있고질환의 면역 반응의 중증도에도 영향을 미친다호염구는 인체 내로 유입된 알레르기 유발 물질에 특이적인 Immunoglobulin E (IgE)에 대한 수용체를 통해 활성화되면 탈과립(degranulation)과 면역조절 물질인 사이토카인(cytokine)을 비롯해 다양한 염증 유도 물질들을 분비한다이를 통하여 호염구는 알레르기 반응을 매개하고 다른 면역세포들의 침윤을 도와 염증 반응을 심화시킨다하지만이러한 호염구의 초기 분화 과정 연구에 비해 그 고유 기능을 획득하는 말단 분화 과정과 이를 조절하는 인자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었다. 

강 교수 연구팀은 마우스 골수 내에서 호염구 전구세포(basophil progenitor, BaP)가 세포분열이 없는 최종 분화단계의 성숙한 호염구(mature basophil)로 분화하는 과정 중간에 위치한세포분열 능력을 보유한 새로운 전구세포를 발견하였으며 그 특성을 다양한 실험으로 규명하고 이행 호염구(transitional basophil, tBaso)’로 명명하였다이행 호염구의 발견을 통하여 강 교수팀은 호염구의 분화과정에서 변화하는 유전자 발현을 더욱 세밀하게 분석할 수 있었으며 세포분열 및 주기 조절과 호염구의 고유한 기능의 조절에 관계하는 유전자의 발현은 분화단계에 따라 다르게 조절됨을 확인하였다. 

그림 1. 새로운 호염구 전구세포의 발견과 호염구의 분화 조절인자에 관한 연구 개요. 본 연구를 통하여 마우스 골수에서 호염구 전구세포, 이행 호염구를 거쳐 성숙 호염구로 분화가 진행됨을 밝혔으며, 분화단계에서 전사체의 발현 패턴을 4가지 그룹으로 나누고, 각 단계에서 보이는 유전자의 기능적 특성을 함께 밝혔음. 이로부터 NFIL3가 호염구의 고유 기능 획득에 중요한 전사인자임을 규명하였음 (BioRender를 활용하여 그림)

< 그림 1. 새로운 호염구 전구세포의 발견과 호염구의 분화 조절인자에 관한 연구 개요. 본 연구를 통하여 마우스 골수에서 호염구 전구세포, 이행 호염구를 거쳐 성숙 호염구로 분화가 진행됨을 밝혔으며, 분화단계에서 전사체의 발현 패턴을 4가지 그룹으로 나누고, 각 단계에서 보이는 유전자의 기능적 특성을 함께 밝혔음. 이로부터 NFIL3가 호염구의 고유 기능 획득에 중요한 전사인자임을 규명하였음 (BioRender를 활용하여 그림) >

 

이어호염구의 분화단계에 따라 발현이 변화하는 전사인자 NFIL3를 확인하였고, NFIL3 단백질이 호염구의 말단 분화단계에서 IgE 수용체 활성화에 따라 유도된 호염구의 기능적 특징을 부여하는 중요 인자임을 규명하여 보고하였다또한호염구 특이적으로 NFIL3가 결손된 마우스를 이용하여호염구 내 NFIL3 단백질이 아토피성 피부 질환의 염증 반응을 조절함을 밝혔다. 

연구팀은 이행 호염구가 성숙 호염구에 비해 사이토카인 생성 능력이 뛰어남을 추가로 확인하였으며사이토카인 자극의 종류에 따라 다른 종류의 제2형 면역반응 사이토카인을 생성함을 밝혔다이러한 차별적 사이토카인 생성 능력은 호염구에서는 최초로 발견된 것으로추후 호염구 매개 질환에서 그 작용기전을 설명하는 데 중요한 지식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강석조 교수는 호염구의 말단 분화과정의 중요 전구세포를 발견하고 호염구의 기능적 전문성을 획득하는 다이나믹한 과정을 밝힌 연구라고 언급하면서, “본 연구를 통해 얻은 새로운 지식은 호염구가 매개하는 알레르기 질환에 대한 이해와 치료제 개발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이번 연구는 면역학 및 알레르기 분야의 세계 최고 국제 학술지 알레르기 및 임상면역학 저널 (The Journal of Allergy and Clinical Immunology)’에 10월 1일 字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논문명: The transcription factor NFIL3/E4BP4 regulates the developmental stage-specific acquisition of basophil function). KAIST 생명과학과 강석조 교수 연구팀 박지연 박사조유리 박사(現 LG화학)가 공동 제저자로 연구를 주도하였고바이오및뇌공학과 양동찬 박사생명과학과 양한슬이대엽 교수팀, RIKEN Masato Kubo 교수 연구팀이 함께 참여하였다. 

 

한편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의 선도연구센터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https://news.kaist.ac.kr/news/html/news/?mode=V&mng_no=32450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00 [이승재 교수님] 건강한 장수를 유도하는 돌연변이 유전자 발굴 생명과학과 2021.11.24 719
399 [오병하 교수님] 오미크론에도 듣는 범용 항체, 국내에서 개발 생명과학과 2022.02.04 719
398 [김찬혁 교수님] 말기 고형암 표적 2세대 면역치료제 개발​ 생명과학과 2023.04.20 719
397 [김세윤, 정원석, 손종우 교수님] 인공지능 기반 약물 가상 스크리닝 기술로 신규 항암 치료제 발굴 성공 생명과학과 2022.08.12 724
396 [김대수 교수님] 네이버 열린연단 '자유와 이성' 주제로 시즌9 강연 시작 생명과학과 2022.04.22 727
395 [김세윤, 양한슬 교수님] 장 조직의 항상성과 염증성 장염 회복의 핵심 효소 발견​ 생명과학과 2022.10.07 731
394 [김재경 교수님] 포스코 사이언스 펠로십 선정​ 생명과학과 2023.10.18 736
393 [전상용 교수님] 항암치료용 인공탄수화물 기반 나노의약 개발​ 생명과학과 2022.07.12 739
392 [루닛 서범석 대표] 바이오업계 유니콘 기대 루닛, 서범석 '치료 예측 AI' 고도화 박차 생명과학과 2022.04.27 740
391 이승희 교수님_시각 정보 인식해 행동 결정하는 대뇌 신경회로 과정 밝혀 생명과학과 2021.08.30 749
390 [손종우 교수님] 서울의대동창회, 제25회 함춘학술상 수상자 선정 생명과학과 2022.03.08 750
389 [허원도 교수님] RNA 유전자 가위 기술로 코로나바이러스 싹둑 생명과학과 2023.05.04 751
388 [조병관 교수님] 대량의 고농도 일산화탄소를 고부가가치 바이오케미칼로 전환하는 기술 개발 생명과학과 2022.07.15 762
» [강석조 교수님] 이행 호염구, 알레르기 매개 세포에 대한 새로운 이해 생명과학과 2023.11.08 769
386 [서연수 교수님] ㈜엔지노믹스, 생명과학과에 발전기금 24억 기부​ 생명과학과 2022.10.14 770
385 [한용만, 허원도 교수님] 광유전학적으로 인슐린 분비 조절성공…인간 전분화능 줄기세포 유래 췌도 오가노이드 개발 생명과학과 2023.03.24 776
384 [허원도 교수님] 빛으로 뇌 기능, 행동, 감정을 자유롭게 조절한다​ 생명과학과 2021.12.03 781
383 [강창원, 서연수 교수님] RNA 합성의 세 갈래 끝내기 제시​ 생명과학과 2022.03.31 782
382 [한진희 교수님] 카이스트, 뉴런(신경 세포) 교체에 의한 기억저장 규명 생명과학과 2021.11.24 794
381 [전상용, 조병관 교수님] 나노입자로 염증부터 면역치료까지 가능 생명과학과 2023.06.21 795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2 Next
/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