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뇌의 본능적 욕구 참고 기다리는 아이, 사회적으로 성공”

 

김대수 KAIST 교수는 “나의 뇌를 알고 내가 원하는 대로 뇌를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며 “자녀교육에서도 뇌훈련이 중요하다”고 했다. 김상선 기자

김대수 KAIST 교수는 “나의 뇌를 알고 내가 원하는 대로 뇌를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며 “자녀교육에서도 뇌훈련이 중요하다”고 했다. 김상선 기자

뇌과학자인 김대수(52) KAIST 생명과학과 교수는 초등학생 시절 공부 못하는 아이였다. 행동 원인을 유전자 관점에서 연구하는 행동유전학의 권위자인 지금의 그를 보면 상상하기 어려운 이야기다.

달라진 비결이 뭘까. 김 교수는 “지금의 모습이 될 때까지 기다려준 사람들이 있어서”라고 요약했다. 문제아로 낙인찍지 않고 실수를 용서해 주고 스스로 고칠 수 있도록 기다려준 부모님과 이웃들이 있어서란 뜻이다.

“뇌에 문제가 있었는지 제 물건을 건드리면 순간적으로 친구를 치고 그랬어요. 한 번은 친구 어머니가 집으로 불러 음식을 대접해 주면서 ‘대수야, 우리 아이가 너한테 맞은 이후로 이불에 코피를 쏟는 일이 많구나. 내가 마음이 아프다’라고 말씀하셨는데 그게 가슴에 와 닿았어요.” 그는 그 후 누군가를 때리지 않았다. 노트 필기를 안 하던 그를 위해 반 친구네 집에 가서 직접 필기를 해 오신 어머니를 보고도 느낀 게 많았다.

뇌과학자가 된 후 그는 어린 시절 ‘문제성 행동’에 대해 뇌과학적으로 더 잘 이해할 수 있게 됐다. 그는 “완성되기 전의 뇌는 필요하지 않은 신호를 만들어내는데 그 신호에 반응하다 보면 이상한 근육 반응이나 행동이 만들어진다. 아이들이 선생님께서 숙제를 내주는 순간에 엉뚱한 대상에 집중하거나, 저명인사들이 본능적 실수를 하고 범죄에 연루되는 것도 뇌가 보낸 신호를 추종한 탓”이라고 설명했다.

그렇다고 학교폭력, 성폭력 등이 단지 뇌가 성욕, 공격욕을 만들기 때문에 생기는 것은 아니라고 했다. 욕구를 충족시킬 ‘때’를 잘못 선택한 결과라는 게 그의 설명이다. 뇌엔 이러한 신호를 관찰하는 ‘의식’이 있는데 우리가 스스로 ‘본능의 신호’를 의식하면, 본능의 신호만을 따라 행동하지 않을 수 있다는 말이다.

이 과정에서 중요한 것이 ‘기다리기’와 ‘욕망의 승화’다. 마시멜로를 먹고 싶은 충동을 참는 실험에서 인내심을 발휘한 아이들이 15년 뒤 사회적, 학업적으로 성공했다는 스탠퍼드대 연구결과도 있다. 그들은 마시멜로를 쳐다보지 않거나 노래를 부르거나 책상을 발로 차는 행동을 했다. “욕구의 채널을 다른 방향으로 돌려 다른 곳에 몰입할 수 있는 능력이 있었던 것”이라고 김 교수는 분석한다.

그는 “기다리기는 부모에게도 적용된다”고 했다. 아이의 문제 행동에 화내며 비난하기보다 아이가 직접 그 상황이 잘못됐음을 느끼도록 진지하게 부모의 감정을 짧고 굵게 이야기하거나 보여주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말이다. 그는 보다 다채로운 인생을 살기 위해선 “뇌가 보낸 본능의 신호를 내가 원하는 삶의 고차원적인 목표로 전환할 수 있는 능력을 훈련해야 한다”고 조언 했다. 저 서 『뇌과학이 인생에 필요한 순간』에 이 같은 연구결과를 담았다.

그는 게임중독 아이를 걱정하는 부모들에게 “게임이라는 욕구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해야 하는데, 부모가 화내고 휴대전화를 뺏거나 게임 시간이나 장소를 제한하는 것만으로는 큰 효과가 없다”며 “이보다는 식물이나 동물을 함께 키우거나 놀이를 함께 해주면서 거실에서 부모와 함께 하는 시간이 즐겁다는 식으로 뇌 기억 자체를 바꿔줄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꿈이 없고 공부에 의욕이 없어 보이는 아이와 관련해서는 “공부에 의욕이 없는 것이 아니라 게임과 달리 공부의 경우 해야 하는 목표를 발견하지 못했을 뿐”이라며 “무작정 책상 앞에 앉히기보다 롤모델을 제시하는 등 목표를 생각하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01 [한겨레] 생체시계 시간 맞추는 유전자 국내 연구팀이 첫 발견-김재섭 교수팀 과사무실 2005.10.20 11533
300 [한국경제] STRONG KOREA-한국인 과학자가 뛴다...생명과학 과사무실 2006.11.13 17603
299 [한국경제] 고규영 교수 유력 바이오논문 6편 최다 발표 과사무실 2005.09.02 12477
298 [한국경제] 한국인 생명과학자가 최근 발표한 주요 연구 과사무실 2006.11.13 17770
297 [한국의 AI 추격자들] 서범석·백승욱 루닛 창업자 file 생명과학과 2020.10.30 3515
296 [한용만, 허원도 교수님] 광유전학적으로 인슐린 분비 조절성공…인간 전분화능 줄기세포 유래 췌도 오가노이드 개발 생명과학과 2023.03.24 985
295 [한진희 교수님] 카이스트, 뉴런(신경 세포) 교체에 의한 기억저장 규명 생명과학과 2021.11.24 984
294 [허원도 교수님] RNA 유전자 가위 기술로 코로나바이러스 싹둑 생명과학과 2023.05.04 955
293 [허원도 교수님] RNA 유전자 가위 정밀제어기술로 유전자 치료 성큼​ 생명과학과 2024.02.14 780
292 [허원도 교수님] 경암교육문화재단, ‘제20회 경암상’ 수상자 발표 생명과학과 2024.09.30 182
291 [허원도 교수님] 기억하고 인지하는 과정을 실시간 관찰하다 생명과학과 2024.01.10 643
290 [허원도 교수님] 빛으로 기억 조절해 정신질환 치료 가능성 열어 생명과학과 2024.07.15 377
289 [허원도 교수님] 빛으로 뇌 기능, 행동, 감정을 자유롭게 조절한다​ 생명과학과 2021.12.03 960
288 [허원도 교수님] 한국과학기술한림원 2024년도 정회원 선출 생명과학과 2023.12.04 609
287 [허원도, 윤기준 교수님] 제51주년 개교기념식 개교기념 우수교원 포상 및 특별포상에서 학술상, 우수강의상 수상 생명과학과 2022.02.16 1102
286 ‘올해의 KAIST 교수상’ - 김재섭 교수 과사무실 2005.12.30 14060
285 故 박태관 교수가 남기고 간 '흔적'…세계적 학술지 '주목' 과사무실 2011.05.12 15809
284 故 박태관 교수님의 명복을 빕니다. 과사무실 2011.04.11 13649
283 靑 과기보좌관에 '여성과학인' 이공주 교수 임명 file 생명과학과 2019.02.22 5891
282 강은채 학생 창의활동상 수상 과사무실 2004.02.20 13515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 23 Next
/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