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시각 정보 인식해 행동 결정하는 대뇌 신경회로 과정 밝혀

 

KAIST "조현병·ADHD 등 충동성 나타내는 뇌 질환 치료에 기여"

 

 

생쥐 실험을 통해 밝힌 전대상 피질의 억제성 회로 일러스트
생쥐 실험을 통해 밝힌 전대상 피질의 억제성 회로 일러스트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생명과학과 이승희 교수 연구팀이 시각 정보를 인식해 행동을 결정하는 대뇌 전두엽의 신경회로 과정을 새롭게 규명했다고 26일 밝혔다.

우리 몸은 외부의 감각 정보를 인식해 상황에 맞는 행동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신호등의 빨간 색 신호를 보면 멈추고, 초록색 신호를 보면 출발한다.

이처럼 시각 정보를 인식하고 그에 맞는 운동 행동을 결정하기 위해 인체 뇌는 감각 정보를 적절한 운동 정보로 변환해야 하는데, 이 교수 연구팀은 이것이 전측 대상회(전대상) 피질(ACC·anterior cingulate cortex)의 억제성 회로에 의해 이뤄짐을 밝혔다.

전대상 피질은 신체적인 고통에 반응하고 통증 정보를 처리하는 영역으로, 뇌 전두엽에 자리 잡고 있다.

연구팀은 시각 자극이 주어지면 물을 핥고, 그렇지 않으면 핥기를 멈추는 행동을 학습시킨 생쥐의 전대상 피질에 고밀도 실리콘 전극을 삽입, 생체 내 신경 신호를 측정했다.

생쥐 전대상 피질의 신경 신호 측정 실험

생쥐 전대상 피질의 신경 신호 측정 실험

 

 

약물을 이용해 전대상 피질의 활성도를 낮춘 결과, 생쥐는 시각 자극이 주어지지 않았음에도 충동적으로 핥기를 지속하는 비정상적인 행동 양상을 보였다.

전대상 피질은 시각 정보가 없을 때 운동을 멈추고 기다려야 하는 충동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연구팀은 전대상 피질에는 시각 정보에 반응하는 시각 반응성 신경세포와 운동 개시를 억제하는 운동 억제성 신경세포, 시각 정보와 운동 개시 모두에 반응하지 않는 나머지 신경세포들이 존재함을 확인했다.

특히 광유전학적 방법을 이용한 실험에서 전대상 피질의 시각 반응성 신경세포들은 시각 피질로부터 신경 정보를 직접 전달받음을 확인했고, 광 자극으로 해당 신경 회로를 활성화하면 시각 자극이 없어도 생쥐의 행동을 유발할 수 있음을 증명했다.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장애(ADHD)나 조현병 등과 같은 인지장애·충동성을 나타내는 뇌 질환 치료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연합뉴스, jyoung@yna.co.kr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 이승희 교수님_시각 정보 인식해 행동 결정하는 대뇌 신경회로 과정 밝혀 생명과학과 2021.08.30 1059
322 이승희 교수님_KAIST, 뇌 인지기능 높이는 물질 발견… 치매 치료 효과 기대 file 생명과학과 2020.04.26 5498
321 이승희 교수, 송유향, 김재현 박사과정 학생 Neuron 게재 file 생명과학과 2017.02.13 18426
320 이승재 교수님_One More Key to Human Longevity Found After Worm Research 생명과학과 2020.07.03 11472
319 이승재 교수, 한성과학상 수상 file 생명과학과 2019.07.01 6862
318 이승재 교수, 올리브유의 노화 방지 및 장수 효과 입증 file 생명과학과 2019.08.22 6138
317 이상열 교수(박사 85) KAIST 올해의 동문 선정 과사무실 2005.01.04 15756
316 이상기 박사 한국생명공학연구원장 취임 과사무실 2005.07.12 14139
315 이균민 교수, 교무처장 인사 발령 과사무실 2010.07.15 12283
314 이균민 교수 생명과학과 학과장 취임 과사무실 2007.09.13 13179
313 이규리 학생(박태관 교수님 Lab), ICMAT 2009 & IUMRS-ICA 2009 Best Poster Award 수상 과사무실 2009.07.13 13982
312 윤기준 교수, '2019 서경배과학재단 신진 과학자' 선정 file 생명과학과 2019.09.23 6459
311 우주연 학생(김은준 교수님 Lab), 로레알-유네스코 펠로쉽 수상 과사무실 2009.06.23 18002
310 오병하 교수님_자연에 없는 고감도 단백질 센서 제작 플랫폼 개발 생명과학과 2021.02.08 1313
309 오병하 교수, 제 9회 아산의학상 수상 file 생명과학과 2016.03.14 18727
308 양한슬 교수님_ 서경배과학재단 2021년 신진과학자 선정 file 생명과학과 2021.08.31 1149
307 송지준교수, 조수민 연구교수, 장주원 박사과정학생 nature communications 논문 게재 file 생명과학과 2020.01.02 57943
306 송지준 교수, 김은지 박사 Molecular Cell에 논문 게재(2015) / Prof. Ji-Joon Song and PhD. Eun-Ji Kim published a paper at Molecular Cell (2015) 과사무실 2015.07.29 14962
305 송지준 교수, PNAS 게재 (2012.8) 과사무실 2012.12.10 15035
304 송지준 교수, J.Am.Chem.Soc. 게재 (2013.10) 과사무실 2013.10.18 14557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 23 Next
/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