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이공주 과학기술보좌관.jpeg
이공주 신임 청와대 과학기술보좌관


지난 19일, 청와대 대통령비서실 과학기술보좌관에 이공주 이화여자대학교 약학과 교수가 임명되었다.


이공주 교수의 과기보좌관 임명은 문미옥 전 보좌관(현 과기정통부 차관) 사임 이후 2개월여 만의 후임 결정이다. 문 전 보좌관에 이어 이 보좌관 역시 여성으로, 청와대 과학기술보좌관이 모두 여성과학인이 임명된 것이다.


이공주 신임 대통령비서실 과학기술보좌관에 대해 청와대 김의겸 대변인은 

"대표적인 1세대 여성 과학자이자 생화학°프로테오믹스(Proteomics) 분야의 세계적 권이자"라며 "탁월한 연구역량과 다양한 행정 경험을 바탕으로 과학기술 정책, 연구개발 및 미래 인재양성 등 과학기술 분야의 개혁과 혁신에 기여할 적임자"라고 설명했다.


이 보좌관은 과거 여성으로서는 불모지 같은 과학계에 여성과학인 네트워크를 수립하는데 앞장선 인물로 알려져있다.

이 보좌관은 지난 2012년 8월 21일자 온라인 '더나은미래'와의 인터뷰에서 아직 소수자인 여성 과학자들을 위한 네트워크 활동을 중요시하는 것으로 소개됐다. 이 보좌관은 이화여대 약대와 카이스트 생명공학과 석사학위를 받은 후 미국 스탠퍼드대로 유학을 다녀와 직장을 대전의 한국표준과학연구원에서 시작했다. 이 매체는 "대덕의 수많은 정부 출연기관 연구원 200명 중 여성은 서너 명에 불과한 시절이었다"며 "이 교수는 '여성 연구원끼리 모임을 만들자'고 주도했고, 이를 토대로 1993년 1300여명의 대한여성과학기술인회(KWSE)가 탄생했다"고 설명했다.



□ 대통령비서실 과학기술보좌관 / 이공주 (李公珠, Lee Kong-Joo)

- 1955년생, 서울 

【 학 력 】 

- 풍문여고 
- 이화여대 제약학과 
- KAIST 생물공학 석사 
- 미국 스탠퍼드대 생물리화학 박사
 

【 경 력 】 

- 이화여자대학교 약학과 교수(現) 
-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정회원(現) 
- 세계여성과학기술인네트워크 회장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42 [송지준 교수님] 호르몬 조절 원리와 구조 밝혀냈다 생명과학과 2022.05.06 2741
341 허원도 교수님(유다슬이 박사)_제10회 에쓰-오일 우수학위논문상'의 생명과학 분야 대상 수상 생명과학과 2021.02.22 2751
340 [김상규 교수님] 식물 유전자 비밀 푸는 김상규 카이스트 교수 생명과학과 2021.11.24 2764
339 [임정훈 동문교수님] “초파리로 루게릭병 잡는다” 임정훈 분자생물학자 생명과학과 2022.04.04 2780
338 조병관교수님_온실가스를 바이오 물질로 전환…미생물 활용한 '인공광합성' 성공 생명과학과 2021.03.10 2794
337 [조병관 교수님] 카이스트 조병관 교수팀, 합성생물학 기반 차세대 미생물 대사 조절 밸브 개발 생명과학과 2022.04.15 2878
336 KAIST-원진 세포치료센터 기부 및 투자 약정 업무협약식 생명과학과 2021.02.22 2946
335 [진에딧 이근우 대표] 한국인이 세운 ‘유전자 가위’ 스타트업… 실리콘밸리가 침흘리는 이유 생명과학과 2021.12.20 3015
334 서성배 교수님(김보람 연수연구원)_제20회 한국 로레알-유네스코 여성과학자상 수상 file 생명과학과 2021.09.27 3034
333 서성배 교수님(양대욱 박사)_세종과학펠로우십 선정 생명과학과 2021.03.18 3040
332 정인경 교수님_유전자 온-오프 스위치 비밀 밝히는 정인경 카이스트 교수 생명과학과 2021.07.26 3050
331 김찬혁 교수님_인공지능 이용 면역항암 세포 3차원 분석기술 개발 생명과학과 2021.02.08 3099
330 정원석 교수님_KAIST, 신경세포의 흥분성 증가로 인한 뇌 질환 기제 규명 생명과학과 2021.06.03 3124
329 [김진우 교수님, 민광욱 박사님] 왼쪽 눈이 본 것을 오른쪽 뇌가 알게 하라​ 생명과학과 2023.03.02 3129
328 전상용 교수님_Researchers review future directions of nanomedicine development 생명과학과 2020.12.28 3169
327 [김대수 교수님] '유퀴즈' 뇌과학자 김대수, 깻잎 논쟁 "절대로 해선 안 되는 행동" 생명과학과 2022.02.17 3191
326 정인경 교수님_KAIST, 전 세계 최대 규모의 3차원 암 게놈 지도 구축 생명과학과 2020.12.29 3256
325 정현정 교수님_도파민의 성질로 박테리아 생장의 실시간 탐지 기술 개발​ 생명과학과 2020.12.09 3321
324 김진우 교수님_생명의 신비상 장려상 수상 생명과학과 2020.12.24 3531
323 [서성배 교수님] 육감 센서 찾는 서성배 카이스트 생명과학부 교수 생명과학과 2022.03.03 3555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 24 Next
/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