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해도연 작가, 김희선 작가, 이지용 평론가, 단편소설 대상 유슬기 씨, 단편소설 가작 기민정 씨, 미니픽션 가작 김민재 씨. 조완 씨.(왼쪽부터) 포스텍 제공해도연 작가, 김희선 작가, 이지용 평론가, 단편소설 대상 유슬기 씨, 단편소설 가작 기민정 씨, 미니픽션 가작 김민재 씨. 조완 씨.(왼쪽부터) 포스텍 제공

 

'POSTECH(포항공과대학교) SF 어워드'에서 KAIST(한국과학기술원) 유슬기 씨 작품이 단편소설 부문에 당선됐다.

26일 포스텍에 따르면 올해 단편소설 부문에서는 KAIST 생명과학과 대학원생 유슬기 씨의 '도시 바깥에서는 껌의 향이 난다'가, 가작에는 POSTECH 화학과 대학원생 기민정 씨의 작품 '영도'가 선정됐다.
 
미니 픽션 부문에서는 당선작 없이 고려대 물리학과 김민재 씨의 '자연 선택' · '카산드라'와 연세대 물리학과 대학원생 조완 씨의 '게헨나' · '지능의 발명' 작품이 가작으로 선정됐다.
 
당선작 수상자에게는 POSTECH 총장상과 함께 상금 500만 원이 수여된다. 또 이번 대회의 수상작과 심사위원 추천작은 수상 작품집 단행본으로 출간될 계획이다.
 
'도시 바깥에서는 껌의 향이 난다'는 식물이라는 소재의 참신함과 구조의 유려함, 사회 문제를 들여다보는 예리한 시선이 심사위원들의 높은 평가를 받았다. 
 
유슬기 씨는 "이야기는 저 자신을 드러낼 수 있게 해주는 고마운 창구"라며 "하나의 완결된 이야기를 만드는 것은 정말 어려운 일이지만, 앞으로도 계속 이야기를 만들어 나가고 싶다"는 소감을 밝혔다.
 
한편, POSTECH 소통과 공론 연구소가 주관하는 이 공모전은 휴학생 포함 국내 이공계 대학생ㆍ대학원생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 올해에는 단편소설 25편과 SF 미니 픽션 16편 등 총 41편이 접수됐다.

 

https://www.nocutnews.co.kr/news/610183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56 [송지준 교수님] 호르몬 조절 원리와 구조 밝혀냈다 생명과학과 2022.05.06 2194
355 [양한슬 교수님] 해양 속 82%까지 생분해되는 종이 포장재 개발 생명과학과 2024.05.20 1281
354 [연합뉴스]신종 박테리아 5개중 1개꼴 한국과학자 발견...이성택교수 과사무실 2007.04.04 16025
353 [오병하 교수님] 뉴스의인물/ KAIST 생명과학과 오병하 교수 생명과학과 2022.03.21 2088
352 [오병하 교수님] 오미크론에도 듣는 범용 항체, 국내에서 개발 생명과학과 2022.02.04 1681
» [유슬기(양한슬 교수님 연구실)] 제4회 'POSTECH SF 어워드', KAIST 유슬기 씨 당선 생명과학과 2024.02.27 1331
350 [유지환(허원도 교수님 연구실)] Merck-KAIST 대학원 국제 장학생 선정 file 생명과학과 2024.11.26 796
349 [이광록 교수님] 코로나바이러스 전염 메커니즘 규명​ 생명과학과 2025.02.17 367
348 [이승재 교수님 연구실] 과기정통부, ‘2022년도 건강한 연구실’ 10개 선정 생명과학과 2022.12.12 1657
347 [이승재 교수님] 건강한 장수를 유도하는 돌연변이 유전자 발굴 생명과학과 2021.11.24 1509
346 [이승재 교수님] 국내 연구팀, 예쁜꼬마선충을 이용 새로운 항노화 단백질 찾아 생명과학과 2021.12.13 1777
345 [이승재 교수님] 면역력이 더 높은 성별과 그 이유를 밝혀내다​ 생명과학과 2024.07.19 1301
344 [이승재 교수님] 생체 노화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새로운 RNA 지표 발견​ 생명과학과 2022.12.08 2022
343 [이승재 교수님] 생체 에너지 발전소 부산물로 병원균 감염 제어​ 생명과학과 2023.07.11 1401
342 [이승희 교수님] 신경전달물질 소마토스타틴의 알츠하이머 독성 개선효과 발견​ 생명과학과 2022.07.25 1769
341 [이주형 학부생] 포스텍SF 어워드에서 생명과학과 학부생 이주형, 단편 부문 가작 선정 생명과학과 2022.02.10 1671
340 [이흥규 교수님] 난치성 뇌종양 치료의 새로운 가능성 열다​ 생명과학과 2024.11.06 698
339 [임대식 교수님] 3·1문화상(자연과학 부문) 수상 생명과학과 2025.01.13 496
338 [임대식 교수님] 지방세포 이용해 체중 감소 가능하다​ 생명과학과 2024.07.01 1112
337 [임정훈 동문교수님] “초파리로 루게릭병 잡는다” 임정훈 분자생물학자 생명과학과 2022.04.04 2228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3 Next
/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