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http://www.fnnews.com/view?ra=Sent0901m_View&corp=fnnews&arcid=0921323404&cDateYear=2008&cDateMonth=05&cDateDay=27http://www.fnnews.com/view?ra=Sent0901m_View&corp=fnnews&arcid=0921323404&cDateYear=2008&cDateMonth=05&cDateDay=27국내 연구진이 식물 씨앗의 발아를 조절하는 유전자를 찾아냈다.

KAIST 생명공학과 최길주 교수는 애기장대라는 식물에서 빛이 없어도 싹이 트게 하는 유전자를 발견했다고 27일 밝혔다.

최 교수는 이 유전자에 로마신화에 나오는 ‘잠의 신’에서 따온 ‘솜너스(Somnus)’라는 이름을 붙였다.

씨앗은 보통 수분과 온도 등 외부 조건이 맞으면 싹을 틔우는데 여기서 빛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빛이 없으면 싹을 틔워도 광합성을 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야생식물들은 대부분 빛이 있을 때만 싹을 틔우는 광발아성을 갖고 있다.

기존 연구에 따르면 씨앗의 휴면과 발아 조절에는 씨앗 내 앱식산과 지베렐린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하지만 그 조절과정은 아직 알려지지 않았다.

다만 빛이 없으면 앱식산이 증가하고 지베렐린이 감소하면서 씨앗의 휴면이 길어져 발아가 억제되고, 빛이 있으면 앱식산이 감소하고 지베렐린이 증가하며 발아가 촉진된다는 사실이 알려진 상태다.

최 교수팀은 이번 연구에서 돌연변이 애기장대를 이용했다.

연구팀은 인공적으로 돌연변이를 일으킨 애기장대 씨앗 중 어두운 곳에서 싹이 트는 것만 골라 재배한 뒤 다시 씨를 받아 발아시키는 과정을 통해 어두운 곳에서 싹이 트는 돌연변이체를 찾아냈다. 그리고 이 돌연변이체에서 특정 유전자 변이를 찾아냈으며 이 유전자가 앱식산 합성 유전자의 발현을 촉진하고 지베렐린 합성 유전자의 발현을 낮추는 기능을 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솜너스의 존재와 기능을 알아낸 것이다.

최 교수는 “솜너스 돌연변이체들은 빛이 없는 곳에서 발아하지만 성장은 정상적으로 이뤄진다”며 “이 유전자는 발아과정에서만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그는 또 “이 연구는 그동안 잘 알려져 있지 않았던 발아과정에 대한 이해를 높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며 “씨앗의 발아성질을 유전공학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유전자를 찾았다는 점에서 종자산업 등에 활용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economist@fnnews.com 이재원기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68 [메디포럼 정재언 대표] 메디포럼, 정재언 연구소장 신임 대표이사 선임…“임상 R&D 중심 경영 집중” 생명과학과 2022.03.14 1190
367 [손종우 교수님] 서울의대동창회, 제25회 함춘학술상 수상자 선정 생명과학과 2022.03.08 1190
366 [서성배 교수님] 육감 센서 찾는 서성배 카이스트 생명과학부 교수 생명과학과 2022.03.03 2398
365 [정원석 교수님] 제28회 삼성휴먼테크 논문대상에서 생명과학과 변유경 학생 은상 수상​ 생명과학과 2022.03.02 1589
364 [최길주, 김상규 교수님] 카오스재단 2022 봄 카오스강연 ‘식물행성 (Plant Planet)’ 에서 강연(4/6) 생명과학과 2022.02.22 1285
363 [김대수 교수님] '유퀴즈' 뇌과학자 김대수, 깻잎 논쟁 "절대로 해선 안 되는 행동" 생명과학과 2022.02.17 2019
362 [허원도, 윤기준 교수님] 제51주년 개교기념식 개교기념 우수교원 포상 및 특별포상에서 학술상, 우수강의상 수상 생명과학과 2022.02.16 1330
361 [김상규 교수님] 단일세포 RNA 시퀀싱을 통한 꽃향기 합성 유전자 발굴​ 생명과학과 2022.02.15 1277
360 [이주형 학부생] 포스텍SF 어워드에서 생명과학과 학부생 이주형, 단편 부문 가작 선정 생명과학과 2022.02.10 1277
359 [김찬혁 교수님] 서울대병원, '꿈의 항암제' CAR-T 임상1상 본격 돌입 생명과학과 2022.02.04 1423
358 [오병하 교수님] 오미크론에도 듣는 범용 항체, 국내에서 개발 생명과학과 2022.02.04 1181
357 [정현정 교수님] 유전자 가위로 생체 내 정밀한 유전자 교정에 의한 면역 항암 치료​ 생명과학과 2022.01.18 1397
356 [조병관 교수님] 한국연구재단, 노화 방지하고 회춘하는 방법 제시 생명과학과 2022.01.13 1377
355 [조원기 교수님] 세포 기능 결정에 핵심 역할 유전자 발현 단백질 찾았다 생명과학과 2021.12.24 1433
354 [진에딧 이근우 대표] 한국인이 세운 ‘유전자 가위’ 스타트업… 실리콘밸리가 침흘리는 이유 생명과학과 2021.12.20 1920
353 [이승재 교수님] 국내 연구팀, 예쁜꼬마선충을 이용 새로운 항노화 단백질 찾아 생명과학과 2021.12.13 1354
352 [허원도 교수님] 빛으로 뇌 기능, 행동, 감정을 자유롭게 조절한다​ 생명과학과 2021.12.03 1207
351 [김학성 교수님] 카이스트, 거대 단백질 구조체를 레고 블록 쌓듯 조립하는 기술 개발 생명과학과 2021.11.24 1478
350 [한진희 교수님] 카이스트, 뉴런(신경 세포) 교체에 의한 기억저장 규명 생명과학과 2021.11.24 1301
349 [김찬혁 교수님] 카이스트, 면역관문 신호 극복하는 차세대 CAR-T 세포 치료제 개발 생명과학과 2021.11.24 1434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3 Next
/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