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자석이용 'MAGIC', 항암제 등 2종 신약후보물질 찾아

한국과학기술원 생명과학과 김태국(41) 교수팀이 ㈜씨지케이(CGK. 대표 정연철)와 공동으로 개발한 새로운 신약개발 원천기술이 7월 1일자 사이언스지(誌)에 발표됐다.

'살아 있는 세포에서 분자 간 상호작용을 검출하는 자성 나노프로브 기술(A magnetic technology for detecting molecular interactions in live cells)'이라는 제목으로 발표됐으며 마치 마술과 같다는 의미에서 'MAGIC'으로 명명됐다.

이 기술은 살아있는 세포 내에서 다양한 물질의 결합을 실시간으로 측정, 곧바로 신약개발에 응용할 수 있는 상업적 기술이라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이 기술은 결합을 확인하고자 하는 물질의 한 쪽에 자성체를 붙여 세포에 넣어준 뒤 자석을 갖다 대면 결합하는 다른 물질이 끌려온다는 원리를 세포에 적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 교수팀과 CGK 기술진은 물질에 형광물질을 붙이고 자석을 부착, 현미경으로 확인하는 방법을 이용했으며 병원에서 면역억제제로 사용하고 있는 약물에 실험한 결과 사람 세포 안에서 약물에 결합한다고 알려진 단백질이 선택적으로 자석에 딸려오는 현상을 실시간으로 확인했다.

김 교수는 "매직 기술은 생체 내에서 역할이 명확히 밝혀지지 않은 다양한 약물의 표적 분자를 쉽게 찾을 수 있을 뿐 아니라 사람 세포 내에서 계속 조절 변화되는 바이오프로그램을 실시간으로 모니터하고 유익하게 재프로그래밍도 할 수 있는 혁신적인 기술"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또 "신약개발이라는 망망대해에서 더 이상 그물을 치고 기다릴 필요가 없게 된 것"이라고 기술개발의 의미를 강조했다.

김 교수는 1998-2002년 미 하버드대 교수로 재직하면서 신약개발과 질병연구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새로운 핵심기술을 개발해 오다 모국에 실질적인 기여를 하기 위해 2003년 귀국, KAIST에 몸 담았다.

CGK의 정연철 대표는 "최근 발표된 어떤 기술보다 신약개발을 혁신적으로 앞당길 수 있어 상업화에 가장 근접한 기술"이라며 "이미 항암제를 포함한 두 종류의 신약 후보 물질을 찾아 내년까지는 동물실험을 마칠 계획이고 미국의 회사로부터 기술의 사업화를 위한 조인트벤처 설립을 제안받아 검토중"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조성민 기자 : 2005-7-1>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68 김대진 학생 (전상용 교수님 Lab) 생화학분자생물학회(KSBMB) Sanofi 신약 연구상 수상! 과사무실 2014.05.29 14950
367 생명과학과 신임교원 오병하 박사 부임 소개 (2009.9.1) 과사무실 2009.09.10 14927
» KAIST 김태국 교수 신약개발 사이언스지 발표 과사무실 2005.07.01 14903
365 임정훈 박사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 우수박사학위논문상 수상 과사무실 2004.09.09 14887
364 허원도 교수, Trang T. T. Nguyen박사 PNAS지에 논문 게재(2016.08) / Prof. Won Do Heo, PhD. Trang T. T. Nguyen publish an article in PNAS (2016.08) 생명과학과 2016.08.25 14858
363 [대덕넷] 노화억제 비밀 밝혀낸 김태국 교수...연구성과 집대성 '풀베팅' 과사무실 2006.06.12 14858
362 최길주 교수 美 광생물학회 학술지 부편집장으로 선임 과사무실 2003.09.22 14816
361 고병삼 학생 외 3명 Bioneer Award (2006) 수상 과사무실 2006.03.07 14772
360 조병관 교수, 세계경제포럼 Young Scientist 에 선정! 과사무실 2012.09.17 14770
359 생명과학과 출신 곽유상 박사 ... 美 대학교수 됐다 과사무실 2007.07.31 14766
358 [조선일보] 생명과학과 김정회교수팀...자일리톨 추출 신기술 개발 과사무실 2007.08.29 14750
357 송지준 교수, J.Am.Chem.Soc. 게재 (2013.10) 과사무실 2013.10.18 14718
356 [서울경제] 생물분야: KAIST 생물사업단 선정 과사무실 2004.12.09 14703
355 "당뇨병 합병증 치료단백질 개발!" - 고규영교수팀 과사무실 2006.03.14 14626
354 김선창 교수 송암학술상 수상 과사무실 2003.12.23 14603
353 서라민 박사과정 학생. 제 18차 KHUPO 프로테오믹스 국제학술대회 수상 file 생명과학과 2018.04.30 14592
352 최길주 교수, 김정현 박사과정 학생 The Plant Cell 게재(2016.06) / Prof. Giltsu Choi and Junghyun Kim, a Ph.D. candidate published a paper in The Plant Cell (2016.06) 생명과학과 2016.07.05 14516
351 "어, 해독제가 항생제로 바뀌네" - 김학성 교수팀 단백질 설계기술 개발 과사무실 2006.02.06 14440
350 김진우 교수, 김남석 박사 eLife지 논문 발표 (2014. 9) 과사무실 2014.09.11 14425
349 생명과학과 김정회 교수... 대전광역시 주최 이달의 과학기술인 상 선정 과사무실 2007.10.05 14414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3 Next
/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