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함춘동아의학상' 김태원 서울아산병원 종양내과 교수 
'함춘의학상' 손종우 카이스트 생명과학과 교수
'함춘젊은의학자상' 강지훈 서울대병원 순환기내과 교수

(왼쪽부터) 김태원 교수, 손종우 교수, 강지훈 교수. ⓒ의협신문
(왼쪽부터) 김태원 교수, 손종우 교수, 강지훈 교수. ⓒ의협신문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동창회는 최근 제25회 함춘학술상 수상자를 선정했다.

'함춘학술상'은 서울의대동창회가 동문교수들의 연구의욕을 고취시키기 위해 제정한 학술상으로 강신호 동아쏘시오그룹 명예회장이 후원하는 함춘동아의학상(연구비 3000만원)과 서울의대동창회 학술연구재단이 후원하는 함춘의학상 및 함춘젊은연구자상(각각 연구비 1000만원)으로 구분해 시상하고 있다.

영예의 '함춘동아의학상'에는 김태원 서울아산병원 종양내과 교수가 '흑색종에서 RAF 저해제 내성 발생에 ARAF 돌연변이의 역할'이라는 제목의 논문으로 새로운 항암제(RAF 저해제, 벨바라페닙)의 효과, 내성 기전 그리고 내성 극복 방안을 밝혀 수상자로 선정됐다.

수상자인 김태원 교수는 현재 서울아산병원 암병원장과 대한종양내과학회 이사장을 맡고 있으며, 이번 수상 논문은 지난해 세계 최고의 과학 잡지인 Nature에 게재돼 연구의 우수성을 인정받았다.

'함춘의학상'에는 손종우 카이스트 생명과학과 교수가 '소금 식욕 조절의 신경 기전 규명' 논문으로, '함춘젊은연구자상'에는 강지훈 서울대병원 순환기내과 교수가 '급성 관동맥 증후군 환자에게 약물방출 스텐트 삽입후 프라수그렐-기반 이중항혈소판제 감량 용법이 주요 심혈관 사건에 대한 무작위 배정 임상 연구' 논문을 통해 수상자로 선정됐다.

함춘학술상 시상식은 오는 3월 22일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열리는 서울의대동창회 정기총회에서 개최된다.

출처 : 의협신문(http://www.doctorsnews.co.kr)

 

  • 이정환 기자 leejh91@doctorsnews.co.kr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74 양한슬 교수님_ 서경배과학재단 2021년 신진과학자 선정 file 생명과학과 2021.08.31 1677
373 [이승희 교수님] 신경전달물질 소마토스타틴의 알츠하이머 독성 개선효과 발견​ 생명과학과 2022.07.25 1677
372 [조병관 교수님] 한국연구재단, 노화 방지하고 회춘하는 방법 제시 생명과학과 2022.01.13 1679
371 [정현정 교수님] 암세포만 골라 유전자 교정 치료하는 신약 개발​ 생명과학과 2024.04.08 1682
370 2021 Agrwal Award 시상식이 9월 9일(목) 오후 4시_이준혁 학생(정원석 교수) file 생명과학과 2021.09.06 1683
369 [김찬혁, 정원석 교수님] 심각한 염증 부작용 없앤 새로운 알츠하이머병 치료제 개발​ 생명과학과 2022.08.22 1688
368 서성배 교수님_동물의 식습관을 조절하는 원리 규명해 네이처 게재​ 생명과학과 2021.05.11 1698
367 [김재경 교수님] 포스코 사이언스 펠로십 선정​ 생명과학과 2023.10.18 1703
366 [김찬혁 교수님] 말기 고형암 표적 2세대 면역치료제 개발​ 생명과학과 2023.04.20 1720
365 [조원기 교수님] 세포 기능 결정에 핵심 역할 유전자 발현 단백질 찾았다 생명과학과 2021.12.24 1723
364 [정현정 교수님] 유전자 가위로 생체 내 정밀한 유전자 교정에 의한 면역 항암 치료​ 생명과학과 2022.01.18 1732
363 [김학성 교수님] 카이스트, 거대 단백질 구조체를 레고 블록 쌓듯 조립하는 기술 개발 생명과학과 2021.11.24 1733
362 [김대수 교수님] “뇌는 무언가 실패하는 순간 발달...‘메타인지’로 창의성 키워야” [이노베이트코리아 2022] 생명과학과 2022.07.18 1741
361 [김찬혁 교수님] 서울대병원, '꿈의 항암제' CAR-T 임상1상 본격 돌입 생명과학과 2022.02.04 1743
360 [김찬혁 교수님] 카이스트, 면역관문 신호 극복하는 차세대 CAR-T 세포 치료제 개발 생명과학과 2021.11.24 1769
359 김은준 교수님_시냅스 뇌질환 연구 김은준 IBS단장 “치료약 없는 자폐 연구 도전” 생명과학과 2021.08.23 1775
358 [김상규 교수님] 구글도 올라 탄 神으로 가는 길[과학을읽다] 생명과학과 2022.09.07 1782
357 전상용, 송지준 교수님_다양한 변이에도 면역 가능한 인플루엔자 백신 개발 생명과학과 2021.06.30 1794
356 오병하 교수님_자연에 없는 고감도 단백질 센서 제작 플랫폼 개발 생명과학과 2021.02.08 1798
355 [정원석 교수님] 카이스트, 노화된 뇌에서 생겨난 비정상적 별아교세포 ‘아프다(APDA)’발견 생명과학과 2022.08.08 1816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3 Next
/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