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치매를 근본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신물질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세계 최초로 개발됐다. 바이오벤처 기업 제넥셀㈜의 김재섭 박사 연구팀은 치매를 일으키는 유전자의 활동을 억제하는 4종의 화학물질을 발견했다고 3일 밝혔다. 특히 이 가운데 인체에 독성이 전혀 없는 3종은 현재 임상시험을 추진 중이라고 덧붙였다.

치매는 인체 내 특정 유전자가 Aβ(에이베타)라는 독성 단백질을 만들어 뇌세포를 죽이기 때문에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김 박사는 "이번에 발견한 신물질은 이 유전자의 움직임을 사전에 봉쇄하는 기능을 한다"며 "이 신물질이 상용화되면 치매 퇴치에 새 장을 열 것"이라고 말했다. 지금까지 전 세계적으로 나와 있는 치매 의약품은 기억력 상실 등 관련 증상의 진척을 늦춰 주는 완화제가 대부분이다. 연구팀은 이번에 발견한 물질들을 2일 미국에 특허 출원했으며 내년 초 임상시험에 들어갈 예정이다. 또 임상시험이 끝나는 대로 다국적 제약사와 손잡고 2009년께 이 신물질을 이용한 치매 치료제를 내놓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중앙일보 김필규 기자 / 2005-08-05 05:1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37 [서울경제] 생물분야: KAIST 생물사업단 선정 과사무실 2004.12.09 13978
336 [손종우 교수님] 서울의대동창회, 제25회 함춘학술상 수상자 선정 생명과학과 2022.03.08 416
335 [송지준 교수님] 헌팅턴병 발병원인 제거를 위한 치료제 개발 방법 제시​ 생명과학과 2022.09.02 381
334 [송지준 교수님] 호르몬 조절 원리와 구조 밝혀냈다 생명과학과 2022.05.06 721
333 [연합뉴스]신종 박테리아 5개중 1개꼴 한국과학자 발견...이성택교수 과사무실 2007.04.04 14983
332 [오병하 교수님] 뉴스의인물/ KAIST 생명과학과 오병하 교수 생명과학과 2022.03.21 678
331 [오병하 교수님] 오미크론에도 듣는 범용 항체, 국내에서 개발 생명과학과 2022.02.04 405
330 [이승재 교수님 연구실] 과기정통부, ‘2022년도 건강한 연구실’ 10개 선정 생명과학과 2022.12.12 487
329 [이승재 교수님] 건강한 장수를 유도하는 돌연변이 유전자 발굴 생명과학과 2021.11.24 408
328 [이승재 교수님] 국내 연구팀, 예쁜꼬마선충을 이용 새로운 항노화 단백질 찾아 생명과학과 2021.12.13 534
327 [이승재 교수님] 생체 노화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새로운 RNA 지표 발견​ 생명과학과 2022.12.08 436
326 [이승재 교수님] 생체 에너지 발전소 부산물로 병원균 감염 제어​ 생명과학과 2023.07.11 165
325 [이승희 교수님] 신경전달물질 소마토스타틴의 알츠하이머 독성 개선효과 발견​ 생명과학과 2022.07.25 375
324 [이주형 학부생] 포스텍SF 어워드에서 생명과학과 학부생 이주형, 단편 부문 가작 선정 생명과학과 2022.02.10 449
323 [임정훈 동문교수님] “초파리로 루게릭병 잡는다” 임정훈 분자생물학자 생명과학과 2022.04.04 693
322 [전상용 교수님] 탄수화물 나노입자로 염증성 장 질환 치료하다​ 생명과학과 2023.08.02 138
321 [전상용 교수님] 항암치료용 인공탄수화물 기반 나노의약 개발​ 생명과학과 2022.07.12 415
320 [전상용, 조병관 교수님] 나노입자로 염증부터 면역치료까지 가능 생명과학과 2023.06.21 276
319 [정원석 교수님] 아동 학대로 인한 정신질환 발병 원인 최초 규명​ 생명과학과 2023.08.01 148
318 [정원석 교수님] 제28회 삼성휴먼테크 논문대상에서 생명과학과 변유경 학생 은상 수상​ 생명과학과 2022.03.02 529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1 Next
/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