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94 |
[김윤기, 조원기 교수님] 비정상 단백질 처리에 관여하는 새로운 인자 발견
|
생명과학과 | 2023.10.12 | 1288 |
393 |
[김은준 교수님] 대규모 한국인 자폐증 가족 유전체 연구를 통한 새로운 자폐 유전변이 최초 발견
|
생명과학과 | 2022.07.19 | 1389 |
392 |
[김은준 교수님] 자폐 진단․ 치료 골든타임, 동물실험으로 확인
|
생명과학과 | 2022.09.27 | 1300 |
391 |
[김재경 교수님] 포스코 사이언스 펠로십 선정
|
생명과학과 | 2023.10.18 | 1704 |
390 |
[김진우 교수님, 민광욱 박사님] 왼쪽 눈이 본 것을 오른쪽 뇌가 알게 하라
|
생명과학과 | 2023.03.02 | 2231 |
389 |
[김진우 교수님] 새로운 세포핵 단백질의 이동 루트 발견
|
생명과학과 | 2023.02.28 | 1558 |
388 |
[김찬혁 교수님] 6월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수상
|
생명과학과 | 2023.06.08 | 1287 |
387 |
[김찬혁 교수님] 말기 고형암 표적 2세대 면역치료제 개발
|
생명과학과 | 2023.04.20 | 1722 |
386 |
[김찬혁 교수님] 서울대병원, '꿈의 항암제' CAR-T 임상1상 본격 돌입
|
생명과학과 | 2022.02.04 | 1745 |
385 |
[김찬혁 교수님] 카이스트, 면역관문 신호 극복하는 차세대 CAR-T 세포 치료제 개발
|
생명과학과 | 2021.11.24 | 1769 |
384 |
[김찬혁, 정원석 교수님] 심각한 염증 부작용 없앤 새로운 알츠하이머병 치료제 개발
|
생명과학과 | 2022.08.22 | 1690 |
383 |
[김학성 교수님, 김홍식 박사님] 암세포에만 약물 전달 가능한 클라트린 조립체 개발
|
생명과학과 | 2023.03.15 | 1379 |
382 |
[김학성 교수님] 알츠하이머 조기 진단하는 센서단백질 디자인하다
|
생명과학과 | 2023.12.08 | 1321 |
381 |
[김학성 교수님] 카이스트, 거대 단백질 구조체를 레고 블록 쌓듯 조립하는 기술 개발
|
생명과학과 | 2021.11.24 | 1734 |
380 |
[김학성 명예교수님] 2023 효소공학상(Enzyme Engineering Award) 수상
|
생명과학과 | 2023.08.24 | 1206 |
379 |
[김호민 교수님] 선천성면역을 조절하는 인공단백질 디자인, 차세대 백신·면역 치료제 개발 가능성 제시
|
생명과학과 | 2025.02.14 | 203 |
378 |
[대덕넷] 노화억제 비밀 밝혀낸 김태국 교수...연구성과 집대성 '풀베팅'
|
과사무실 | 2006.06.12 | 15157 |
377 |
[대덕넷] 생명과학과 정종경교수... 과기부 2분기 우수과학자 10인 선정
|
과사무실 | 2007.09.04 | 14641 |
376 |
[대덕넷] 임대식 교수 이달의 과기인상 수상
|
과사무실 | 2004.08.30 | 13970 |
375 |
[대덕넷] 임대식 교수"癌 억제하는 유전자 기능 밝혀졌다"
|
과사무실 | 2004.02.06 | 1446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