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한국과학자들, 지난해 107종 발견..2년 연속 세계 1위

지난해 전세계적으로 발표된 새 박테리아 가운데 5개 중 1개는 한국과학자들이 발견한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기술부는 지난해 영국의 세계적 미생물학술지 IJSEM(국제 미생물계통분류학회지)에 등록된 박테리아 신종 547건중에서 한국과학자들의 발표건수가 107종(논문 99편)으로, 전체의 19.6%를 차지해 2005년에 이어 2년 연속 세계 1위를 차지했다고 21일 밝혔다.

이로써 우리나라는 신규 박테리아 100종 이상을 발표한 최초의 국가라는 신기록도 수립, 미생물 다양성 분야에서 기술강국으로 떠올랐다.

우리나라 과학자들이 발견한 미생물은 '동해', '갯벌'등 우리 고유명사로 명명되고 있으며 특히 2005년 독도에서 발견된 미생물은 '독도'로 이름지어져 국제사회에서 통용되고 있다.

미생물은 고부가가치 의약용 단백질이나 생리활성 물질, 효소 등을 생산하는 균주로 활용되고, 전통적 발효산업에 사용되는 등 산업적 가치가 매우 높지만 아직까지 미생물의 99%가 발견되지 않은 채 자연계에 존재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특히 박테리아는 생명공학 분야에서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는 미생물로, 자연계에 많게는 수백만 종이 존재할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나 현재까지 발견된 종은 8천여 종에 불과한 실정이다.

우리나라는 2002년 전까지는 박테리아 신종 발표 건수에서 세계 10위권 밖이었으나 2003년 세계 4위에 이어 2004년 세계 2위로 올라섰으며 2005년에는 68종(전체의 13.8%)을 발표, 근소한 차이로 일본을 제치고 세계 1위로 부상했다.

우리나라는 지난해 일본(61종, 논문 43편)과는 약 2배의 격차를 벌렸으며 미국(56종, 논문 37편), 독일(55종, 논문 37편), 중국(45종, 논문 33편) 등을 크게 앞섰다.

특히 과기부 미생물유전체활용기술개발사업단은 지난해 우리나라가 발표한 신종 박테리아 107건 중의 9.5%인 52종을 발표, 신종 박테리아 발견분야에서 우리나라가 세계 1위에 올라서는 데 결정적으로 기여했다.

연구기관별로는 한국생명공학연구원(원장 이상기)이 32종을 발표, 3년 연속 세계 1위를 차지했으며 한국농업미생물자원센터(18종), 한국과학기술원(16종), 서울대(14종)가 각각 세계 3∼5위에 랭크돼 세계 5위권에 한국기관이 4개나 포함됐다. 제주대(11종)도 공동 8위에 올랐다.

개별 연구자 순위에서는 윤정훈 박사(한국생명공학연구원)가 21종을 발표해 3년 연속 세계 1위를 차지했고 한국농업미생물자원센터 권순우 박사가 17종을 발표해 세계 2위로 뒤를 이었다.

이외에도 제주대 이순동 교수(세계 6위, 11종), 한국과학기술원 이성택 교수(세계 공동 7위, 10종),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김창진 박사(세계 10위, 9종)가 10위권에 이름을 올리는 등 한국 과학자들이 우수한 실적을 올렸다.

미생물유전체활용기술개발사업단 오태광 단장은 "최근 미생물 다양성 확보 분야에서 우리나라의 위상이 높아짐에 따라 외국에서 공동연구 제안이나 미생물 제공 요청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면서 "확보된 다양한 미생물 소재를 이용해 정밀화학 소재(효소, 기능성 미생물 등) 및 의약소재(항생물질, 재조합 의약품) 등을 발굴한다면 국내 미생물 산업을 선진국 수준으로 끌어 올릴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정내 기자 jnlee@yna.co.kr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05 [한용만, 허원도 교수님] 광유전학적으로 인슐린 분비 조절성공…인간 전분화능 줄기세포 유래 췌도 오가노이드 개발 생명과학과 2023.03.24 2683
404 [김학성 교수님, 김홍식 박사님] 암세포에만 약물 전달 가능한 클라트린 조립체 개발​ 생명과학과 2023.03.15 1988
403 [김진우 교수님, 민광욱 박사님] 왼쪽 눈이 본 것을 오른쪽 뇌가 알게 하라​ 생명과학과 2023.03.02 3607
402 [김진우 교수님] 새로운 세포핵 단백질의 이동 루트 발견​ 생명과학과 2023.02.28 2425
401 [강창원, 서연수 교수님, 팔린다 박사님] 논문 Nucleic Acids Research 게재 생명과학과 2023.02.17 1821
400 [조병관 교수님 연구실] 2022년 안전관리 우수연구실 선정 file 생명과학과 2023.01.27 1951
399 [이승재 교수님 연구실] 과기정통부, ‘2022년도 건강한 연구실’ 10개 선정 생명과학과 2022.12.12 2182
398 [이승재 교수님] 생체 노화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새로운 RNA 지표 발견​ 생명과학과 2022.12.08 2674
397 [김보람 박사님(서성배 교수님 연구실)] 한국뇌연구원 제2회 다한우수논문상 선정 생명과학과 2022.12.07 2281
396 [김보람 박사님(서성배 교수님 연구실)] 2022년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 선정 file 생명과학과 2022.11.09 2004
395 [서연수 교수님] ㈜엔지노믹스, 생명과학과에 발전기금 24억 기부​ 생명과학과 2022.10.14 2168
394 [김세윤, 양한슬 교수님] 장 조직의 항상성과 염증성 장염 회복의 핵심 효소 발견​ 생명과학과 2022.10.07 2024
393 [정인경 교수님] 기저 질환이 없는 코로나19 환자의 중증 신규 유전적 위험 인자 규명 생명과학과 2022.09.29 2053
392 [김은준 교수님] 자폐 진단․ 치료 골든타임, 동물실험으로 확인 생명과학과 2022.09.27 1966
391 [김상규 교수님] 구글도 올라 탄 神으로 가는 길[과학을읽다] 생명과학과 2022.09.07 2690
390 [송지준 교수님] 헌팅턴병 발병원인 제거를 위한 치료제 개발 방법 제시​ 생명과학과 2022.09.02 2639
389 [김찬혁, 정원석 교수님] 심각한 염증 부작용 없앤 새로운 알츠하이머병 치료제 개발​ 생명과학과 2022.08.22 2288
388 [김세윤, 정원석, 손종우 교수님] 인공지능 기반 약물 가상 스크리닝 기술로 신규 항암 치료제 발굴 성공 생명과학과 2022.08.12 2045
387 [김대수 교수님] 액트노바, 카카오벤처스로부터 5억 규모 시드 투자 유치 "육안으로 진행되던 임상·비임상 분야 행동 실험 과정, 인공지능 영상처리 기술로 자동화" 생명과학과 2022.08.10 2057
386 [정원석 교수님] 카이스트, 노화된 뇌에서 생겨난 비정상적 별아교세포 ‘아프다(APDA)’발견 생명과학과 2022.08.08 2710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4 Next
/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