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카이스트 연구팀, 호르몬 조절 메커니즘 규명

[아이뉴스24 정종오 기자] 뇌기능을 높이는 물질에 대한 개발에 속도가 붙었다. 국내 연구팀이 초저온 전자현미경을 활용해 호르몬 조절 물질인 소마토스타틴이 그 수용체 소마토스타틴 리셉터2 복합체를 통해 호르몬 분비를 억제하는 3차원 원자구조를 규명했다. 호르몬 조절 메커니즘을 밝혀낸 셈이다.

이를 응용하면 호르몬 분비 이상에서 발생하는 말단비대증, 신경 뇌분비 종양, 뇌 기능 관련 신약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카이스트(KAIST, 총장 이광형)는 생명과학과 송지준 교수 연구팀이 초저온 전자 현미경(cryo-Electron Microscopy)을 이용해 호르몬 조절 물질인 소마토스타틴(somatostatin)과 그 수용체인 소마토스타틴 리셉터 2(Somatostatin Receptor 2, SSTR2) 복합체의 3차원 원자 해상도 구조를 규명했다고 6일 발표했다.

성장호르몬 억제 호르몬인 소마토스타틴(SST-14)과 그 수용체(SSTR2) 복합체의 초저온 전자현미경 구조. [사진=카이스트]

 

소마토스타틴은 성장호르몬의 분비를 억제하는 작용이 있는 호르몬이다. 내장과 뇌에 관련된 호르몬이며 호르몬 분비 조절, 세포의 증식, 뇌 신경 물질 전달에 관한 작용을 한다.

 

송 교수 연구팀은 연세대 이원태 교수 연구팀, 피씨지-바이오텍 연구팀과 공동연구를 통해 이번 결과를 이끌어 냈다.

SSTR2은 세포막에 존재하는 막 단백질이다. 세포 밖의 소마토스타틴을 신호로 인식해 세포 내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최근 KAIST 생명과학과 이승희 교수 연구팀에서도 소마토스타틴이 인지기능 향상에 이바지한다는 것을 규명한 바 있다.

소마토스타틴의 생체 내 기능과 질병에 끼치는 역할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소마토스타틴이 세포막에 존재하는 수용체와 결합하는 자세한 메커니즘에 대해서는 알려지지 않았다. 신약 개발에 필수적 역할을 하는, 3차원 원자구조는 파악할 수 없었다.

송지준 교수 연구팀은 소마토스타틴이 수용체인 SSTR2와 결합하는 원리를 규명하기 위해 초저온 전자현미경을 이용했다. 소마토스타틴이 결합된 SSTR2 복합체의 원자 3차원 구조를 규명했다. 연구팀은 소마토스타틴과 수용체가 결합한 3차원 구조를 바탕으로 소마토스타틴과 결합하는데 중요한 아미노산들을 발견하고 이들의 기능성을 세포 내에서 확인했다.

연구팀은 더 나아가 인공지능을 이용한 구조예측 프로그램인 알파폴드(AlphaFold)를 이용해 소마토스타틴 수용체의 이성질 형태(같은 분자식을 갖는 화합물이지만 분자 구조가 다른 형태)인 SSTR1, SSTR3, SSTR4, SSTR5의 구조를 예측해 이성질 형태 각각의 소마토스타틴 결합 메커니즘을 밝혀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소마토스타틴 수용체의 작용 메커니즘을 이용해 말단비대증, 신경뇌분비 종양의 제어와 뇌기능을 향상할 수 있는 물질 개발에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KAIST 생명과학과 윤어진 박사과정이 공동 제1 저자로 참여한 이번 연구(논문명 : Cryo-EM structure of the human somatostatin receptor 2 complex with its agonist somatostatin delineates the ligand binding specificity)는 국제 학술지 `이라이프(eLife)' 4월 22일자에 실렸다.

 

세종=정종오 기자(ikokid@inews24.com)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80 [조병관 교수님] 이산화탄소 흡수해 아세트산 만드는 '친환경 미생물' 5종 발견 생명과학과 2022.06.17 3202
379 [김세윤, 이대엽 교수님] "후성유전 조절하는 핵심 분자기전 찾았다" 생명과학과 2022.06.02 1154
378 [김상규 교수님] 꽃향기, 이젠 눈으로 보세요!​ 생명과학과 2022.05.10 1098
» [송지준 교수님] 호르몬 조절 원리와 구조 밝혀냈다 생명과학과 2022.05.06 1244
376 [루닛 서범석 대표] 바이오업계 유니콘 기대 루닛, 서범석 '치료 예측 AI' 고도화 박차 생명과학과 2022.04.27 790
375 [김대수 교수님] 네이버 열린연단 '자유와 이성' 주제로 시즌9 강연 시작 생명과학과 2022.04.22 790
374 [조병관 교수님] 카이스트 조병관 교수팀, 합성생물학 기반 차세대 미생물 대사 조절 밸브 개발 생명과학과 2022.04.15 1220
373 [임정훈 동문교수님] “초파리로 루게릭병 잡는다” 임정훈 분자생물학자 생명과학과 2022.04.04 1297
372 [강창원, 서연수 교수님] RNA 합성의 세 갈래 끝내기 제시​ 생명과학과 2022.03.31 838
371 [김대수 교수님] 제약바이오협회, ‘KPBMA-MIT 생명과학 컨퍼런스’ 개최 생명과학과 2022.03.28 2904
370 [오병하 교수님] 뉴스의인물/ KAIST 생명과학과 오병하 교수 생명과학과 2022.03.21 1250
369 충북도, 글로벌 바이오 캠퍼스 유치에 KAIST와 '맞손' 생명과학과 2022.03.15 761
368 [메디포럼 정재언 대표] 메디포럼, 정재언 연구소장 신임 대표이사 선임…“임상 R&D 중심 경영 집중” 생명과학과 2022.03.14 768
367 [손종우 교수님] 서울의대동창회, 제25회 함춘학술상 수상자 선정 생명과학과 2022.03.08 829
366 [서성배 교수님] 육감 센서 찾는 서성배 카이스트 생명과학부 교수 생명과학과 2022.03.03 1784
365 [정원석 교수님] 제28회 삼성휴먼테크 논문대상에서 생명과학과 변유경 학생 은상 수상​ 생명과학과 2022.03.02 1021
364 [최길주, 김상규 교수님] 카오스재단 2022 봄 카오스강연 ‘식물행성 (Plant Planet)’ 에서 강연(4/6) 생명과학과 2022.02.22 950
363 [김대수 교수님] '유퀴즈' 뇌과학자 김대수, 깻잎 논쟁 "절대로 해선 안 되는 행동" 생명과학과 2022.02.17 1490
362 [허원도, 윤기준 교수님] 제51주년 개교기념식 개교기념 우수교원 포상 및 특별포상에서 학술상, 우수강의상 수상 생명과학과 2022.02.16 1003
361 [김상규 교수님] 단일세포 RNA 시퀀싱을 통한 꽃향기 합성 유전자 발굴​ 생명과학과 2022.02.15 888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2 Next
/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