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http://www.kosef.re.kr/news/view.php?code=news_0105&no=2133http://www.kosef.re.kr/news/view.php?code=news_0105&no=2133- 유전적 요인의 파킨슨병 발병 원인 규명 -

□ 과학기술부(부총리 겸 장관 金雨植)와 한국과학재단(이사장 權五甲)은 유전적 요인의 파킨슨병 발병 원인을 세계 최초로 규명한 공로로 한국과학기술원 정종경(鄭鍾卿, 43세) 교수를 이달의 과학기술자상 12월 수상자로 선정하였다.

□ 정 교수는 과학기술부와 한국과학재단이 지원하는 창의적연구진흥사업(세포성장조절유전체연구단)의 연구 책임자로서 지난 수년간 파킨슨병을 비롯한 다양한 유전적 질병의 발병 원인을 규명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 파킨슨병은 치매에 이어 두 번째로 빈번하게 발생하는 퇴행성 뇌 질환으로, 노인 100명당 1명꼴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인구의 고령화와 함께 환자수도 크게 증가하고 있으나, 현재까지 정확한 발병원인이 밝혀지지 않아 효과적인 치료제와 진단시약의 개발이 미흡한 상황이다.

○ 정 교수는 우리나라만이 가지고 있는 초파리 질병라이브러리를 이용하여, 유전적인 요인으로 발생하는 파킨슨병의 원인을 개체 수준에서 세계 최초로 규명하여 지난 5월 그 결과를 최고 권위의 네이처지에 게재하였다. 이번 연구 성과는 셀, 뉴트론 등 최고 권위의 과학 학술지들에서도 특별 해설 자료를 게재하는 등 국제학계의 많은 주목을 받았다.

○ 정 교수는 이번 연구 성과 외에도 지난 수년간 파킨슨병 관련 연구를 꾸준히 수행하여, 미국국립학술학회지(PNAS, 2005년)에 논문을 게재하는 등 관련 분야를 선도하는 과학자로 인정받고 있다.

□ 정 교수의 연구 성과는 파킨슨병 치료제 개발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한 기념비적인 업적으로 평가받고 있으며, 이번 연구결과를 계기로 국내외에서 파킨슨병 치료제 개발을 위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49 [대덕넷] 생명과학과 정종경교수... 과기부 2분기 우수과학자 10인 선정 과사무실 2007.09.04 13584
348 [대덕넷] 임대식 교수 이달의 과기인상 수상 과사무실 2004.08.30 12894
347 [대덕넷] 임대식 교수"癌 억제하는 유전자 기능 밝혀졌다" 과사무실 2004.02.06 13446
346 [대덕넷] 제넥셀, 日 신약개발업체서 외자유치 과사무실 2005.03.31 10837
345 [동아일보] 김은준 교수 젊은 과학자상 수상 과사무실 2004.12.27 11846
344 [동아일보] 노화억제 신약후보물질 개발…김태국 교수팀 과사무실 2006.06.12 11236
343 [동아일보] 뇌 신호전달 작동물질 첫 발견-김은준교수팀 과사무실 2006.04.20 11945
342 [동아일보] 위암 당뇨 ‘맞춤 치료’ 길 열린다…SNP 지도 첫 완성 과사무실 2006.12.14 13265
341 [동아일보] 한국 과학에 세계가 또 놀라다 -정종경교수팀 과사무실 2006.05.04 14478
340 [동아일보] 혈관형성 촉진제 이용 만성 신장질환 고쳐요-고규영교수 과사무실 2006.08.03 11486
339 [루닛 서범석 대표] 바이오업계 유니콘 기대 루닛, 서범석 '치료 예측 AI' 고도화 박차 생명과학과 2022.04.27 324
338 [매일경제] 고규영 교수 "혈관생성물질 세계 첫 개발" 과사무실 2004.04.14 13368
337 [매일경제] 관절염 맞춤치료 길 열린다 - 강창원 교수·한양대 의대 배상철교수 공동연구팀 과사무실 2005.03.30 11813
336 [매일경제] 김은준 교수"퍼즐놀이하듯 신경세포 연구" 과사무실 2003.09.23 14212
335 [매일경제] 김학성 오은규 연구팀 나노입자 특성 이용해 단백질 상호작용 분석 과사무실 2005.03.21 10820
334 [메디포럼 정재언 대표] 메디포럼, 정재언 연구소장 신임 대표이사 선임…“임상 R&D 중심 경영 집중” 생명과학과 2022.03.14 251
333 [서성배 교수님] 육감 센서 찾는 서성배 카이스트 생명과학부 교수 생명과학과 2022.03.03 759
332 [서연수 교수님] ㈜엔지노믹스, 생명과학과에 발전기금 24억 기부​ 생명과학과 2022.10.14 373
331 [서울경제] 생물분야: KAIST 생물사업단 선정 과사무실 2004.12.09 13907
330 [손종우 교수님] 서울의대동창회, 제25회 함춘학술상 수상자 선정 생명과학과 2022.03.08 342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1 Next
/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