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오미크론 변이 코로나 바이러스(노란색)의 전자현미경 사진./호주 멜버른대 도허티 연구소
 
오미크론 변이 코로나 바이러스(노란색)의 전자현미경 사진./호주 멜버른대 도허티 연구소

오미크론을 포함해 모든 변이 코로나 바이러스에 듣는 항체가 국내에서 개발됐다. 앞으로 새로운 변이에 대항할 범용 항체로 개발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오병하 한국과학기술원(KAIST·카이스트) 생명과학과 교수 연구진은 “오미크론을 포함해 현재 유행 중인 모든 코로나19 변종 바이러스에 뛰어난 효과를 나타내는 중화(中和)항체를 개발했다”고 4일 밝혔다. 연구 결과는 항체 전문 학술지인 ‘단클론항체(mAbs)’에 실렸다.

코로나 바이러스는 표면의 스파이크 단백질을 인간 세포막에 붙어있는 ACE2 수용체에 결합시켜 세포 안으로 침입한다. 면역단백질인 중화항체는 스파이크의 수용체 결합 부위에 붙어 세포 침입을 막는다. 하지만 변이 코로나 바이러스는 수용체 결합부위에 돌연변이가 나타나 항체들이 결합하지 못하고 중화 효과가 없거나 떨어졌다.

연구진은 코로나 바이러스에서 돌연변이가 생기지 않는 부분에 강력하게 결합하는 항체를 컴퓨터로 설계했다. 이 설계도대로 햄스터 난소세포에서 항체를 생산했다. 이렇게 개발한 항체는 원숭이 신장세포로 진행한 실험에서 오미크론을 포함해 모든 변이 바이러스뿐만 아니라 이전에 사스(SARS·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를 유발한 코로나 바이러스(SARS-CoV-1)와 천산갑에 감염되는 코로나 바이러스에도 효과를 보였다.

연구진은 이번 항체가 장차 새로운 코로나 바이러스에도 대응할 수 있는 범용 항체 치료제 후보가 될 수 있다고 기대했다. 오병하 교수는 “이번에 개발한 항체는 (단백질 성분인)아미노산 서열이 거의 바뀌지 않는 표면에 결합하기 때문에 향후 출현할 수 있는 신·변종 코로나바이러스에 즉각 대응할 수 있는 치료 물질이 될 수 있다는데 큰 의의가 있다ˮ라고 밝혔다.

이번 논문의 제1저자는 카이스트 생명과학과의 정보성 박사과정 연구원이며, 연세대 조현수 교수와 한국화학연구소 김균도 박사 연구팀도 연구에 참여했다.

https://www.chosun.com/economy/science/2022/02/04/26OM56NEPJG5HNNJE7QC2RJGZE/?utm_source=naver&utm_medium=referral&utm_campaign=naver-news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92 [김대수 교수님] 액트노바, 카카오벤처스로부터 5억 규모 시드 투자 유치 "육안으로 진행되던 임상·비임상 분야 행동 실험 과정, 인공지능 영상처리 기술로 자동화" 생명과학과 2022.08.10 470
391 [김대수 교수님] 제약바이오협회, ‘KPBMA-MIT 생명과학 컨퍼런스’ 개최 생명과학과 2022.03.28 619
390 [김보람 박사님(서성배 교수님 연구실)] 2022년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 선정 file 생명과학과 2022.11.09 546
389 [김보람 박사님(서성배 교수님 연구실)] 한국뇌연구원 제2회 다한우수논문상 선정 생명과학과 2022.12.07 412
388 [김상규 교수님] 구글도 올라 탄 神으로 가는 길[과학을읽다] 생명과학과 2022.09.07 624
387 [김상규 교수님] 꽃향기, 이젠 눈으로 보세요!​ 생명과학과 2022.05.10 713
386 [김상규 교수님] 단일세포 RNA 시퀀싱을 통한 꽃향기 합성 유전자 발굴​ 생명과학과 2022.02.15 505
385 [김상규 교수님] 생명과학과의 낭만과학자 Eco Lab 대표 김사부(KAIST 유튜브) 생명과학과 2023.12.12 285
384 [김상규 교수님] 식물 유전자 비밀 푸는 김상규 카이스트 교수 생명과학과 2021.11.24 617
383 [김세윤, 양한슬 교수님] 장 조직의 항상성과 염증성 장염 회복의 핵심 효소 발견​ 생명과학과 2022.10.07 499
382 [김세윤, 이대엽 교수님] "후성유전 조절하는 핵심 분자기전 찾았다" 생명과학과 2022.06.02 803
381 [김세윤, 정원석, 손종우 교수님] 인공지능 기반 약물 가상 스크리닝 기술로 신규 항암 치료제 발굴 성공 생명과학과 2022.08.12 525
380 [김윤기 교수님] 새로운 단백질 번역기전 규명 file 생명과학과 2023.10.12 459
379 [김윤기 교수님] 저용량 고효율 RNA백신 개발 가능해지다​ 생명과학과 2023.10.24 288
378 [김윤기, 조원기 교수님] 비정상 단백질 처리에 관여하는 새로운 인자 발견 생명과학과 2023.10.12 261
377 [김은준 교수님] 대규모 한국인 자폐증 가족 유전체 연구를 통한 새로운 자폐 유전변이 최초 발견​ 생명과학과 2022.07.19 407
376 [김은준 교수님] 자폐 진단․ 치료 골든타임, 동물실험으로 확인 생명과학과 2022.09.27 387
375 [김재경 교수님] 포스코 사이언스 펠로십 선정​ 생명과학과 2023.10.18 293
374 [김진우 교수님, 민광욱 박사님] 왼쪽 눈이 본 것을 오른쪽 뇌가 알게 하라​ 생명과학과 2023.03.02 491
373 [김진우 교수님] 새로운 세포핵 단백질의 이동 루트 발견​ 생명과학과 2023.02.28 381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2 Next
/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