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associate_pic

[대구=뉴시스] 나호용 기자 = 한국뇌연구원은 제2회 다한우수논문상 수상자로 김보람 한국과학기술원(KAIST) 생명과학연구소 박사후연수연구원을 선정했다고 7일 밝혔다.

김보람 박사는 세계 최고 권위를 자랑하는 학술지 네이처(Nature)에 2021년 5월 5일 출판된  ‘Response of the microbiome-gut-brain axis in Drosophila to amino acid deficit’논문의 제 1저자이다.

시상식은 오는 12일 한국뇌연구원 우뇌동 개원 기념 심포지엄에서 열린다.

다한우수논문상은 한국뇌연구원 서판길 원장이 2020년 대한민국 최고과학기술인상 수상후 받은 상금 3억원을 한국뇌연구원에 기탁하면서 제정됐다. 2021년부터 매년 국내 과학자들이 발표한 뇌연구분야 우수논문을 발굴해 시상하고 상금 1000만원을 수여하고 있다.

김 박사는 동물 체내에서 필수아미노산의 결핍에 따른 인지 및 섭식행동에 장내세균-장-뇌의 상호작용이 작용한다는 것을 분자적 수준에서 처음으로 규명했다. 장내미생물과 동물의 식습관이 장-뇌 축을 통해 조절된다면, 미생물 섭취라는 방법을 통해 만성 질병 개선을 기대해 볼 수 있다.

다한우수논문상은 국내 뇌과학분야 우수 논문을 선정하고, 해당 논문 작성에 주체적 역할을 한 주니어급 연구자를 격려, 대한민국 뇌연구 발전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국내 뇌연구 기관의 주도로 진행된 연구 논문의 대한민국 국적 제1저자를 수상 대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한국뇌연구원은 국내 뇌연구 분야 석학으로 구성된 포상심의위원회를 통해 수상자를 선정하고 있다.

올해는 IBS 시냅스뇌질환연구단 김은준 단장, 아주대 의대 서해영 교수, 포스텍 생명과학과 박상기 교수, 연세대 의대 김철훈 교수 등이 심의위원으로 참여했다.

2021년 제1회 다한우수논문상은 이준혁 한국과학기술원(KAIST) 박사과정 학생(현 하버드대 박사후연수연구원)과 김지영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연구원(현 한국뇌연구원 박사후연수연구원)이 네이처에 게재한 ‘Astrocytes phagocytose adult hippocampal synapses for circuit homeostasis’로 수상했다.

한국뇌연구원 서판길 원장은 “다한은 순우리말로 ‘최선을 다한다’라는 의미로, 다한우수논문상을 통해 국내 뇌연구 역량 강화와 후배연구자들의 창의적 연구성과 창출을 기대한다”고 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2 [한용만, 허원도 교수님] 광유전학적으로 인슐린 분비 조절성공…인간 전분화능 줄기세포 유래 췌도 오가노이드 개발 생명과학과 2023.03.24 2110
81 [허원도 교수님] 빛으로 뇌 기능, 행동, 감정을 자유롭게 조절한다​ 생명과학과 2021.12.03 2103
80 [이승희 교수님] 신경전달물질 소마토스타틴의 알츠하이머 독성 개선효과 발견​ 생명과학과 2022.07.25 2082
79 [오병하 교수님] 오미크론에도 듣는 범용 항체, 국내에서 개발 생명과학과 2022.02.04 2082
78 [김상규 교수님] 단일세포 RNA 시퀀싱을 통한 꽃향기 합성 유전자 발굴​ 생명과학과 2022.02.15 2077
77 [허원도, 윤기준 교수님] 제51주년 개교기념식 개교기념 우수교원 포상 및 특별포상에서 학술상, 우수강의상 수상 생명과학과 2022.02.16 2069
76 [이승재 교수님] 국내 연구팀, 예쁜꼬마선충을 이용 새로운 항노화 단백질 찾아 생명과학과 2021.12.13 2069
75 [이주형 학부생] 포스텍SF 어워드에서 생명과학과 학부생 이주형, 단편 부문 가작 선정 생명과학과 2022.02.10 2047
74 [김찬혁, 정원석 교수님] 심각한 염증 부작용 없앤 새로운 알츠하이머병 치료제 개발​ 생명과학과 2022.08.22 2034
73 [강석조 교수님] 이행 호염구, 알레르기 매개 세포에 대한 새로운 이해 생명과학과 2023.11.08 2013
72 [허원도 교수님] RNA 유전자 가위 기술로 코로나바이러스 싹둑 생명과학과 2023.05.04 2010
71 [김진우 교수님] 새로운 세포핵 단백질의 이동 루트 발견​ 생명과학과 2023.02.28 2007
» [김보람 박사님(서성배 교수님 연구실)] 한국뇌연구원 제2회 다한우수논문상 선정 생명과학과 2022.12.07 1994
69 [최길주, 김상규 교수님] 카오스재단 2022 봄 카오스강연 ‘식물행성 (Plant Planet)’ 에서 강연(4/6) 생명과학과 2022.02.22 1963
68 [루닛 서범석 대표] 바이오업계 유니콘 기대 루닛, 서범석 '치료 예측 AI' 고도화 박차 생명과학과 2022.04.27 1949
67 [메디포럼 정재언 대표] 메디포럼, 정재언 연구소장 신임 대표이사 선임…“임상 R&D 중심 경영 집중” 생명과학과 2022.03.14 1937
66 [강창원, 서연수 교수님] RNA 합성의 세 갈래 끝내기 제시​ 생명과학과 2022.03.31 1930
65 [전상용 교수님] 항암치료용 인공탄수화물 기반 나노의약 개발​ 생명과학과 2022.07.12 1924
64 [이승재 교수님 연구실] 과기정통부, ‘2022년도 건강한 연구실’ 10개 선정 생명과학과 2022.12.12 1920
63 [손종우 교수님] 서울의대동창회, 제25회 함춘학술상 수상자 선정 생명과학과 2022.03.08 1904
Board Pagination Prev 1 ...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Next
/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