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http://www.donga.com/fbin/output?n=200612140088#http://www.donga.com/fbin/output?n=200612140088#한국인의 유전적 차이를 보여 주는 유전자(DNA)변이 지도가 국내에서 처음으로 완성됐다.

과학기술부는 한국인 90명의 DNA에서 2만5000개의 ‘단일염기다형성(SNP)’을 찾아내 12월 안에 국제 SNP 등록기관인 ‘dbSNP’웹 사이트에 공개할 계획이라고 13일 밝혔다.

그동안 국내 연구자들에게 한국인의 일부 유전정보가 제공된 적은 있지만 대규모로 해외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공개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SNP란 피부와 머리카락 색깔, 체질, 질병, 감수성 등 개인과 인종의 유전적 특성을 나타나게 하는 부분으로 DNA의 0.1%에 해당된다.

한솥밥을 먹는 가족이라도 눈과 코, 입의 모양이 제각각 다른 것도 이 차이 때문이다.

SNP의 기능을 밝히면 유전적 차이로 생긴 질병을 맞춤형으로 치료할 수 있는 길이 열린다.

해외에서는 2002년부터 해외 6개국에서 200명의 과학자로 구성된 유전자연구 컨소시엄에서 사람마다 차이가 있는 특정 유전자의 상세한 지도를 만들어 왔다.

이 유전자지도는 SNP의 집합체인 ‘일배체형(haplotype)’에서 따와 ‘햅맵(Hap Map)’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지금까지 햅맵에는 나이지리아와 미국에서 각 90명, 중국 45명, 일본 44명 등 269명으로부터 뽑아낸 330만 개의 SNP 정보가 등록돼 있다.

과기부는 이번에 등록되는 2만5000개 외에 내년 4월에 101만 개를 추가 등록하는 등 2008년 4월까지 총 200만 개의 한국인 SNP지도를 완성할 계획이다.

과학자들은 이 지도를 토대로 질병과 관련된 유전자들을 찾아내 질병 진단과 예측, 치료법 등을 개발할 수 있게 된다.


연구를 주도한 한국과학기술원 생명과학과 강창원(사진) 교수는 “이번 유전자지도 작성은 위암, 당뇨 등 한국인이 쉽게 걸리는 병의 원인을 찾는 것은 물론 인종 간 비교분석 연구에도 활용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는 한국인 고유의 질환과 약물 반응에 관여하는 유전자를 밝히는 ‘한국인 일배체형 정보사업’ 가운데 하나로 이뤄졌다.


박근태 동아사이언스 기자 kunta@donga.com


관련이미지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6 2021 대성해강미생물포럼_좌장 조병관 교수, 연사 김대수 교수_21.09.28(화) 13:00~ file 생명과학과 2021.09.13 1766
75 [김진우 교수님] 새로운 세포핵 단백질의 이동 루트 발견​ 생명과학과 2023.02.28 1759
74 [허원도, 윤기준 교수님] 제51주년 개교기념식 개교기념 우수교원 포상 및 특별포상에서 학술상, 우수강의상 수상 생명과학과 2022.02.16 1756
73 [한용만, 허원도 교수님] 광유전학적으로 인슐린 분비 조절성공…인간 전분화능 줄기세포 유래 췌도 오가노이드 개발 생명과학과 2023.03.24 1748
72 [김상규 교수님] 단일세포 RNA 시퀀싱을 통한 꽃향기 합성 유전자 발굴​ 생명과학과 2022.02.15 1734
71 [오병하 교수님] 오미크론에도 듣는 범용 항체, 국내에서 개발 생명과학과 2022.02.04 1716
70 [강석조 교수님] 이행 호염구, 알레르기 매개 세포에 대한 새로운 이해 생명과학과 2023.11.08 1714
69 [한진희 교수님] 카이스트, 뉴런(신경 세포) 교체에 의한 기억저장 규명 생명과학과 2021.11.24 1710
68 [이주형 학부생] 포스텍SF 어워드에서 생명과학과 학부생 이주형, 단편 부문 가작 선정 생명과학과 2022.02.10 1703
67 [이승재 교수님 연구실] 과기정통부, ‘2022년도 건강한 연구실’ 10개 선정 생명과학과 2022.12.12 1678
66 [허원도 교수님] 빛으로 뇌 기능, 행동, 감정을 자유롭게 조절한다​ 생명과학과 2021.12.03 1678
65 [최길주, 김상규 교수님] 카오스재단 2022 봄 카오스강연 ‘식물행성 (Plant Planet)’ 에서 강연(4/6) 생명과학과 2022.02.22 1676
64 [허원도 교수님] RNA 유전자 가위 정밀제어기술로 유전자 치료 성큼​ 생명과학과 2024.02.14 1670
63 [허원도 교수님] RNA 유전자 가위 기술로 코로나바이러스 싹둑 생명과학과 2023.05.04 1665
62 [김보람 박사님(서성배 교수님 연구실)] 한국뇌연구원 제2회 다한우수논문상 선정 생명과학과 2022.12.07 1662
61 [전상용 교수님] 항암치료용 인공탄수화물 기반 나노의약 개발​ 생명과학과 2022.07.12 1643
60 [메디포럼 정재언 대표] 메디포럼, 정재언 연구소장 신임 대표이사 선임…“임상 R&D 중심 경영 집중” 생명과학과 2022.03.14 1631
59 [조병관 교수님] 대량의 고농도 일산화탄소를 고부가가치 바이오케미칼로 전환하는 기술 개발 생명과학과 2022.07.15 1603
58 [강창원, 서연수 교수님] RNA 합성의 세 갈래 끝내기 제시​ 생명과학과 2022.03.31 1596
57 [루닛 서범석 대표] 바이오업계 유니콘 기대 루닛, 서범석 '치료 예측 AI' 고도화 박차 생명과학과 2022.04.27 1585
Board Pagination Prev 1 ...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Next
/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