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0609180810161&code=100100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0609180810161&code=100100뇌에서 시냅스 생성촉진 새 단백질 발견


국내 연구진이 사람의 뇌에서 시냅스 생성을 촉진하는 새로운 단백질을 발견했다. 이 단백질은 뉴로리긴(neuroligin)에 이어 세계에서 2번째로 발견된 시냅스 가교 단백질이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 생명과학과 김은준 교수팀은 ‘엔지엘(NGL)’이라는 단백질이 흥분성 시냅스의 생성에 관여한다는 새로운 사실을 발견했다고 17일 밝혔다.

시냅스 가교 단백질을 찾아낸 것은 1996년 발견된 뉴로리긴에 이어 2번째로 향후 시냅스 생성 원리와 다양한 뇌질환 발병 원인을 추정할 수 있게 됐다.

영국 과학잡지 네이처는 이러한 의미를 인정해 ‘네이처 뉴로사이언스’ 9월호에 김교수팀의 연구 논문을 게재했다.

시냅스는 신경세포 사이에서 정보를 전달해주는 아주 미세한 공간이다. 우리 뇌는 약 1천억개 이상의 신경세포가 있고 각 세포는 표면에 1만여개의 시냅스가 뻗어있어 복잡한 신경회로망을 구성한다.

김교수팀은 시냅스의 한쪽 끝에 있는 엔지엘 단백질이 다른쪽 끝의 네트린지(netrin-G) 단백질과 연결돼 새로운 시냅스를 만들어내는 것을 알아냈다.

이는 시냅스가 단순히 신경전달물질의 화학작용에 의해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생명체의 주요 구성물질인 단백질에 의해 조절되는 것임을 의미한다. 또 첫번째 가교 단백질인 뉴로리긴이 정신지체 및 자폐증과 관련이 깊은 만큼, 엔지엘 단백질도 주요한 뇌질환과 연결되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김교수는 “시냅스가 제대로 연결되지 않으면 정상적인 뇌 발달이 되지 않고 시냅스가 끊기면 뇌 기능이 마비되기도 한다”며 “다양한 뇌질환의 원인을 연구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경향신문, 이은정 과학전문기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8 [김재경 교수님] 포스코 사이언스 펠로십 선정​ 생명과학과 2023.10.18 1270
67 [이주형 학부생] 포스텍SF 어워드에서 생명과학과 학부생 이주형, 단편 부문 가작 선정 생명과학과 2022.02.10 1268
66 [김상규 교수님] 단일세포 RNA 시퀀싱을 통한 꽃향기 합성 유전자 발굴​ 생명과학과 2022.02.15 1266
65 [이승재 교수님 연구실] 과기정통부, ‘2022년도 건강한 연구실’ 10개 선정 생명과학과 2022.12.12 1258
64 [김찬혁 교수님] 말기 고형암 표적 2세대 면역치료제 개발​ 생명과학과 2023.04.20 1255
63 [전상용, 조병관 교수님] 나노입자로 염증부터 면역치료까지 가능 생명과학과 2023.06.21 1252
62 이승희 교수님_시각 정보 인식해 행동 결정하는 대뇌 신경회로 과정 밝혀 생명과학과 2021.08.30 1238
61 [송지준 교수님] 헌팅턴병 발병원인 제거를 위한 치료제 개발 방법 제시​ 생명과학과 2022.09.02 1234
60 [이승희 교수님] 신경전달물질 소마토스타틴의 알츠하이머 독성 개선효과 발견​ 생명과학과 2022.07.25 1232
59 [허원도 교수님] RNA 유전자 가위 기술로 코로나바이러스 싹둑 생명과학과 2023.05.04 1212
58 [허원도 교수님] 빛으로 뇌 기능, 행동, 감정을 자유롭게 조절한다​ 생명과학과 2021.12.03 1198
57 [김윤기 교수님] 저용량 고효율 RNA백신 개발 가능해지다​ 생명과학과 2023.10.24 1188
56 [조병관 교수님] 대량의 고농도 일산화탄소를 고부가가치 바이오케미칼로 전환하는 기술 개발 생명과학과 2022.07.15 1188
55 [손종우 교수님] 서울의대동창회, 제25회 함춘학술상 수상자 선정 생명과학과 2022.03.08 1185
54 [메디포럼 정재언 대표] 메디포럼, 정재언 연구소장 신임 대표이사 선임…“임상 R&D 중심 경영 집중” 생명과학과 2022.03.14 1184
53 [김진우 교수님] 새로운 세포핵 단백질의 이동 루트 발견​ 생명과학과 2023.02.28 1183
52 [루닛 서범석 대표] 바이오업계 유니콘 기대 루닛, 서범석 '치료 예측 AI' 고도화 박차 생명과학과 2022.04.27 1179
51 [서연수 교수님] ㈜엔지노믹스, 생명과학과에 발전기금 24억 기부​ 생명과학과 2022.10.14 1173
50 [오병하 교수님] 오미크론에도 듣는 범용 항체, 국내에서 개발 생명과학과 2022.02.04 1173
49 [강창원, 서연수 교수님] RNA 합성의 세 갈래 끝내기 제시​ 생명과학과 2022.03.31 1166
Board Pagination Prev 1 ...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Next
/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