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PIF1-Interacting Transcription Factors and Their Binding Sequence Elements Determine The In vivo Targeting Sites Of PIF1

 

Junghyun Kim, Hyojin Kang, Jeongmoo Park, Woohyun Kim, Janghyun Yoo, Nayoung Lee, Jaewook Kim,

Tae-young Yoon, Giltsu Choi*

Department of Biological Sciences, KAIST, Daejeon 34141, Korea

 

 

전사인자 PIF1DNA결합특이성 분석을 통한 표적 메커니즘 연구

애기장대 광 신호전달에서 중요한 전사 인자인 PIF1in vivo DNA 결합 특이성이 PIF1이 결합하는 G-box외에도 G-box에 연계되어 나타나는 DNA 모티프 (GCEs, G-box coupling elements)PIF1 및 모티프에 결합하는 보조전사인자 (PTFs, PIF1-interacting transcription factors)에 의해 결정될 것이라는 가설을 세우고, 이를 정보학적 및 분자생물학적으로 증명하였다.




PIF1-Interacting Transcription Factors and Their Binding Sequence Elements Determine The In vivo Targeting Sites Of PIF1

 

Junghyun Kim, Hyojin Kang, Jeongmoo Park, Woohyun Kim, Janghyun Yoo, Nayoung Lee, Jaewook Kim,

Tae-young Yoon, Giltsu Choi*

Department of Biological Sciences, KAIST, Daejeon 34141, Korea



A research for target mechanism of transcription factor PIF1 via assaying DNA binding specificity

The author revealed that DNA binding specificity of PIF1 which plays important role in light-signal transduction of Arabidopsis determined by not only G-box, but G-box coupling elements (GCEs) and PIF1-interacting transcription factors.

The research has been performed with bioinformatic and molecular biological technique to prove the hypothesis.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4 [김찬혁, 정원석 교수님] 심각한 염증 부작용 없앤 새로운 알츠하이머병 치료제 개발​ 생명과학과 2022.08.22 579
63 [김찬혁 교수님] 카이스트, 면역관문 신호 극복하는 차세대 CAR-T 세포 치료제 개발 생명과학과 2021.11.24 590
62 [김찬혁 교수님] 서울대병원, '꿈의 항암제' CAR-T 임상1상 본격 돌입 생명과학과 2022.02.04 561
61 [김찬혁 교수님] 말기 고형암 표적 2세대 면역치료제 개발​ 생명과학과 2023.04.20 343
60 [김찬혁 교수님] 6월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수상 생명과학과 2023.06.08 234
59 [김진우 교수님] 새로운 세포핵 단백질의 이동 루트 발견​ 생명과학과 2023.02.28 316
58 [김진우 교수님, 민광욱 박사님] 왼쪽 눈이 본 것을 오른쪽 뇌가 알게 하라​ 생명과학과 2023.03.02 408
57 [김재경 교수님] 포스코 사이언스 펠로십 선정​ 생명과학과 2023.10.18 194
56 [김은준 교수님] 자폐 진단․ 치료 골든타임, 동물실험으로 확인 생명과학과 2022.09.27 340
55 [김은준 교수님] 대규모 한국인 자폐증 가족 유전체 연구를 통한 새로운 자폐 유전변이 최초 발견​ 생명과학과 2022.07.19 388
54 [김윤기, 조원기 교수님] 비정상 단백질 처리에 관여하는 새로운 인자 발견 생명과학과 2023.10.12 172
53 [김윤기 교수님] 저용량 고효율 RNA백신 개발 가능해지다​ 생명과학과 2023.10.24 169
52 [김윤기 교수님] 새로운 단백질 번역기전 규명 file 생명과학과 2023.10.12 262
51 [김세윤, 정원석, 손종우 교수님] 인공지능 기반 약물 가상 스크리닝 기술로 신규 항암 치료제 발굴 성공 생명과학과 2022.08.12 498
50 [김세윤, 이대엽 교수님] "후성유전 조절하는 핵심 분자기전 찾았다" 생명과학과 2022.06.02 766
49 [김세윤, 양한슬 교수님] 장 조직의 항상성과 염증성 장염 회복의 핵심 효소 발견​ 생명과학과 2022.10.07 453
48 [김상규 교수님] 식물 유전자 비밀 푸는 김상규 카이스트 교수 생명과학과 2021.11.24 544
47 [김상규 교수님] 단일세포 RNA 시퀀싱을 통한 꽃향기 합성 유전자 발굴​ 생명과학과 2022.02.15 473
46 [김상규 교수님] 꽃향기, 이젠 눈으로 보세요!​ 생명과학과 2022.05.10 670
45 [김상규 교수님] 구글도 올라 탄 神으로 가는 길[과학을읽다] 생명과학과 2022.09.07 551
Board Pagination Prev 1 ...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Next
/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