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김선창 교수 실험실(양경석 박사과정) ACS Catalysis 논문게재 (2015.07.17)



Super Lipase Engineered with Amphipathic and Coiled-Coil Peptides




Kyung Seok Yang †, Bong Hyun Sung ‡, Myung Keun Park †, Jun Hyoung Lee †, Ki Jung Lim †, Sung Chul Park †, Soo Jin Kim §, Hyung Kwoun Kim, Jung-Hoon Sohn ‡, Ho Min Kim *§, and Sun Chang Kim *†


 






김선창 교수 실험실의 양경석 KAIST 생명과학과 박사과정생 논문이 국제학술지 'ACS Catalysis'

통해 리파아제
(lipase)에 양친매성 펩타이드 (amphipathic peptide) 및 다중합 펩타이드 (coiled-

coil peptide)
를 융합시켜 기질에 대한 접근성, 결합성 및 반응성을 극대화시켜 효소활성이 야생형

(wild-type)
대비 약 60 배 가량 증가된 슈퍼 리파아제 (super lipase)를 개발하였다고 밝혔다.

기술은 기존의 효소촉매를 이용한 전환반응이 가진 근본적인 문제를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로써 기존의 화학촉매
(chemical catalysts)를 대체하여 친환경적이고 효율적인 바이오 화합물

(biochemical)
생산토대를 마련하였으며, 신규 슈퍼 리파아제의 상용화를 통한 세계 시장 진출 및

스마트 바이오산업 개척이 가능할 것이다
.




Super Lipase Engineered with Amphipathic and Coiled-Coil Peptides



Kyung Seok Yang †, Bong Hyun Sung ‡, Myung Keun Park †, Jun Hyoung Lee †, Ki Jung Lim †, Sung Chul Park †, Soo Jin Kim §, Hyung Kwoun Kim, Jung-Hoon Sohn ‡, Ho Min Kim *§, and Sun Chang Kim *†


 

According to ACS Catalysis, Kyung Seok Yang (PhD Candidates in prof. Sun Chang KIm's Lab) developed Super lipase by conjugating amphipathic peptide and Coiled-coil peptide into lipase, which results in maximizing accessibility to substrate, binding affinity and reactivity. This technique is the first report to solve fundamental problem in transition by enzymatic catalyst. As the result, chemical catalysts would be replaced by this technique and it is expected that the Super lipase is globally commercialized.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5 [정원석 교수님] 제28회 삼성휴먼테크 논문대상에서 생명과학과 변유경 학생 은상 수상​ 생명과학과 2022.03.02 423
44 [허원도, 윤기준 교수님] 제51주년 개교기념식 개교기념 우수교원 포상 및 특별포상에서 학술상, 우수강의상 수상 생명과학과 2022.02.16 409
43 [김학성 교수님] 카이스트, 거대 단백질 구조체를 레고 블록 쌓듯 조립하는 기술 개발 생명과학과 2021.11.24 407
42 [김상규 교수님] 식물 유전자 비밀 푸는 김상규 카이스트 교수 생명과학과 2021.11.24 402
41 [조원기 교수님] 세포 기능 결정에 핵심 역할 유전자 발현 단백질 찾았다 생명과학과 2021.12.24 401
40 [김찬혁, 정원석 교수님] 심각한 염증 부작용 없앤 새로운 알츠하이머병 치료제 개발​ 생명과학과 2022.08.22 396
39 [김대수 교수님] 제약바이오협회, ‘KPBMA-MIT 생명과학 컨퍼런스’ 개최 생명과학과 2022.03.28 395
38 [강창원, 서연수 교수님] RNA 합성의 세 갈래 끝내기 제시​ 생명과학과 2022.03.31 389
37 [정원석 교수님] 카이스트, 노화된 뇌에서 생겨난 비정상적 별아교세포 ‘아프다(APDA)’발견 생명과학과 2022.08.08 381
36 [김상규 교수님] 단일세포 RNA 시퀀싱을 통한 꽃향기 합성 유전자 발굴​ 생명과학과 2022.02.15 375
35 [허원도 교수님] 빛으로 뇌 기능, 행동, 감정을 자유롭게 조절한다​ 생명과학과 2021.12.03 375
34 [이주형 학부생] 포스텍SF 어워드에서 생명과학과 학부생 이주형, 단편 부문 가작 선정 생명과학과 2022.02.10 369
33 [김세윤, 정원석, 손종우 교수님] 인공지능 기반 약물 가상 스크리닝 기술로 신규 항암 치료제 발굴 성공 생명과학과 2022.08.12 368
32 [최길주, 김상규 교수님] 카오스재단 2022 봄 카오스강연 ‘식물행성 (Plant Planet)’ 에서 강연(4/6) 생명과학과 2022.02.22 368
31 [이승재 교수님 연구실] 과기정통부, ‘2022년도 건강한 연구실’ 10개 선정 생명과학과 2022.12.12 359
30 [서연수 교수님] ㈜엔지노믹스, 생명과학과에 발전기금 24억 기부​ 생명과학과 2022.10.14 354
29 이승희 교수님_시각 정보 인식해 행동 결정하는 대뇌 신경회로 과정 밝혀 생명과학과 2021.08.30 352
28 [김대수 교수님] 네이버 열린연단 '자유와 이성' 주제로 시즌9 강연 시작 생명과학과 2022.04.22 348
27 [한진희 교수님] 카이스트, 뉴런(신경 세포) 교체에 의한 기억저장 규명 생명과학과 2021.11.24 344
26 [김상규 교수님] 구글도 올라 탄 神으로 가는 길[과학을읽다] 생명과학과 2022.09.07 343
Board Pagination Prev 1 ...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Next
/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