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의 지원을 받아 알츠하이머 관련 연구를 진행하는 연구자들. KAIST 박성홍 교수, 연세대학교 정호성 교수, KAIST 정원석 교수, 서울대학교 박혜윤 교수(왼쪽 위부터 시계방향)>

 

삼성전자가 '세계 알츠하이머의 날'(921)을 맞아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 지원을 받아 연구하는 국내 연구진 영상을 20일 공개했다.

 

삼성전자는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을 통해 알츠하이머와 관련한 다양한 기초 연구를 돕고 있다. 연재까지 알츠하이머 극복에 기여할 수 있는 기초연구 15개를 지원했다.

 

삼성전자 뉴스룸에 공개한 '알츠하이머를 쫓는 사람들' 영상은 삼성 지원으로 알츠하이머 극복을 위해 노력하는 국내 연구진과 성과를 담았다.

 

정원석 KAIST 교수는 수면과 노화에서 뇌의 항상성을 조절하는 새로운 메커니즘을 연구하고 있다. 이를 통해 뇌 뇌화를 억제하고 알츠하이머와 같은 질환을 예방 ·치료하는 데 새로운 방법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

 

삼성전자는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을 통해 알츠하이머와 관련한 다양한 기초 연구를 돕고 있다. 연재까지 알츠하이머 극복에 기여할 수 있는 기초연구 15개를 지원했다.

 

삼성전자 뉴스룸에 공개한 '알츠하이머를 쫓는 사람들' 영상은 삼성 지원으로 알츠하이머 극복을 위해 노력하는 국내 연구진과 성과를 담았다.

 

정원석 KAIST 교수는 수면과 노화에서 뇌의 항상성을 조절하는 새로운 메커니즘을 연구하고 있다. 이를 통해 뇌 뇌화를 억제하고 알츠하이머와 같은 질환을 예방· 치료하는 데 새로운 방법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

 

박성홍 KAIST 바이오 뇌공학과 교수는 '새로운 뇌 영상화 기법 MRI' 를 연구한다. 뇌막 림프관을 통해 뇌의 노폐물이 배출되는 경로를 밝히는 연구다.

 

정호성 연세대 의과대학 교수는 축삭(뉴런의 가장 끝에 위치해 신경세포에서 일어나는 흥분을 다른 신쳥세포에 전달하는 돌기 부분) 퇴화 연구를, 박예윤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교수는 살아있는 뇌에서 기억의 흔적을 실시간으로 파악하는 영상 기술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은 2013년부터 15000억원을 출연해 시행하는 사업이다. 현재까지 603개 과제에 7729억원을 집행했다. 네이처, 사이언스 등 국제학술지에 논문 1246건을 게재했다.

 

삼성전자는 미래 산업 발전을 위해서는 기초 과학이 중요하다는 이재용 부회장의 철학을 반영해 삼성미래기술육성 등 다양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내년부터는 호암과학상을 물리·수학 부분, 화학·생명과학 부문으로 확대 개편해 과학기술 분야 지원을 늘리기로 했다. 화암과학상 확대는 이부회장 제안에 따라 이뤄진 것으로 알려졌다. 삼성은 또 국내 대학들의 미래 기술·인해 양성를 지우너하기 위해 산학협력에 1000억원 이상을 투자하기로 했다


https://www.etnews.com/20200920000016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5 이승희 교수님_시각 정보 인식해 행동 결정하는 대뇌 신경회로 과정 밝혀 생명과학과 2021.08.30 2615
124 양한슬 교수님_ 서경배과학재단 2021년 신진과학자 선정 file 생명과학과 2021.08.31 2665
123 김대수 교수님_“뇌의 본능적 욕구 참고 기다리는 아이, 사회적으로 성공” 생명과학과 2021.09.06 2811
122 2021 Agrwal Award 시상식이 9월 9일(목) 오후 4시_이준혁 학생(정원석 교수) file 생명과학과 2021.09.06 2572
121 2021 대성해강미생물포럼_좌장 조병관 교수, 연사 김대수 교수_21.09.28(화) 13:00~ file 생명과학과 2021.09.13 2632
120 서성배 교수님(김보람 연수연구원)_제20회 한국 로레알-유네스코 여성과학자상 수상 file 생명과학과 2021.09.27 3297
119 [이승재 교수님] 건강한 장수를 유도하는 돌연변이 유전자 발굴 생명과학과 2021.11.24 2053
118 [김상규 교수님] 식물 유전자 비밀 푸는 김상규 카이스트 교수 생명과학과 2021.11.24 2969
117 [김찬혁 교수님] 카이스트, 면역관문 신호 극복하는 차세대 CAR-T 세포 치료제 개발 생명과학과 2021.11.24 2514
116 [한진희 교수님] 카이스트, 뉴런(신경 세포) 교체에 의한 기억저장 규명 생명과학과 2021.11.24 2489
115 [김학성 교수님] 카이스트, 거대 단백질 구조체를 레고 블록 쌓듯 조립하는 기술 개발 생명과학과 2021.11.24 2487
114 [허원도 교수님] 빛으로 뇌 기능, 행동, 감정을 자유롭게 조절한다​ 생명과학과 2021.12.03 2471
113 [이승재 교수님] 국내 연구팀, 예쁜꼬마선충을 이용 새로운 항노화 단백질 찾아 생명과학과 2021.12.13 2403
112 [진에딧 이근우 대표] 한국인이 세운 ‘유전자 가위’ 스타트업… 실리콘밸리가 침흘리는 이유 생명과학과 2021.12.20 3295
111 [조원기 교수님] 세포 기능 결정에 핵심 역할 유전자 발현 단백질 찾았다 생명과학과 2021.12.24 2397
110 [조병관 교수님] 한국연구재단, 노화 방지하고 회춘하는 방법 제시 생명과학과 2022.01.13 2518
109 [정현정 교수님] 유전자 가위로 생체 내 정밀한 유전자 교정에 의한 면역 항암 치료​ 생명과학과 2022.01.18 2505
108 [오병하 교수님] 오미크론에도 듣는 범용 항체, 국내에서 개발 생명과학과 2022.02.04 2412
107 [김찬혁 교수님] 서울대병원, '꿈의 항암제' CAR-T 임상1상 본격 돌입 생명과학과 2022.02.04 2417
106 [이주형 학부생] 포스텍SF 어워드에서 생명과학과 학부생 이주형, 단편 부문 가작 선정 생명과학과 2022.02.10 2493
Board Pagination Prev 1 ...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 24 Next
/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