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한국과학기술원(KAIST) 고규영 교수ㆍ조정현 박사팀이 개발한 혈관생성 단백질'콤프안지원(COMP-Ang 1)' 은 앞으로 심장병과 혈관 이상으로 인해 발생하는여러 질병에 획기적인 치료법을 제안할 것으로 기대된다.

지금까지는 심장병, 심근경색, 뇌졸중 등 허혈성 심장과 뇌질환을 치료하는 데'VEGF' 라는 단백질이 사용됐다. 그러나 이 물질은 급속하게 혈관을 치료하는기능만 가지고 있기 때문에 불완전한 혈관을 생성해 차후 부종이나 염증, 암등 부작용을 많이 야기했다.

이번에 개발된 콤프안지원은 혈관을 구성하는 세포 자체를 생성할 수 있도록유도하는 물질이므로 건강한 혈관을 생성할 수 있다. '콤프안지원' 은 생물 혈관을 구성하는 세포를 재생하고 활성화하는 물질인 안지오포이에틴을 인공적으로 합성해 개발한 단백질이다. 안지오포이에틴은 심장병, 심근경색 등 혈관계 질환들을 거의 완벽하게 치료할수 있어 일찍부터 주목을 받았다. 그러나 지금까지는 물질 분자구조가 너무 크고 복잡해 인공적으로 합성하고 약물화하는 데 성공하지 못했다.

고규영 교수는 이 물질의 아미노산을 특성이 비슷한 세포구성물질인 콤프로 대체해 분자구조를 단순화하고 규모도 줄여 합성하는 데 성공했다.

물질 우수성도 대외적으로 인정받고 있다. 미국 과학기술 관련 학술지인 '국립학술원학회지' 는 고 교수 연구결과를 이달에 상세하게 다룰 예정이다. 또 미국에 물질개발과 관련한 특허를 출원해 현재 심사가 진행되고 있다.

고 교수는 "앞으로 4~5년 안에 상용화해 치료약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 이라며 "대량생산체제를 갖추고 본격적으로 상용화하면 연간 200억~500억원가량 치료비용을 줄일 수 있을 것" 이라고 말했다.

<이명진 기자>

매일경제 2004-04-1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8 [조병관 교수님] 카이스트 조병관 교수팀, 합성생물학 기반 차세대 미생물 대사 조절 밸브 개발 생명과학과 2022.04.15 1673
107 [오병하 교수님] 뉴스의인물/ KAIST 생명과학과 오병하 교수 생명과학과 2022.03.21 1646
106 허원도 교수님(유다슬이 박사)_제10회 에쓰-오일 우수학위논문상'의 생명과학 분야 대상 수상 생명과학과 2021.02.22 1637
105 [김윤기 교수님] 새로운 단백질 번역기전 규명 file 생명과학과 2023.10.12 1632
104 [정원석 교수님] 제28회 삼성휴먼테크 논문대상에서 생명과학과 변유경 학생 은상 수상​ 생명과학과 2022.03.02 1624
103 [김상규 교수님] 식물 유전자 비밀 푸는 김상규 카이스트 교수 생명과학과 2021.11.24 1589
102 한진희 교수님_기억이 만들어지는 원리 최초로 규명했다 생명과학과 2021.07.14 1568
101 [김세윤, 이대엽 교수님] "후성유전 조절하는 핵심 분자기전 찾았다" 생명과학과 2022.06.02 1567
100 김대수 교수님_“뇌의 본능적 욕구 참고 기다리는 아이, 사회적으로 성공” 생명과학과 2021.09.06 1565
99 [이승재 교수님] 생체 노화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새로운 RNA 지표 발견​ 생명과학과 2022.12.08 1563
98 [김상규 교수님] 꽃향기, 이젠 눈으로 보세요!​ 생명과학과 2022.05.10 1534
97 김진우 교수님, 천주교 서울대교구 생명위원회 제 15회 '생명의 신비상' 수상 생명과학과 2021.02.18 1524
96 서성배 교수님_동물 뇌 신경세포가 과식 억제한다 생명과학과 2021.06.16 1522
95 오병하 교수님_자연에 없는 고감도 단백질 센서 제작 플랫폼 개발 생명과학과 2021.02.08 1504
94 [김상규 교수님] 구글도 올라 탄 神으로 가는 길[과학을읽다] 생명과학과 2022.09.07 1492
93 [김학성 교수님] 카이스트, 거대 단백질 구조체를 레고 블록 쌓듯 조립하는 기술 개발 생명과학과 2021.11.24 1491
92 손종우 교수님_비정형 항정신병 약물에 의한 비만의 원인 규명​ 생명과학과 2021.05.17 1455
91 [조원기 교수님] 세포 기능 결정에 핵심 역할 유전자 발현 단백질 찾았다 생명과학과 2021.12.24 1450
90 [김찬혁 교수님] 카이스트, 면역관문 신호 극복하는 차세대 CAR-T 세포 치료제 개발 생명과학과 2021.11.24 1449
89 전상용, 송지준 교수님_다양한 변이에도 면역 가능한 인플루엔자 백신 개발 생명과학과 2021.06.30 1438
Board Pagination Prev 1 ...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Next
/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