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생명의 신비상] 눈 혹사 시대 `망막 재생 방법 찾는 연구자`




  • [앵커] 제15회 생명의 신비상 수상자들의 이야기를 들어보는 시간입니다.

    오늘은 생명과학 분야 장려상을 받은 김진우 교수를 만나보겠습니다.

    장현민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인간의 눈은 신체에서 가장 취약한 기관 가운데 하나입니다.

    항상 외부에 노출되어 있는 것은 물론 아침에 일어나서 잠들기 전까지 우리는 끊임없이 무언가를 보기 때문입니다.

    여기에 최근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문화 확산으로 전자기기 노출시간이 늘어나면서 눈의 피로도는 더욱 높아지고 있습니다.

    눈의 피로 상승은 눈의 급격한 노화나 질병을 일으켜 망막 손상을 부릅니다.

    망막은 외부의 빛을 받아들이는 눈 속 신경조직으로, 손상될 경우 시력을 잃고 맙니다.

    하지만 한 번 손상된 망막은 재생 치료는 물론 수정체나 각막과 달리 이식도 불가능합니다.

    카이스트 생명과학과 김진우 교수는 망막 퇴행을 막기 위한 연구 활동을 펼쳐왔습니다.

    특히 망막의 발달 과정을 연구해 이를 재생할 방법을 찾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김진우 교수 / 카이스트 생명과학과>
    “망막세포가 어떻게 구성이 되고 어떻게 생성이 되는가 부터 알아야 우리가 왜 이런 질병이 생기고 요걸 어떻게 치료할 것인가에 대한 대책을 마련할 수 있기 때문에 저희가 망막 발달에 대한 연구에 집중을 하고 있습니다.”

    김 교수의 망막 연구는 2017년 ‘제14회 마크로젠 과학자상’을 받는 등 이미 높은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변온동물 연구를 통해 망막 재생 방안을 찾을 단서를 발견하기도 했습니다.

    <김진우 교수 / 카이스트 생명과학과>
    “흥미롭게 물고기나 개구리처럼 변온 동물들 같은 경우에는 망막 재생이 잘 일어난다고 해요. 그래서 저희가 최근에 사람은 왜 망막 재생이 잘 안 될까에 대한 힌트를 조금 얻었고요. 그것을 극복하기 위해서 일부 연구를 시작해서 유의미한 결과를 얻고 있습니다.”

    이 같은 공로를 인정받아 김 교수는 ‘제15회 생명의 신비상’ 생명과학분야 장려상 수상자로 선정됐습니다.

    김 교수는 잇따른 성과에 만족하지 않고 사람들에게 ‘세상을 향한 창’을 돌려주기 위해 계속 노력할 것을 다짐했습니다.

    김 교수는 또 자신 역시 망막 연구를 통해 ‘세상에 기여할 창’을 찾았다고 말했습니다.

    <김진우 교수 / 카이스트 생명과학과>
    “눈이 세상을 향한 인간의 창이듯이 저도 망막 연구를 통해서 제가 공부하는 학문이란 것이 어떻게 인간을 위해서 인류를 위해서 사용 될 수 있고 교감할 수 있는 가를 하는 것이기 때문에 저는 (스스로에게도) 세상을 향한 창이다라고 생각을 합니다.”

    CPBC 장현민입니다.


    http://www.cpbc.co.kr/CMS/news/view_body.php?cid=793599&path=202012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14 김은준 교수, KAIST 지정 석좌교수로 임명 과사무실 2011.05.20 12383
    213 김은준 교수, 뇌 속 시냅스 생성 단백질 발견 과사무실 2009.04.06 12370
    212 생명과학과 김정회 교수... 한국생물공학회 학술상 수상 과사무실 2007.10.24 12364
    211 배기현 학생 창의활동상 수상 과사무실 2005.02.17 12334
    210 최준호 교수,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 회장 취임 / Professor Joonho Choe is augurated as the chairman of KSMCB 생명과학과 2016.01.05 12323
    209 1단계 BK21사업 성과보고대회 - 우수사업단 선정 및 부총리 표창 과사무실 2005.12.19 12280
    208 김학성 교수, 2010년 한국바이오칩학회 학술대상 수상! 과사무실 2010.11.01 12256
    207 최유라 학생 21세기 이끌 우수인재상 수상 과사무실 2005.01.27 12240
    206 박태관 교수, 미국생체재료학회 클렘슨상 수상! 과사무실 2009.04.02 12220
    205 이승재 교수님_One More Key to Human Longevity Found After Worm Research 생명과학과 2020.07.03 12152
    204 최길주 교수, PNAS 에 논문 게재! (2012. 1 online) 과사무실 2012.01.12 12119
    203 2015년 KAIST 대표 R&D 연구성과 10선 선정 / Announcement of KAIST's Top 10 Research Accomplishments of 2015 생명과학과 2016.03.07 12062
    202 [한겨레] 생체시계 시간 맞추는 유전자 국내 연구팀이 첫 발견-김재섭 교수팀 과사무실 2005.10.20 12034
    201 2011년 개교 40주년 기념 우수교원 포상 과사무실 2011.02.11 11978
    200 [대덕넷] 제넥셀, 日 신약개발업체서 외자유치 과사무실 2005.03.31 11963
    199 임대식 교수 외 3명 개교 34주년 기념 우수교원 포상 과사무실 2005.02.15 11946
    198 [매일경제] 김학성 오은규 연구팀 나노입자 특성 이용해 단백질 상호작용 분석 과사무실 2005.03.21 11876
    197 고창민 박사과정 학생, 최광욱 교수 Oncogene 게재(2016.04) / Chang Min Ko, a Ph.D candidate and Prof. Kwang-Wook Choi published a paper in Oncogene (2016.04) 생명과학과 2016.04.15 11845
    196 Thao Phuong Le 박사과정 학생, 최광욱 교수 Nature Communications 게재(2016.05) / Thao Phuong Le, a Ph.D candidate and Prof. Kwang-Wook Choi published a paper in Nature Communications (2016.05) 생명과학과 2016.05.11 11800
    195 강창원 교수, "디아이 학술상" 수상! 과사무실 2012.05.22 11760
    Board Pagination Prev 1 ... 8 9 10 11 12 13 14 15 16 17 ... 23 Next
    /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