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왼쪽부터) 생명과학과 강석조 교수, 손경표 박사과정, 정석환 박사과정, 엄은총 박사과정, 권도형 박사

< (왼쪽부터) 생명과학과 강석조 교수, 손경표 박사과정, 정석환 박사과정, 엄은총 박사과정, 권도형 박사 >

 

우리 대학 생명과학과 강석조 교수 연구팀이 선천면역반응을 매개하는 중요 단백질인 STING의 활성을 조절하는 새로운 기전으로, 미토콘드리아 막 단백질이자 E3 유비퀴틴 리가아제인 MARCH5가 STING을 유비퀴틴시켜서 활성산소에 의해 STING이 비활성형 다량체로 응집되는 것을 억제함을 규명했다고 4일 밝혔다.

STING(Stimulator of interferon genes)은 선천면역 신호경로의 필수적인 어댑터 단백질로서 외부로부터 들어온 세균 및 바이러스로부터 유래한 세포질 내 DNA를 감지하는 cGAS(cyclic GMP-AMP synthase)가 생성한 cGAMP(2'3'-cyclic GMP-AMP)에 결합하여 활성화되면 TBK1(TANK-binding kinase 1)과 IRF3(Interferon regulatory factor 3)를 활성화하여 제1형 인터페론을 유도한다. 이를 통해서 염증반응과 다양한 면역세포를 활성화하여 병원균으로부터 우리 몸을 방어하는 면역반응을 일으킨다. STING은 또한 자가 염증성 질환, 암, 노화 및 퇴행성 뇌질환을 포함한 다양한 염증질환의 주요 매개체로 작용한다.

STING의 활성은 다양한 방법으로 조절되는 데, 세포내 이동, 번역 후 변형(post-translational modification, PTM), 고차원 구조체인 다량체 (polymer)의 형성 등이 알려져 있다. STING은 세포내 소기관인 소포체(endoplasmic reticulum)에 위치하고 활성 후 골지체로 이동하여 하위 신호전달을 매개한다. 인산화(phosphorylation), 유비퀴틴화(ubiquitination), 팔미토일화(palmitoylation), 산화(oxidation) 등의 다양한 번역 후 변형을 받으며, 활성화된 STING은 이량체(dimer)를 거쳐 활성형 다량체를 형성하여 신호전달을 매개한다. 하지만, 이들 조절 기전의 다이나믹스와 상호작용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적다. 특히, 염증과 같은 조건에서 다량 생성되는 활성산소에 의해 STING이 비활성형 다량체를 형성하는 데 이를 억제하는 번역 후 변형 및 그 조절 기전에 대해서는 전혀 알려지지 않았다.

강 교수 연구팀은 이전 연구에서 STING이 위치한 소포체와 인접한 미토콘드리아의 다이나믹스를 조절하는 인자가 STING 활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밝혔다. 이에 대한 후속연구를 수행하던 중, 미토콘드리아 막 단백질이자 E3 유비퀴틴 리가아제로 알려진 MARCH5(Membrane associated RING-CH-type finger 5)가 결손된 마우스 배아 섬유아세포에서 STING 매개 제1형 인터페론 형성이 감소하며 STING 활성경로의 하위단계인 TBK1, IRF3의 활성 또한 저해되어있음을 통해 MARCH5가 STING의 활성에 양성 조절자로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밝혔다. 나아가 강 교수팀은 MARCH5가 결손된 세포주에서 활성산소(reactive oxygen species, ROS)가 정상 세포주에 비해 높다는 것과 높은 활성산소는 STING이 정상 세포주에 보이는 STING의 활성형 다량체가 아닌 비활성형 다량체로의 형성을 촉진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그림 1. STING의 다양한 생물학적 역할과 본 연구를 통해 밝힌 활성산소에 의한 STING의 비활성화 억제 기전. 미토콘드리아 막 단백질인 MARCH5가 STING의 양성 조절자 역할을 하며, 기전적으로 MARCH5 단백질이 STING을 유비퀴틴시켜, 과도한 활성산소에 의해 산화된 STING이 비활성화 다량체를 생성하는 것을 막는다는 것을 밝혔음. (Biorender.com을 활용하여 그림)

< 그림 1. STING의 다양한 생물학적 역할과 본 연구를 통해 밝힌 활성산소에 의한 STING의 비활성화 억제 기전. 미토콘드리아 막 단백질인 MARCH5가 STING의 양성 조절자 역할을 하며, 기전적으로 MARCH5 단백질이 STING을 유비퀴틴시켜, 과도한 활성산소에 의해 산화된 STING이 비활성화 다량체를 생성하는 것을 막는다는 것을 밝혔음. (Biorender.com을 활용하여 그림) >

 

기전적으로 MARCH5 단백질이 STING과 결합하며 STING의 Lysine 19 잔기를 선택적으로 타겟하여 Lysine-63형으로 유비퀴틴화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STING은 높은 활성산소 조건에서 Cysteine 205 잔기에 산화가 일어나는데, MARCH5에 의한 STING 유비퀴틴화는 과도한 활성산소 조건에서 산화된 STING이 비활성 STING 다량체를 형성하는 것을 억제하여 정상적인 STING활성을 갖도록 돕는다는 사실을 규명하였다.

석조 교수는 “본 연구는 미토콘드리아 막 단백질이 산화된 STING의 다량체 형성을 조절하는 원리를 최초로 제공한 연구이면서 STING이라는 단백질을 통하여, 다양한 번역 후 변형간의 상호 작용과 고차원 구조적 변화, 그리고 이에 기여하는 세포내 소기관의 교류를 동시에 밝혀 보다 넓은 학문분야에 활용되는 지식을 제공했다는 데 의의가 크다”고 언급하면서, “본 연구를 통해 얻은 새로운 지식은 STING이 매개하는 다양한 염증성 질환에 대한 보다 깊은 이해와 치료제 개발 연구에 가치 있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이번 연구는 유럽 분자생물학의 권위있는 국제 학술지 `엠보 리포트 저널 (EMBO (European Molecular Biology Organization) Reports)’에 11월 2일 字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논문명: MARCH5 promotes STING pathway activation by suppressing polymer formation of oxidized STING). KAIST 생명과학과 손경표 박사과정, 정석환 박사과정, 엄은총 박사과정이 공동 제1 저자로 연구를 주도하였고, 권도형 박사(現 부스트이뮨)가 함께 참여하였다.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 중견연구자지원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https://news.kaist.ac.kr/news/html/news/?mode=V&mng_no=33211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43 이준식 교수 IAFOST Fellow 선출 과사무실 2003.09.08 13980
442 김선창 교수 6월의 과학기술자 선정 과사무실 2003.09.08 13849
441 김은준 교수 창의과제 신규 선정 과사무실 2003.09.08 15230
440 서연수 교수 생명과학상 수상 과사무실 2003.09.08 14847
439 [KAIST NEWS] 이준식 교수 정년퇴임 과사무실 2003.09.18 21331
438 최길주 교수 美 광생물학회 학술지 부편집장으로 선임 과사무실 2003.09.22 14668
437 [매일경제] 김은준 교수"퍼즐놀이하듯 신경세포 연구" 과사무실 2003.09.23 14821
436 김선창 교수 송암학술상 수상 과사무실 2003.12.23 14450
435 임대식 교수 논문 Nature Cell Biology 게재 1 과사무실 2004.01.26 14153
434 [대덕넷] 임대식 교수"癌 억제하는 유전자 기능 밝혀졌다" 과사무실 2004.02.06 14036
433 김은준 서연수 교수 우수교원 포상 과사무실 2004.02.13 13746
432 강은채 학생 창의활동상 수상 과사무실 2004.02.20 13607
431 변시명 교수 기초과학 교과목 우수강의상 수상 1 과사무실 2004.03.17 13916
430 [매일경제] 고규영 교수 "혈관생성물질 세계 첫 개발" 과사무실 2004.04.14 14087
429 강창원 교수 교무처장 인사발령 과사무실 2004.08.03 13052
428 고규영 교수 국가지정연구실사업 신규과제 선정 과사무실 2004.08.23 12866
427 [대덕넷] 임대식 교수 이달의 과기인상 수상 과사무실 2004.08.30 13549
426 임대식 최길주 교수 승진 인사발령 과사무실 2004.09.01 15068
425 김대수 교수 생명과학과 부임 과사무실 2004.09.01 14995
424 임정훈 박사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 우수박사학위논문상 수상 과사무실 2004.09.09 14751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3 Next
/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