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http://news.empas.com/show.tsp/cp_ch/it99/20050131n00955/http://news.empas.com/show.tsp/cp_ch/it99/20050131n00955/마약 복용이나 독감으로 인한 고열 등으로부터 신경세포를 보호해주는 유전자를 국내 연구진이 최초로 발견했다. 과학자들은 이번 연구를 바탕으로 뇌기능 손상을 막을 수 있는 신약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 김재섭 교수(생명과학과·사진) 연구팀은 30일 “섭씨 39도 이상의 고온 상태에서 신경세포를 보호하는 ‘파이렉시아(Pyrexia)’라는 유전자를 최초로 발견했다”고 밝혔다. 김 교수팀의 연구논문은 세계적인 학술저널 ‘네이처 제네틱스(Nature Genetics)’ 31일자 인터넷판에 게재됐으며 3월호에 정식 게재될 예정이다.


연구팀은 “돌연변이 초파리 중 비정상적으로 뜨거운 곳을 피하지 않는 개체를 골라내 관련 유전자를 찾아냈다”며 “이를 개구리 알에 집어 넣어 분석한 결과 39도 이상의 고온이 되면 작동하는 파이렉시아 단백질을 발견했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독감 등 각종 열병이나 마약복용도 신경세포에 과도한 자극을 가해 뇌기능을 손상시킨다”며 “파이렉시아의 기능을 강화시키는 약을 개발하면 이런 자극으로 인한 뇌기능 손상을 막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조선일보 이영완 기자 / 2005-01-31 06:32:01]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5 [조원기 교수님] 세포 기능 결정에 핵심 역할 유전자 발현 단백질 찾았다 생명과학과 2021.12.24 401
104 [조선일보] 생명과학과 김정회교수팀...자일리톨 추출 신기술 개발 과사무실 2007.08.29 13888
» [조선일보] 김재섭 교수 고열에도 뇌손상 막는 유전자 최초 발견 과사무실 2005.01.31 11954
102 [조선일보] AMPK유전자, 암세포 치료에도 이용...정종경 교수팀 과사무실 2007.05.08 11884
101 [조병관 교수님] 한국연구재단, 노화 방지하고 회춘하는 방법 제시 생명과학과 2022.01.13 435
100 [조병관 교수님] 카이스트 조병관 교수팀, 합성생물학 기반 차세대 미생물 대사 조절 밸브 개발 생명과학과 2022.04.15 789
99 [조병관 교수님] 이산화탄소 흡수해 아세트산 만드는 '친환경 미생물' 5종 발견 생명과학과 2022.06.17 2566
98 [조병관 교수님] 대량의 고농도 일산화탄소를 고부가가치 바이오케미칼로 전환하는 기술 개발 생명과학과 2022.07.15 302
97 [조병관 교수님 연구실] 2022년 안전관리 우수연구실 선정 file 생명과학과 2023.01.27 141
96 [정현정 교수님] 유전자 가위로 생체 내 정밀한 유전자 교정에 의한 면역 항암 치료​ 생명과학과 2022.01.18 468
95 [정인경 교수님] 기저 질환이 없는 코로나19 환자의 중증 신규 유전적 위험 인자 규명 생명과학과 2022.09.29 196
94 [정원석 교수님] 카이스트, 노화된 뇌에서 생겨난 비정상적 별아교세포 ‘아프다(APDA)’발견 생명과학과 2022.08.08 382
93 [정원석 교수님] 제28회 삼성휴먼테크 논문대상에서 생명과학과 변유경 학생 은상 수상​ 생명과학과 2022.03.02 424
92 [전상용 교수님] 항암치료용 인공탄수화물 기반 나노의약 개발​ 생명과학과 2022.07.12 304
91 [임정훈 동문교수님] “초파리로 루게릭병 잡는다” 임정훈 분자생물학자 생명과학과 2022.04.04 489
90 [이주형 학부생] 포스텍SF 어워드에서 생명과학과 학부생 이주형, 단편 부문 가작 선정 생명과학과 2022.02.10 369
89 [이승희 교수님] 신경전달물질 소마토스타틴의 알츠하이머 독성 개선효과 발견​ 생명과학과 2022.07.25 279
88 [이승재 교수님] 생체 노화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새로운 RNA 지표 발견​ 생명과학과 2022.12.08 253
87 [이승재 교수님] 국내 연구팀, 예쁜꼬마선충을 이용 새로운 항노화 단백질 찾아 생명과학과 2021.12.13 436
86 [이승재 교수님] 건강한 장수를 유도하는 돌연변이 유전자 발굴 생명과학과 2021.11.24 313
Board Pagination Prev 1 ...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Next
/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