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김대수 KAIST 교수 특별강연
구체적 목표가 뇌 전체 활성화
다른체계 경계에서 새지식 창조
예측불허 시대 최적 활용은 필수
한국인 이타적 뇌, 초격차에 유리
올해로 6회째를 맞는 대규모 ICT·과학기술 행사인 ‘이노베이트코리아 2022’가 ‘기술패권 전쟁, 초격차가 답이다’를 주제로 13일 세종시 고려대 세종캠퍼스에서 열린 가운데 김대수 한국과학기술원(KAIST) 교수가 특별강연을 하고 있다. 세종=임세준 기자

“뇌는 본능적으로 세상에 존재하지 않는 것을 발견해 나와 이웃, 자녀의 생존을 지키려고 합니다. 아직 개척되지 않은 미존(未存)공간을 아름다운 공간으로 만드는 것. 그게 초격차 시대 뇌의 임무입니다.”

김대수 한국과학기술원(KAIST) 교수(사진)는 13일 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에서 열린 헤럴드경제 IT과학기술포럼 ‘이노베이트코리아 2022’에서 급변하는 초격차 시대를 이끄는 뇌의 역할에 대해 이와 같이 강조했다.

김 교수는 ‘창의성과 초격차의 뇌과학’을 주제로 한 특별강연에서 “역사상 겪어 보지 못한 빠른 변화에 직면한 지금, 우리는 뇌 과학을 더욱 이해해야 한다”며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낼 수 있는 뇌 기능을 통해 4차산업시대에 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인공지능(AI), 메타버스 등으로 하루가 다르게 변하는 예측불허의 시대에서 우리 뇌 기능을 최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필수적이란 의미다.

▶“내 뇌에 맞게 세상을 바꾸려는 욕구가 원동력”=김 교수는 뇌가 인식하는 세상과 실제 팩트와의 간극이 문명의 발전을 이끈다고 강조했다. ‘인지부조화’가 일어날 때 ‘나의 생각’에 맞는 증거를 찾고 팩트를 바꾸려 하는 욕구가 기술 발전으로 이어진다는 의미다.

과학 기술 초격차를 위해서는 구체적 목표를 설정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김 교수는 “다보스 포럼에서 어젠다만 설정해도, 모두가 새로운 산업에 대비해 기술 발전에 매진한다”며 “뇌의 위대한 기능을 전부 활용하기 위해서는 높은 차원의 목표를 정확히 보여줘야 한다”고 말했다. 구체적 목표 제시는 뇌가 창의성을 발휘하도록 하고, 이는 뇌 전체를 활성화시킨다는 의미다. 또한 실패에 좌절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김 교수는 “창의적 뇌는 무언가에 실패하는 순간 발달한다”며 “일종의 ‘외상후 성장’으로, 실패의 순간은 다른 의미로 뇌를 발전시킬 수 있는 순간”이라고 말했다.

이어 새로운 지식은 서로 다른 지식 체계의 경계에서 창조된다고 설명했다. 일례로 하늘과 우주의 경계는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지만, ‘스페이스X’ 같은 우주산업은 하늘과 우주의 경계를 관광을 위한 새로운 공간으로 재탄생시켰다. 미존공간이 새로운 공간으로 탄생하는 순간이다.

▶“뇌의 ‘메타인지’, 초격차의 핵심”=김 교수는 한국인의 뇌가 초격차 시대에 매우 적합하다고 언급, 청중의 흥미를 불러일으켰다. 그는 “우리는 배려를 기반으로 한 이타적인 뇌를 갖고 있다”며 “사회가 빠르게 변하면서 발생하는 사회적 갈등은 이런 배려심으로 해결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는 뇌의 ‘메타인지’ 능력으로 연결된다. 메타인지란, ‘초월적’이란 의미의 ‘메타’와 대상을 아는 능력 ‘인지’의 합성어다. 뇌가 스스로를 알고 판단하는 능력을 뜻한다. 그는 “소크라테스가 ‘너 자신을 알라’고 한 것은 뇌 과학적으로 보면 ‘너 자신의 뇌를 알라’는 뜻과 같다”며 “나의 편견과 이기심을 내려놓을 때 비로소 보다 가치 있는 지식을 추구할 수 있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렇다면 본래 이기적인 뇌를 어떻게 이타적으로 만들 수 있을까. 김 교수는 ‘나(self)’를 확장하는 개념을 활용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김 교수는 “신경의 연결로써 존재하는 나는, 동시에 신경의 연결을 통해 확장될 수 있다”며 가짜 팔 실험을 예로 들었다. 그는 “고무장갑도 마치 나의 일부처럼 생각할 수 있듯, 남을 내 몸과 같이 생각할 때 이타적인 아이디어와 실천을 할 수 있다”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김 교수는 뇌 과학을 통한 초격차 시대 경쟁력 강화를 강조했다. 그는 “수천년간 인류의 뇌는 크게 변하지 않았지만, 뇌 과학 지식을 활용하면 창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며 “‘높은 차원의 앎’을 추구하는 능력이 초격차 시대에서 필수”라고 끝맺었다. 세종=김민지 기자

jakmeen@heraldcorp.com

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22071400045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2 최길주 교수, PNAS(P Natl Acad Sci USA) 4월호에 논문 게재 과사무실 2009.04.23 14803
51 최길주 교수, PNAS에 논문 게재! 과사무실 2011.01.12 12605
50 최길주 교수, The Plant Cell 게재 (2013.12) 과사무실 2013.12.17 19574
49 최길주 교수, 김정현 박사과정 학생 The Plant Cell 게재(2016.06) / Prof. Giltsu Choi and Junghyun Kim, a Ph.D. candidate published a paper in The Plant Cell (2016.06) 생명과학과 2016.07.05 13694
48 최길주 교수, 이나영 박사 The Plant Cell 게재(2015.08) / Prof. Giltsy Choi and PhD. Nayoung Lee published a paper at The Plant Cell 과사무실 2015.08.19 19406
47 최길주 교수, 정진길 박사 Nature Communications지 논문 게재 (2014. 8) 과사무실 2014.09.11 13447
46 최길주 교수, 제5회 마크로젠 신진과학자상 수상 과사무실 2008.10.13 11758
45 최유라 학생 21세기 이끌 우수인재상 수상 과사무실 2005.01.27 11185
44 최은비 박사과정 학생(김미영 교수 실험실) Oncogene 게재(2016.02) / Eun-Bee Choi, a Ph.D candidate in Prof. Mi-Young Kim’s lab published a paper in Oncogene (2016.02) 생명과학과 2016.03.07 13315
43 최준호 교수 연구팀, 초파리 생체시계 유전자 'Twenty-four' 발견하여 Nature 발표 과사무실 2011.02.17 16651
42 최준호 교수, '이달의 과학기술자상' 수상 과사무실 2011.12.01 13472
41 최준호 교수, 2012년 정부연구개발 우수성과에 선정 과사무실 2012.11.02 11556
40 최준호 교수, <디아이학술상> 수상! 과사무실 2011.04.06 11973
39 최준호 교수, 대한민국학술원상 수상! 과사무실 2012.09.18 15539
38 최준호 교수,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 회장 취임 / Professor Joonho Choe is augurated as the chairman of KSMCB 생명과학과 2016.01.05 11426
37 최준호 교수, 한전 석좌교수로 임명 과사무실 2011.09.08 11544
36 충북도, 글로벌 바이오 캠퍼스 유치에 KAIST와 '맞손' 생명과학과 2022.03.15 434
35 학사과정 강병권 학생, 2009년 인성장학생 공로부문 선정! 과사무실 2010.01.08 12415
34 학사과정 김유나 학생, 2008학년도 인성장학생으로 선정! 과사무실 2008.12.09 15004
33 학사과정 김혜림, 국립암센터 인턴쉽 포스터발표 최우수상 수상 과사무실 2010.09.07 13557
Board Pagination Prev 1 ...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Next
/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