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인공지능 기반 임상·비임상 행동 시험 분석 회사 액트노바(대표 김대건)가 카카오벤처스로부터 5억 원 규모 시드 투자를 유치했다고 9일 밝혔다. 초기 기업이지만 세계 시장에서도 통하는 기술력과 상품성, 시장 잠재수요가 긍정적인 요소로 작용했다는 평이다. 

액트노바는 임상·비임상 분야 행동 시험 과정을 인공지능 영상처리 기술로 자동화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회사측 설명에 따르면, 신약개발의 필수 단계인 안정성, 약효성 시험 과정에서 연구원이 실험 동물 및 환자를 직접 관찰, 평가해야 했다면, 해당 기술을 통해 보다 정확하게 양질의 실험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다. 특히 치매나 파킨슨처럼 진단이 어려웠던 뇌질환도 증상 발현과 완화 정도를 파악하고 고도화된 행동 분석이 가능한 것이 강점이다. 이를 통해 임상·비임상 시험 과정 내 인력 간섭을 최소화하고, 치료제 개발 기간을 단축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상용화 완료된 인공지능 머신 비전 솔루션 ‘아바타 3D 시스템’(AVATAR 3D System)은 임상·비임상 인지, 행동 증상을 정량화하고 다양한 뇌질한 증상과의 상관관계를 규명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육안으로 볼 수 없었던 미세한 증상 변화를 발견할 수 있는 분석 능력을 갖추고 있어, 신약 개발 프로세스에서 후보 물질 효능을 판단할 수 있다. 해당 제품은 2022 CES 혁신상을 수상하며 해외 시장에서도 기술력을 검증 받았다. 

액트노바는 세계 시장 무대로 보폭을 확대할 계획이다. 연내 구독형 행동 분석 스코어링 서비스 ‘액트버스’를 해외 시장에 출시하고 세계 최대 신경과학학회인 미국신경과학회(SFN) 샌디에이고 전시부스에도 참가한다. 내년에는 미국 법인 설립에도 나선다. 

액트노바는 카이스트 전기전자공학부, 기계공학부 석박사, 생명과학과 연구 교수를 지낸 김대건 대표를 주축으로 김대수 카이스트 생명과학과 교수, 동물실험장비회사 ‘쓰리샤인’ 박천귀 대표가 설립했다. 카이스트 출신 연구원 다수가 연구개발에 참여하고 있으며, 신경과학분야 저널인 네이처 뉴로사이언스(Nature Neuroscience), 인공지능 학회인 컴퓨터 비전 및 패턴 인식 컨퍼런스(CVPR) 등에 연구 실적을 출판 중이다. 

김대건 액트노바 대표는 “관찰과 평가가 어려운 임상·비임상 행동 실험 분야에서 인공지능 기반 디지털 트렌스포메이션을 통해 신약·치료제 개발 프로세스를 단축하고자 한다”며 “대한민국을 넘어 전 세계 행동 실험 연구원과 의료진, 실험 대상의 스트레스와 희생을 줄이고 다양한 뇌 질환 치료제 개발에 보탬이 될 수 있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박산하 카카오벤처스 심사역은 “액트노바가 보유하고 있는 행동 실험과 관련된 데이터 및 기술력, 글로벌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기존의 동물 실험 방법론을 혁신하는 기업이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94 [전상용 교수님] 항암치료용 인공탄수화물 기반 나노의약 개발​ 생명과학과 2022.07.12 1530
393 [허원도 교수님] RNA 유전자 가위 기술로 코로나바이러스 싹둑 생명과학과 2023.05.04 1548
392 [김진우 교수님] 새로운 세포핵 단백질의 이동 루트 발견​ 생명과학과 2023.02.28 1551
391 [김보람 박사님(서성배 교수님 연구실)] 한국뇌연구원 제2회 다한우수논문상 선정 생명과학과 2022.12.07 1553
390 [이주형 학부생] 포스텍SF 어워드에서 생명과학과 학부생 이주형, 단편 부문 가작 선정 생명과학과 2022.02.10 1582
389 [최길주, 김상규 교수님] 카오스재단 2022 봄 카오스강연 ‘식물행성 (Plant Planet)’ 에서 강연(4/6) 생명과학과 2022.02.22 1584
388 [오병하 교수님] 오미크론에도 듣는 범용 항체, 국내에서 개발 생명과학과 2022.02.04 1589
387 [이승재 교수님 연구실] 과기정통부, ‘2022년도 건강한 연구실’ 10개 선정 생명과학과 2022.12.12 1597
386 [김상규 교수님] 단일세포 RNA 시퀀싱을 통한 꽃향기 합성 유전자 발굴​ 생명과학과 2022.02.15 1599
385 [한진희 교수님] 카이스트, 뉴런(신경 세포) 교체에 의한 기억저장 규명 생명과학과 2021.11.24 1602
384 [강석조 교수님] 이행 호염구, 알레르기 매개 세포에 대한 새로운 이해 생명과학과 2023.11.08 1605
383 [전상용, 조병관 교수님] 나노입자로 염증부터 면역치료까지 가능 생명과학과 2023.06.21 1607
382 [한용만, 허원도 교수님] 광유전학적으로 인슐린 분비 조절성공…인간 전분화능 줄기세포 유래 췌도 오가노이드 개발 생명과학과 2023.03.24 1608
381 [송지준 교수님] 헌팅턴병 발병원인 제거를 위한 치료제 개발 방법 제시​ 생명과학과 2022.09.02 1621
380 이승희 교수님_시각 정보 인식해 행동 결정하는 대뇌 신경회로 과정 밝혀 생명과학과 2021.08.30 1638
379 [허원도, 윤기준 교수님] 제51주년 개교기념식 개교기념 우수교원 포상 및 특별포상에서 학술상, 우수강의상 수상 생명과학과 2022.02.16 1645
378 [정인경 교수님] 파킨슨병 발병 3차원 게놈 지도 최초 제시​ 생명과학과 2023.05.08 1648
377 한진희 교수님_ 치매 치료에 열 올리는 KAIST·연구기관 생명과학과 2021.08.18 1649
376 [이승재 교수님] 국내 연구팀, 예쁜꼬마선충을 이용 새로운 항노화 단백질 찾아 생명과학과 2021.12.13 1669
375 2021 대성해강미생물포럼_좌장 조병관 교수, 연사 김대수 교수_21.09.28(화) 13:00~ file 생명과학과 2021.09.13 1673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3 Next
/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