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의 지원을 받아 알츠하이머 관련 연구를 진행하는 연구자들. KAIST 박성홍 교수, 연세대학교 정호성 교수, KAIST 정원석 교수, 서울대학교 박혜윤 교수(왼쪽 위부터 시계방향)>

 

삼성전자가 '세계 알츠하이머의 날'(921)을 맞아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 지원을 받아 연구하는 국내 연구진 영상을 20일 공개했다.

 

삼성전자는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을 통해 알츠하이머와 관련한 다양한 기초 연구를 돕고 있다. 연재까지 알츠하이머 극복에 기여할 수 있는 기초연구 15개를 지원했다.

 

삼성전자 뉴스룸에 공개한 '알츠하이머를 쫓는 사람들' 영상은 삼성 지원으로 알츠하이머 극복을 위해 노력하는 국내 연구진과 성과를 담았다.

 

정원석 KAIST 교수는 수면과 노화에서 뇌의 항상성을 조절하는 새로운 메커니즘을 연구하고 있다. 이를 통해 뇌 뇌화를 억제하고 알츠하이머와 같은 질환을 예방 ·치료하는 데 새로운 방법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

 

삼성전자는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을 통해 알츠하이머와 관련한 다양한 기초 연구를 돕고 있다. 연재까지 알츠하이머 극복에 기여할 수 있는 기초연구 15개를 지원했다.

 

삼성전자 뉴스룸에 공개한 '알츠하이머를 쫓는 사람들' 영상은 삼성 지원으로 알츠하이머 극복을 위해 노력하는 국내 연구진과 성과를 담았다.

 

정원석 KAIST 교수는 수면과 노화에서 뇌의 항상성을 조절하는 새로운 메커니즘을 연구하고 있다. 이를 통해 뇌 뇌화를 억제하고 알츠하이머와 같은 질환을 예방· 치료하는 데 새로운 방법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

 

박성홍 KAIST 바이오 뇌공학과 교수는 '새로운 뇌 영상화 기법 MRI' 를 연구한다. 뇌막 림프관을 통해 뇌의 노폐물이 배출되는 경로를 밝히는 연구다.

 

정호성 연세대 의과대학 교수는 축삭(뉴런의 가장 끝에 위치해 신경세포에서 일어나는 흥분을 다른 신쳥세포에 전달하는 돌기 부분) 퇴화 연구를, 박예윤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교수는 살아있는 뇌에서 기억의 흔적을 실시간으로 파악하는 영상 기술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은 2013년부터 15000억원을 출연해 시행하는 사업이다. 현재까지 603개 과제에 7729억원을 집행했다. 네이처, 사이언스 등 국제학술지에 논문 1246건을 게재했다.

 

삼성전자는 미래 산업 발전을 위해서는 기초 과학이 중요하다는 이재용 부회장의 철학을 반영해 삼성미래기술육성 등 다양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내년부터는 호암과학상을 물리·수학 부분, 화학·생명과학 부문으로 확대 개편해 과학기술 분야 지원을 늘리기로 했다. 화암과학상 확대는 이부회장 제안에 따라 이뤄진 것으로 알려졌다. 삼성은 또 국내 대학들의 미래 기술·인해 양성를 지우너하기 위해 산학협력에 1000억원 이상을 투자하기로 했다


https://www.etnews.com/20200920000016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12 [강석조 교수님] 이행 호염구, 알레르기 매개 세포에 대한 새로운 이해 생명과학과 2023.11.08 302
411 [정인경 교수님] 기저 질환이 없는 코로나19 환자의 중증 신규 유전적 위험 인자 규명 생명과학과 2022.09.29 336
410 [강창원, 서연수 교수님, 팔린다 박사님] 논문 Nucleic Acids Research 게재 생명과학과 2023.02.17 342
409 [정인경 교수님] 암, 노화 등에 미치는 게놈 3차 구조의 신규 원리 발견​ 생명과학과 2023.04.10 348
408 [메디포럼 정재언 대표] 메디포럼, 정재언 연구소장 신임 대표이사 선임…“임상 R&D 중심 경영 집중” 생명과학과 2022.03.14 371
407 [김진우 교수님] 새로운 세포핵 단백질의 이동 루트 발견​ 생명과학과 2023.02.28 381
406 [김학성 교수님, 김홍식 박사님] 암세포에만 약물 전달 가능한 클라트린 조립체 개발​ 생명과학과 2023.03.15 382
405 [김은준 교수님] 자폐 진단․ 치료 골든타임, 동물실험으로 확인 생명과학과 2022.09.27 387
404 [김찬혁 교수님] 말기 고형암 표적 2세대 면역치료제 개발​ 생명과학과 2023.04.20 397
403 [이승희 교수님] 신경전달물질 소마토스타틴의 알츠하이머 독성 개선효과 발견​ 생명과학과 2022.07.25 404
402 [김은준 교수님] 대규모 한국인 자폐증 가족 유전체 연구를 통한 새로운 자폐 유전변이 최초 발견​ 생명과학과 2022.07.19 407
401 [김보람 박사님(서성배 교수님 연구실)] 한국뇌연구원 제2회 다한우수논문상 선정 생명과학과 2022.12.07 412
400 [전상용, 조병관 교수님] 나노입자로 염증부터 면역치료까지 가능 생명과학과 2023.06.21 416
399 [송지준 교수님] 헌팅턴병 발병원인 제거를 위한 치료제 개발 방법 제시​ 생명과학과 2022.09.02 423
398 [루닛 서범석 대표] 바이오업계 유니콘 기대 루닛, 서범석 '치료 예측 AI' 고도화 박차 생명과학과 2022.04.27 423
397 충북도, 글로벌 바이오 캠퍼스 유치에 KAIST와 '맞손' 생명과학과 2022.03.15 434
396 [정인경 교수님] 파킨슨병 발병 3차원 게놈 지도 최초 제시​ 생명과학과 2023.05.08 439
395 [오병하 교수님] 오미크론에도 듣는 범용 항체, 국내에서 개발 생명과학과 2022.02.04 441
394 [이승재 교수님] 건강한 장수를 유도하는 돌연변이 유전자 발굴 생명과학과 2021.11.24 446
393 [김대수 교수님] 네이버 열린연단 '자유와 이성' 주제로 시즌9 강연 시작 생명과학과 2022.04.22 446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2 Next
/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