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Memory recall and modifications by activating neurons with elevated CREB

기억은 뇌에 있는 일부 뉴런들에 저장된다고 생각되는데 이런 memory allocation에 전사인자인 CREB이 중요하다고 생각되고 있다.
CREB을 인위적으로 편도체 (amygdala)에 있는 일부 뉴런들에 과발현시키면 이 뉴런들이 기억저장에 선택적으로 참여하고 후에 이 뉴런들만을
선택적으로 뇌에서 제거했을 때 기억이 사라지는 현상이 보고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바이러스 벡터를 이용한 CREB 유전자 과발현, in vivo electrophysiology 그리고 TRPV1-capsaicin
시스템을 이용한 약물학적 신경세포 활성 조절 방법을 이용하여 CREB을 과발현시킨 뉴런들만을 특이적으로 활성화 시켰을 때 그 자체만으로 편도체에 저장된 공포기억이 불러일으켜 지고
이런 자극을 통해 기억의 강화와 같은 기억 조작, 변형이 가능하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증명하였다. 본 연구는 기억의 신경생물학적 원리를 이해하고 외상후스트레스장애 (PTSD)와 같은 정신질환 치료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90 [조병관 교수님] 대량의 고농도 일산화탄소를 고부가가치 바이오케미칼로 전환하는 기술 개발 생명과학과 2022.07.15 319
389 [전상용 교수님] 항암치료용 인공탄수화물 기반 나노의약 개발​ 생명과학과 2022.07.12 320
388 [루닛 서범석 대표] 바이오업계 유니콘 기대 루닛, 서범석 '치료 예측 AI' 고도화 박차 생명과학과 2022.04.27 324
387 [오병하 교수님] 오미크론에도 듣는 범용 항체, 국내에서 개발 생명과학과 2022.02.04 333
386 [손종우 교수님] 서울의대동창회, 제25회 함춘학술상 수상자 선정 생명과학과 2022.03.08 342
385 충북도, 글로벌 바이오 캠퍼스 유치에 KAIST와 '맞손' 생명과학과 2022.03.15 347
384 [김세윤, 양한슬 교수님] 장 조직의 항상성과 염증성 장염 회복의 핵심 효소 발견​ 생명과학과 2022.10.07 347
383 [김대수 교수님] 액트노바, 카카오벤처스로부터 5억 규모 시드 투자 유치 "육안으로 진행되던 임상·비임상 분야 행동 실험 과정, 인공지능 영상처리 기술로 자동화" 생명과학과 2022.08.10 348
382 [한진희 교수님] 카이스트, 뉴런(신경 세포) 교체에 의한 기억저장 규명 생명과학과 2021.11.24 353
381 [김대수 교수님] 네이버 열린연단 '자유와 이성' 주제로 시즌9 강연 시작 생명과학과 2022.04.22 353
380 이승희 교수님_시각 정보 인식해 행동 결정하는 대뇌 신경회로 과정 밝혀 생명과학과 2021.08.30 355
379 [김대수 교수님] “뇌는 무언가 실패하는 순간 발달...‘메타인지’로 창의성 키워야” [이노베이트코리아 2022] 생명과학과 2022.07.18 361
378 [서연수 교수님] ㈜엔지노믹스, 생명과학과에 발전기금 24억 기부​ 생명과학과 2022.10.14 373
377 [이주형 학부생] 포스텍SF 어워드에서 생명과학과 학부생 이주형, 단편 부문 가작 선정 생명과학과 2022.02.10 374
376 [김보람 박사님(서성배 교수님 연구실)] 2022년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 선정 file 생명과학과 2022.11.09 374
375 [최길주, 김상규 교수님] 카오스재단 2022 봄 카오스강연 ‘식물행성 (Plant Planet)’ 에서 강연(4/6) 생명과학과 2022.02.22 378
374 [이승재 교수님 연구실] 과기정통부, ‘2022년도 건강한 연구실’ 10개 선정 생명과학과 2022.12.12 383
373 [김상규 교수님] 구글도 올라 탄 神으로 가는 길[과학을읽다] 생명과학과 2022.09.07 384
372 [김상규 교수님] 단일세포 RNA 시퀀싱을 통한 꽃향기 합성 유전자 발굴​ 생명과학과 2022.02.15 386
371 [김세윤, 정원석, 손종우 교수님] 인공지능 기반 약물 가상 스크리닝 기술로 신규 항암 치료제 발굴 성공 생명과학과 2022.08.12 388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1 Next
/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