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사진 1. 생명과학과 송지준 교수

< 사진 1. 생명과학과 송지준 교수 >

 

우리 대학 생명과학과 송지준 교수 연구팀이 헌팅턴병(Huntington's disease)을 치료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방법을 제시했다고 2일 밝혔다.

헌팅턴병은 희귀 유전성 질환으로 근육 간 조정 능력 상실과 인지능력 저하정신적인 문제가 동반되는 신경계 퇴행성 질환이다이는 유전되는 퇴행성 뇌 질환이며 헌팅턴 단백질에 글루타민 아미노산이 여러 개가 연속적으로 확장되는 돌연변이로 인해 발병된다. 

헌팅턴병은 약 1~3만 명 중 1명의 발병률을 가지고, 10여 년의 퇴행과정을 거쳐 죽음에 이르게 하는 병이다아미노산이 3,000개 이상 연결돼 만들어지는 거대 단백질인 헌팅틴(Huntingtin) 단백질은 질병을 일으키기는 하지만생체기능에 필수적인 단백질이고병을 일으키는 형태의 단백질만을 치료 표적으로 골라내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송 교수 연구팀은 네델란드 프로큐알 테라퓨틱스(ProQR Therapeutics NV), 프랑스 그레노블 대학스웨덴 왕립 공대의 연구그룹이 참여한 국제 공동연구를 통해헌팅턴병을 유발하는 돌연변이 헌팅틴 단백질을 고유의 기능을 유지하면서 질병을 일으키지 않는 형태로 전환해 헌팅턴병을 치료하는 새로운 방법론을 제시했다이 결과는 헌팅턴병 치료제를 개발하는데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우리 대학 생명과학과 김형주 연구원이 공동 제저자로 참여한 이번 연구는 국제 저명 학술지 `임상연구저널(Journal of Clinical Investigation Insights)' 온라인판에 출판됐다

(논문명  A pathogenic proteolysis-resistant huntingtin isoform induced by an antisense oligonucleotide maintains huntingtin function) https://elifesciences.org/articles/76823 

그림 1. 연구 개념도

< 그림 1. 연구 개념도 >

 

연구팀은 알엔에이(RNA)의 일종인 안티센스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antisense oligonucleotide) 이용해 생성이 유도된 헌팅틴 델타 12의 형태가헌팅턴병을 유발하는 주요 원인인 단백질 아미노산 말단부위로 인해 절단되지 않으면서도 헌팅틴 단백질 고유의 기능을 유지한다는 사실 밝혔다연구팀이 결과는 헌팅턴병 치료제 개발의 새로운 개념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연구를 주도한 생명과학과 송지준 교수는 "이번 연구는 한국을 포함한 4개국의 공동연구를 통해 이뤄진 것으로질병을 유발하는 헌팅틴 단백질을 정상상태로 유도하는 방법이 헌팅턴병 치료제 개발에 새로운 길을 열어줄 것으로 기대한다ˮ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 글로벌연구실(Global Research Laboratory) 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https://news.kaist.ac.kr/news/html/news/?mode=V&mng_no=23170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45 [대덕넷] 임대식 교수 이달의 과기인상 수상 과사무실 2004.08.30 14818
144 김진우 교수, 교과부 '글로벌연구실 사업'의 신규 지원과제에 선정! 과사무실 2009.06.25 14820
143 김학성 교수, 류이슬 박사 Angewandte Chemie 논문 발표(2014.11) 과사무실 2014.11.27 14858
142 강창원 교수, 한빛대상 수상! 과사무실 2011.09.28 14879
141 강은채 학생 창의활동상 수상 과사무실 2004.02.20 14922
140 초파리의 일주기 리듬에 관여하는 새로운 유전자 발견... 최준호 교수 연구팀 과사무실 2007.07.20 14951
139 故 박태관 교수님의 명복을 빕니다. 과사무실 2011.04.11 14959
138 김학성 교수, Nature Communications 게재 (2014. 4) 과사무실 2014.04.24 14992
137 인선아 박사과정 학생. 제 18차 KHUPO 프로테오믹스 국제학술대회 수상 file 생명과학과 2018.04.13 15026
136 이중재 박사와 김학성 교수 연구팀, Theranostics에 표지 논문 발표 file 생명과학과 2017.08.18 15043
135 김은준 서연수 교수 우수교원 포상 과사무실 2004.02.13 15052
134 송세라, 박영균 학생 김보정 기초과학장학생으로 선발 과사무실 2006.09.12 15066
133 김선창 교수 6월의 과학기술자 선정 과사무실 2003.09.08 15124
132 전상용 교수, Cancer Research게제(2014.2) 과사무실 2014.03.12 15129
131 김학성 교수, 사람 항체 대체할 인공항체 기술 개발 과사무실 2012.02.15 15140
130 김근화 박사, 김승균 박사, 박상욱 박사, 2012년도 이공분야 '학문후속세대양성사업' 선정 과사무실 2013.01.02 15152
129 [경향신문] 뇌에서 시냅스 생성촉진 새 단백질 발견 -김은준교수팀 과사무실 2006.09.18 15157
128 변시명 교수 기초과학 교과목 우수강의상 수상 1 과사무실 2004.03.17 15158
127 전상용 교수, 94회 일본화학회 정기학회 'Distinguished Lectureship Award' 수상 과사무실 2014.04.02 15191
126 김세원 박사과정(강창원 교수 lab), Santorini Best Poster Award 수상! 과사무실 2011.06.17 15198
Board Pagination Prev 1 ...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 24 Next
/ 24